미타행자의 편지 (1042) 썸네일형 리스트형 '무념무상’으로 마음 다스리기 【태호스님의 산사의 풍경소리】 '무념무상’으로 마음 다스리기 마음 다스리기에 중요한 것이 “내버려둬라”라고 보았습니다. 모든 애착과 집착을 놓아버리는 일, “방하착”하라 “휴거흘거”라 “마음을 비워라”“모두 놓아 버려라”등의 말씀이 모든 선사들의 가르침입니다. 무념무심이 바.. 진돌이 이야기 개를 무지 좋아하는 스님이 대중처소에서 강아지를 기르겠다고 데리고 왔습니다. 대중처소다 보니 개를 싫어하시는 스님도 있고 또 율장에도 수행처에서는 짐승을 못 기르게 되어있고 아무튼 대중공사가 벌어지였는데 결론은 강아지를 퇴방 조치하기로 했는데, 진돗개 순중인 어린 강아지(숫놈)는 .. 염불선이야기26-수증론③ 선오후수(先悟後修) 염불선이야기26-수증론③ 선오후수(先悟後修) 오래된 유행가 가사에서처럼 우리는 우리의 삶을 종종 ‘길 떠난 나그네’에 비유하곤 한다. 그 이유는 나그네가 떠나는 길 만큼 우리의 인생에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고, 또 변화무쌍하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낯선 곳을 여행할 때에 보통은 그곳에 가.. 마음 다스리기 【태호스님의 산사의 풍경소리】 마음 다스리기 지난번에 호흡에 관한 이야기를 알아보았습니다. 하여간 이 세상에는 단전호흡법이다, 복식호흡법이다, 태식법이다 등의 여러 가지 호흡법을 설명하고 가르치고 있습니다만 제일 중요한 것은 억지로 하지 않고 자연스레 숨을 쉬는 것입니다. 단전 호.. 감사합니다 읍 소재지에서 한 스님이 허름한 절을 짓고 천일기도를 했는데 천일기도 회향하는 날 서너 명이 왔다고 합니다. 다시 천일기도를 또 했는데 이번에는 회향하는 날 열 대분의 신도가 오더랍니다. 2천일기도가 그리 쉬운 일은 아닌데, 6년의 인고(忍苦)의 세월을 보냈어도 신도가 늘지 않으니 스님도 열.. 염불선이야기25-수증론② 돈오점수 돈오돈수 염불선이야기25-수증론② 돈오점수 돈오돈수 여러 해 전 한국 불교계에 돈오점수와 돈오돈수의 논쟁이 치열하게 전개된 적이 있었다. 논쟁의 핵심은 ‘깨달은 후에도 수행이 필요한가?’의 문제였다. 돈오돈수를 주장한 쪽은 깨달은 후에 수행이 필요하다면 그 깨달음은 진정한 깨달음이 아니라는 주.. 생각이 복잡하면 역으로 호흡 가다듬어 마음 다스려 【태호스님의 산사의 풍경소리】 생각이 복잡하면 역으로 호흡 가다듬어 마음 다스려 참선에 있어서 또한 중요한 것은 호흡에 관한 것입니다. 호흡을 잘 조절하고 조화롭게 하며 숨 고르기가 잘 조복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호흡에도 가장 기본적인 것이 목적이나 의식을 두지 않고 자연스러움(Pure)입.. 출가사문 출가사문(出家沙門) * 사문(沙門): 부지런히 모든 좋은 일을 닦고 나쁜 일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뜻으로, 불문에 들어가서 도를 닦는 사람을 이르는 말. “신심(信心)으로써 욕락(欲樂)을 버리고 일찍이 발심(發心)한 젊은 출가자(出家者)들은 영원한 것과 영원하지 않은 것을 똑똑히 분간하면서 걸어가.. 이전 1 ··· 96 97 98 99 100 101 102 ··· 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