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독!경전,법문자료/7. 입보리행론

(21)
8장 지혜품 8장 지혜품 [내외종파의 교의를 요약하여 두 가지 총괄과 차별을 설하노라.] 쫑카파 대사의 [비밀도차제론] 앞부분에 나옵니다만 외도가 있든 없든 우리 자신의 마음에 전도된 견해의 습기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견해를 알고 옳고 그름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쫑카파 대사가 계셨던 당시 티베트..
10.[입보리행론] 제7장 정진품 [입보리행론] 제7장 정진품 인욕수행이 바탕이 되고 잘 되어야 정진수행이 가능합니다. 인욕에는 질병이나 천재지변 등의 해악으로부터 초연할 수 있는 안수고인(安受苦忍)과 타인의 원망이나 해침을 감내하는 내원해인(耐怨害忍)이 있습니다. 이런 인욕수행을 할 때 퇴굴심은 생길 수가 없습니다. 퇴..
9. [입보리행론] 제6장 인욕품(2) [입보리행론] 제6장 인욕품(2) 35 조심성 없이 자신에게조차 가시 같은 것으로 해를 입히거나 여인을 얻기 위한 탐착으로 단식까지 하네. 36 어떤 이는 자살을 하고, 절벽에서 뛰어내리며, 독과 해로운 음식을 먹고 박복한 행동으로 스스로를 해치기도 하네. 37 번뇌의 힘은 소중한 자신마저 죽이는데 하..
8.[입보리행론] 제6장 인욕품(1) [입보리행론] 제6장 인욕품(1) 1 천 겁 동안 쌓은 보시와 부처님께 올린 공양, 그 모든 선행이 한 순간의 분노로 무너지네. 백 생, 천 생 동안 쌓은 선행, 보시로 인해 생긴 선행과 지계로 인해 생긴 선행을 중심으로 말씀하고 있습니다. [입중론]*에 보면 보시와 지계에서 비롯된 백 생의 선업과 수행을 통..
7. 제5장 호계정지품 [입보리행론] 제5장 호계정지품 작년에 [입보리행론] 제1장 보리심 공덕 찬탄품 부터 제4장 보리심 불방일품까지 마쳤습니다. 오늘(2004. 10.28)은 제5장 호계정지품 부터 하겠습니다. 우리는 부처님의 법을 따르는 수행자입니다. 특히 나란다의 법통을 잇는다면 공성과 보리심을 ‘수행의 핵심’으로 삼..
6. 제4장 보리심 불방일품 제4장 보리심 불방일품 [입보리행론]의 불방일품을 읽겠습니다. 1 선서(善逝)의 아들(보살)들은 보리심을 굳게 지녀 항상 흔들림 없이 가르침에서 벗어나지 않아야 하네. 이 말씀의 의미는 우리가 발심을 한 후, 마음이 한쪽으로 기울지 않게 언제나 바른 마음(정념正念)을 지녀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
5. 제3장 보리심 전지품 5. 제3장 보리심 전지품 이 제3장부터는 ‘기쁜 마음으로 따름(수희찬탄隨喜贊嘆)’에 대한 것입니다. 1 일체 중생이 처한 악도의 고통을 멈추게 하는 좋은 행위(선업善業)와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이 안락에 머무는 것을 기쁜 마음으로 따르겠습니다. 2 보리의 씨앗으로 지은 선업을 기쁜 마음으로 따르..
4.입보리행론강의 제 2장 죄업 참회품 [입보리행론] 제 2장 죄업 참회품 [입보리행론] 제1장 보리심 공덕 찬탄품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이, 우리 마음속에 제일 소중하고 고귀한 것은 ‘보리심’입니다. 대근기 중생은 지혜가 뒷받침 되므로 매우 이성적이며 아주 용기도 뛰어납니다. 자신의 뜻을 이루는데 보리심 보다 더 뛰어난 것은 없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