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청화 큰스님 법문집/7. 보리를 깨닫는 방편문

(9)
보리방편문 해설 2-3 보리방편문 해설 3 용수龍樹보살께서 저술한 책 가운데서 『보리심론普提心論』이라 하는 논장에 공부하는 요체가 많이 설명되어 있습니다만 이『보리방편문普提方便門』은 그 논장 가운데서 공부하는 요령을 금타(金陀 1898~1948)스님께서 간추린 것입니다. 전에『금강심론金剛心論』을 낼 때는 저..
보리방편문 2-3 심心은 허공虛空과 등等할새; 마음은 허공과 같습니다. 우리 마음은 허공과 같습니다. 허공이 어떤 제한도 없고 어떤 장애도 없듯이, 우리 마음은 사실은 장애가 없는 것인데 중생이 ‘나’라는 장애, ‘너’라는 장애 그런 상에 걸려 있습니다. 우리가 ‘마음은 허공과 등할새’ 라는 실존을 그대로 ..
보리방편문 해설 2-2 아무튼 이와 같이 천지우주, 산하대지, 준동함령蠢動含靈, 두두물물頭頭物物이 모두가 다 불성 아님이 없습니다. 이것 보고 ‘타성일편打成一片’이라 합니다. 이 문구는 꼭 외워두시기 바랍니다. ‘때릴 타打’자, 타파한다는 타자 말입니다. ‘이룰 성成’자, ‘한 일一’자, ‘조각 편片’자, 오직 ..
보리방편문 해설2 보리방편문 해설 2 그지없이 이렇게 혼란스러운 오늘날과 같이 성자들의 예지叡智를 필요로 한 때는 없었습니다. 흔히 복잡다단한 시대를 생각할 때 중국의 춘추전국시대를 생각합니다만 춘추전국시대는 제자백가諸子百家가 각기 자기 목소리를 냈지만 오늘날과 같이 국민들 모두가 다 술렁거리는 ..
91. 울사가경(鬱闍迦經) 92. 교만경(憍慢經) 잡아함경 91. 울사가경(鬱闍迦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울사가(鬱闍迦)라는 바라문 청년이 부처님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 발에 머리를 조아리고 한쪽에 물러앉아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속인(俗人)이 집에서 지내며 몇 가지 법..
보리방편문해설1-3 우리 ‘마음이 바로 부처’인 것을 말씀한 것이 바로 보리방편문 법문의 골격입니다. 보리방편문, 방편문이라, 비록 진리를 사람의 말이나 문자로 표현한 것이 아무리 위대하다 하더라도 그것이 바로 진리는 못 되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방편이란 말을 썼습니다. 결국은 진리에 들어가는 방편의 문입..
보리방편문 해설 Ⅰ--② 그러면 무엇을 근거로 하는 것인가. 우주의 정기를 불교적인 표현으로 하면 불성佛性입니다. 현대적인 말로 하면 에너지가 되겠지요. 물질이 다 텅텅 비어서 우주가 파괴가 되어버린다 하더라도 에너지만은 존재합니다. 나중에 다시 에너지의 활동으로 해서 우주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불교는 그와 같..
보리방편문 해설 1 보리방편문 해설 1 다 우리가 아는 일입니다만, 인간은 누구나가 자기 안전을 구해서 마지않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사유활동이 전개가 되고 차근차근 발전된 뒤에는 생각을 좀 해서 ‘어떻게 하는 것이 바른 생활인 것인가? 어떻게 하는 것이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안전한 생활인가?’ 이와 같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