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청화 큰스님 법문집/10. 마음자리로 돌아가는 가르침

(40)
7. 어록에 있는 염불법문 7. 어록에 있는 염불법문 마음이 곧 부처요, 부처가 바로 마음이라. 마음 밖에 부처가 없고 부처 밖에 마음이 없도다. 自性彌陀何處在 時時念念不須忘 一朝忽得情塵落 倒用橫拈常不離 자성미타하처재 시시염염불수망 일조홀득정진낙 도용횡념상불리 -나옹대사(懶翁大師) 나옹스님 어록에 “우리 자..
6. 경론에 있는 염불법문 6. 경론에 있는 염불법문 사실 염불이 하기는 가장 쉽습니다. 나도 부처요, 너도 부처요, 원래 우리가 가고자 하는 것도 부처요, 누구나가 할 수 있는 것이니까 쉽기는 쉽지요. 念佛三昧 能除種種 煩惱 及 先世罪 『智度論-七』 염불삼매 능제종종 번뇌 급 선세죄 『지도론-칠』 용수보살 대지도론(大智..
5. 실상관과 선과 염불선 5. 실상관과 선과 염불선 우리 본래면목이 바로 아미타불이요, 마음이 청정하면 현실세계 그대로 극락세계이니 염불도 근본성품을 안 여의고 한다면 곧바로 참선이요, 참선과 염불이 다를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선(禪)이란 가상(假相)과 가명(假名)을 여의고 불심(佛心) 곧 중도실상(中道實相)의 본체..
4. 염불삼매 4. 염불삼매 우리가 공부할 때 무진 애를 쓰고 공부는 하는데 그럴만한 인연이 성숙하면 자기도 모르는 가운데 앞이 확 열려서 부처님이 분명히 앞에 나오십니다. 염불삼매(念佛三昧)에는 인(因)과 과(果)의 두 경계가 있습니다. 일심으로 부처님의 상호를 관하는 관상염불(觀像念佛)을 하거나 또는 일..
3. 부처님의 명호 3. 부처님의 명호 부처님 법은 무장무애(無障無礙)하고 평등일미(平等一味)이기 때문에 부처라는 평등일미 자리에는 높고 낮은 우열이 있을 수 없는 것입니다. 우리 스님네나 재가 불가들 가운데 ‘어떤 부처를 염해야 할 것인가?’하고 갈등을 일으키는 분이 있습니다. 『지장경(地藏經)』을 보면 지..
2. 염불의 종류 2. 염불의 종류 염불이라고 하면 부처의 이름, 명호를 외우는 칭명염불(稱名念佛)이 있고, 부처의 32상 80종호를 갖춘 원만덕상을 관찰하는 관상염불(觀像念佛)이 있고, 그 다음은 또 관상염불(觀想念佛)이 있고, 그 다음은 실상염불(實相念佛)입니다. 염불에도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보통 염불이라고 ..
제3장 염불선 念佛禪 제3장 염불선 念佛禪 1. 염불의 의의 염불 공부란 우리 눈앞에 좋다 궂다 시비분별하는 여러 가지 생각이 우리 본각(本覺)의 참 성품임을 각오(覺悟)하는 것이요, 이것이 곧 참다운 염불인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부처와 내가 본래 하나임을 재확인하는 공부입니다. 공부가 익어져서 한 고비를 넘어서면..
19. 모든 사람을 부처로 보라 19. 모든 사람을 부처로 보라 난리를 넘는 가장 슬기로운 지혜가 무엇인가 하면 모든 사람을 다 부처같이 보는 것입니다. 자비와 덕망이 난리를 이기는 가장 큰 보배입니다. 우리 생명의 길은, 우리가 가야할 길은, 우리 마음의 고향 길은 명명백백히 무수한 성자들이 다 증명한 길입니다. 이렇게 이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