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염불수행자료/연종보감

(16)
16. 염불(念佛)은 마음을 열어 통(通)함이라 16. 염불(念佛)은 마음을 열어 통(通)함이라 삼매(三昧)를 수행(修行)함을 인(因)하여 미타(彌陀)를 생각함이라 문득 미타(彌陀)가 심상(心上)을 초과(超過)함을 분별(分別)하여봄이라 비로소 나아가고 나아감이 모두 보소(寶所)임을 자각(自覺)함이라 바야흐로 국토(國土)와 국토(國土)가 모..
15. 상적광정토(常寂光淨土) 15. 상적광정토(常寂光淨土) 【도(圖)그림】 관정(灌頂)한 왕자(王子) 출신(出身)과 같음이라 경계(境界)와 지혜(智慧)가 여여(如如)함에 증수(證修)을 그만둠이라 재차(再次)다시 전념(專念)함에 가로막히고 심두(心頭)가 침체(沈滯)함이 없음이라 정(情)으로 생각함을 다하고 소식(消息)의 ..
14. 간편(簡便)한 지름길 14. 간편(簡便)한 지름길 염불공덕(念佛功德)십념법문(十念法門) 자운식참주 (慈雲式懺主) 말하되 속인(俗人)의 속사(俗事)의 업무(業務)는 황망(遑忙)<허둥거리고 바쁨>하고 무익(無益)함에 있음이라 매일(每日) 맑은 새벽 아침 청신(淸晨)에 옷을 입고 장식(裝飾)을 마치고 얼굴을 서(..
13. 참선(參禪)염불삼매(念佛三昧)구경(究竟)법문(法門) 13. 참선(參禪)염불삼매(念佛三昧)구경(究竟)법문(法門) 혜원조사(慧遠祖師) 선경(禪經)의 서(序)에서 말하되 선(禪)은 지혜(智慧)가 아님이 없음이라 그 적정(寂靜)함을 궁구(窮究)함이라 지혜(智慧)는 선(禪)이 아님이 없음이라 비춤<조요(照耀)>함을 깊게 함이라 선(禪)의 지혜(智慧)란..
12. 천태(天台)염불삼매(念佛三昧)삼관법문(三觀法門) 12. 천태(天台)염불삼매(念佛三昧)삼관법문(三觀法門) 삼관(三觀)일대(一大)총상(總相)의 도(圖) 掜不成團  비기고 견주어 둥근 덩어리를 성취(成就) 함이 아님이라 撥不開看   덜어 없애여 열어 보임이 아님이라 來看去轉 와서 보고 떠나감에 굴러 옮김이라 成獃人人 못생긴 ..
11. 부처님이 부왕(父王)위하여 염불(念佛)을 설(說)함 11. 부처님이 부왕(父王)위하여 염불(念佛)을 설(說)함 보적경(寶積經)에서 이르되 세존(世尊)의 부왕(父王)이 불족(佛足)에 정례(頂禮)하고 일심(一心)으로 합장(合掌)하고 부처님께 여쭈어 말하되 어떻게 수행(修行)하여야 마땅히 제불(諸佛)의 도(道)를 성취(成就)하겠나이까 부처님 세존(..
10. 염불(念佛)정교(正敎) 10. 염불(念佛)정교(正敎) 권(卷)제이(第二)일십구장(一十九章) * 염불(念佛) 정교(正敎)설(說) 법계(法界)는 본래(本來)로 중생(衆生)이 없음이라 중생(衆生)의 연(緣)은 망견(妄見)이라 여래(如來)는 본래(本來)로 언교(言敎)가 없음이라 언교(言敎)는 유정(有情)을 위함이라 망견(妄見)이란 ..
9. 십선업(十善業)을 수행(修行)함 대저 대승(大乘)의 현요(玄要)<그윽하게 긴요(緊要)함>는 으뜸은 일심(一心)을 여이지 아니함이라 정업(淨業)의 정인(正因)은 반듯이 가장 먼저 십선(十善)을 수행(修行)함이라 몸과 입의 칠중(七重)의 죄(罪)을 단절(斷切)함이라 칠행(七行)을 성취(成就)하여 의식(意識)인 삼독(三毒)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