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염불수행자료/연종집요

(43)
6.정토법문(82) * 철오선사는 「마음을 깨닫기 위해서 염불한다면 염불이 반드시 간절해질 것이며, 부끄럽고 두려운 마음으로 염불한다면 염불이 반드시 간절해질 것이며, 고통을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염불한다면 염불이 반드시 간절해질 것이며, 부처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염불한다면 반드시 ..
제 十二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제 十二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극락에 왕생한 사람들이 심히 많으나 이들 가운데서 몇 사람만 다음에 적어 본다. 一. 우리나라 사람 (一) 광덕(光德)과 엄장(嚴莊) 신라의 문무왕(文武王)때에 광덕(光德), 엄장(嚴莊)두 사문(沙門)이 있어 사이가 매우 두터워서 항상 서..
제 十一장. 구품왕생(九品往生)과 변의 (辨疑) 제 十一장. 구품왕생(九品往生)과 변의 (辨疑) 『무량수경(無量壽經)』에는 삼배생(三輩生)이 있는 것을, 『관무량수불경(觀無量壽佛經)』에는 삼배생을 구품(九品)으로 나누었다. 극락정토에 왕생하는데, 그 행업(行業)의 우열(優劣)에 따라서 구품의 계급을 세운 것이다. (一). 상품상생(..
三. 다른 이는 염불을 권하며 조념(助念)할 것 三. 다른 이는 염불을 권하며 조념(助念)할 것 행자(行者)가 평시에 염불법을 알고 법대로 수행한 사람도 운명할 때에 가족 친척들이 옆에서 조념(助念)함이 매우 유익하거니와 염불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나 염불을 하였더라도 성실히 수행하지 못한 사람의 운명할 때에는 조념하는 것이 ..
四. 중유(中有)의 작용(作用) 四. 중유(中有)의 작용(作用) 중유(中有) 의 형체(形體)는 본유(本有)의 양(量)과 같다 하며 혹은 사람의 중유는 일체의 반이라 하고 또 욕계(欲界)의 중유는 五, 六 세의 아이와 같고 오근(五根)이 완전히 갖추었으나 의복이 없으며 색계(色界)의 중유는 신량(身量)이 원만한 것이 본유와 같..
제 九장 운명(殞命)의 전후(前後) 제 九장 운명(殞命)의 전후(前後) 一. 사대(四大)가 이산(離散) 사람의 몸을 만들어서 이루어진 것 가운데 단단한 것은 지대(地大)에 속하고 흐르는 것은 수대(水大)에 속하고 더운 것은 화대(火大)에 속하고 움직이는 것은 풍대(風大)에 속한다. 이 네 가지를 사대(四大)라 하니 사람이 죽을..
三. 대우선사(大佑禪師)의 설(設) 三. 대우선사(大佑禪師)의 설(設) 어떤 이가 묻기를 관경(觀經)에는 「이 마음이 불을 짓고 이 마음이 곧 불이라」 하였는데 어찌하여 다른 불을 염불하는가. 하고 답하기를 「마음이 본래 부처이므로 저 부처를 염불하게 하는 것이다.」 범망경(梵網經)에는 「나는 앞으로 될 부처요, 여..
제八장 유심정토(唯心淨土)와 자성미타(自性彌陀)의 변론(辯論) 제八장 유심정토(唯心淨土)와 자성미타(自性彌陀)의 변론(辯論) 세상사람 중에 혹은 극락정토와 교주(敎主) 미타(彌陀)를 부인(否認)하면서, 유심(唯心)이 정토(淨土)인데 유심 외에 무슨 정토가 따로 있으며, 자성(自性)이 미타(彌陀)인데 자성 외에 무슨 미타가 또 있겠는가. 하여 오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