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독!초기경전/5.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12)
10.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10.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요 약1) 붓다의 시대 어느 날 세존께서는 꼬띠가마에서 왓지안족과 함께 거주하고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는 비구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2) 비구들이여, 그대들과 내가 오랫동안 윤회 속에서 헤매고 다닌 것은 4가지 성스런 진리(四聖諦)를 이해하지 못하고 ..
9.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9.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법문9 가장 수승한 보시 들어가는 말 2종류의 보시가 있다. 1. 헤아릴 수 없는 선한 과보를 가져오는 보시 2. 과보가 전혀 없는 보시 어떤 형태의 보시를 좋아하는가? 대답해보라. 나는 보시에 관한 붓다의 바램을 말하고자 한다. 여러분의 바램과 붓다의 바램이 ..
8.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8.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법문8 제자와 가르침에 대한 붓다의 소원 붓다의 삶에 대한 의지 포기 붓다께서는 벨루와 마을에서 마지막 안거(vassa)를 보내셨다. 그 때에 그분께 극심한 통증이 일어났다. 안거의 보름날 과거의 업 때문에 날카롭고 참을 수 없는 등의 통증이 그를 덮쳤다. 과..
7.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7.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법문7 닙바나를 얻기 위해 통찰지를 개발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이전 법문에서 다섯 번째와 첫 번째 방법으로 연기를 식별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했다. 오늘은 닙바나를 얻기 위해 통찰지를 개발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닙바나를 얻기 위해..
6.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6.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법문6 12연기를 관찰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이전의 법문에서 정신을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했고, 그 앞의 법문에서 물질을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이미 말한 대로 정신과 물질을 식별할 수 있다면, 그 원인도 또한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연기(paticcasa..
5.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5.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법문5 정신을 분석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지난번 법문에서 사대요소 명상을 개발하는 방법과 깔라파라 불리는 물질의 분자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오늘은 법문에서 위빠사나 수행의 두 번째 단계인 정신을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정신을 식..
4-1 질의 응답 4-1 질의 응답 질의 응답 4 질문4.1 : 아리메떼야 보디삿따(미륵보살)를 포함한 모든 보디삿따(보살)는 범부(puthujjana)입니까? 아니면 성인입니까? 만약 아리메떼야 보디삿따가 우리와 같은 범부라면, 그가 메떼야 붓다(미륵불)가 되기 위해 내려 왔을 때, 그가 붓다가 되는 조건과 우..
4.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4.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법문4 물질을 식별하는 방법 들어가는 말 오늘은 물질의 요소를 분석하는 사대요소 명상에 대해 설명하겠다. 물질은 오온의 첫 번째이다. 나머지 4개는 정신이다. 정신은 물질에 의존한다. 마음은 각각의 물질 토대에 의존해서 일어난다는 의미이다.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