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염불수행자료/김호성님의 정토행자의 편지

(43)
43. 우리나라 정토신앙의 역사 이미 말씀드린 것 같습니다만, 저는 정토신앙을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선생의 책 『나무아미타불』을 통해서 배웠습니다. 그 책이 제게 끼친 영향이 절대적이다 보니까, 사람들에게 제일 먼저 읽으시라고 권진(勸進)하는 책도 사실 그 책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책 역시 2% 부족한 뭔..
42. 『무량수경』의 핵심 「권진의 노래(권진가)」는 정토교의 교리와 정토교의 중요한 역사를 나름대로 포괄하고자 하였습니다. 물론, 역사는 다 포괄할 수 없습니다. 빠지는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그것이 역사입니다. 하지만, 교리는 주요한 핵심사항은 다 포괄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보시는 분..
41. 「권진의 노래(勸進歌)」의 구성 제가 「권진의 노래」를 짓게 된 것은 작년(2017) 1월 19일의 일입니다. 그때는 아직 ‘편지’라는 매체(media)를 개발하기 전입니다. 어떻게 하면 “나무아미타불”을 넓힐 수 있을까 고민하던 때입니다. 물론, 그 고민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입니다만 ---. 정토신앙에 대해서 “이 정도는 꼭 ..
40. 권진의 노래(勸進歌) 이제 드디어 「권진의 노래(勸進歌)」를 공개합니다. 이 노래는 한번 다 읽게 되면, 저절로 “나무아미타불”을 88번 외게 됩니다. 그래서 부제로 ‘팔팔칭명가(八八稱名歌)’라고 하였습니다. 혼자서 읽어도 좋겠습니다만, 법회나 모임에서 여러 길벗들이 다 함께 소리 내어서 합송(合誦..
39. 애당초 ‘인간 붓다’는 없었다 원광대 원영상 선생님이 보내준 『붓다와 정토』(씨아이알)를 읽고 있습니다. 원선생님이 번역하신 책인데, 일본에서 나온 ‘대승불교 시리즈’ 중의 한 권입니다. 『붓다와 정토』는 정토사상에 대한 글 8편을 모았습니다. ‘정토’라고 해도, 반드시 아미타불의 서방정토만을 말하고 ..
38. 과연 정토신앙은 방편인가? 저도 여러 번 들은 적 있습니다. 극락을 말하는 정토신앙은 방편(方便)이라고 말입니다. 불교에서는 방편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경전이 『법화경』일 것입니다. 방편품(方便品)이 있을 정도입니다. 거기에서 말하는 요점은, 『법화경』이 설해지기 전에 많은 부처님의 가..
36. 왜 “일본의” 정토불교를 말하는가? 최근 “한국에서 일본의 종교가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가” 하는 주제로 열린 워크숍에 참여한 일이 있습니다. 일본불교 전반에 대한 연구현황에 대해서는 원영상 선생님이 발표를 하였고, 일본의 정토불교에 대한 연구현황에 대해서는 제가 발표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일본의 유교나 신..
35. 천태종과 정토종 폴 스완슨(Paul Swanson) 교수를 만났습니다. 이 분은 천태학을 전공하신 분입니다. 동국대에서 천태학을 가르쳤던 이영자 선생님과도 친분이 있다고 하시면서, 이영자 교수님의 회갑논총을 가지고 와서 보여주었습니다. 그 논문집에도 천태지자에 대한 논문을 기고하였음을 알 수 있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