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청화 큰스님 법문집/7. 보리를 깨닫는 방편문

보리방편문 해설 2-2

아무튼 이와 같이 천지우주, 산하대지, 준동함령蠢動含靈, 두두물물頭頭物物이 모두가 다 불성 아님이 없습니다. 이것 보고 ‘타성일편打成一片’이라 합니다.

이 문구는 꼭 외워두시기 바랍니다. ‘때릴 타’자, 타파한다는 타자 말입니다. ‘이룰 성’자, ‘한 일’자, ‘조각 편’자, 오직 우주 모두를 하나의 것으로 통일시켜 버립니다. 이렇게 하면 굉장히 마음이 편한 것입니다.

 

‘전자란 무엇이고, 양자란 무엇이고, 소립자란 무엇이고’ 이런 저런 정보가 너무 많으니까 다 몰아서 萬法歸一만법귀일이라, 하나의 것으로 통일을 시키면 참 편한 것입니다. 불성은 행복도 충만하고 지혜나 모두가 완전무결한 것이기 때문에 다 통일이 됩니다.

 

지금도 문맹이 많습니다만 부처님 당시 인도 지방은 문맹이 대부분이었겠지요. 따라서 그 당시는 고도한 법문을 할 수가 없습니다. ‘제법諸法이 공이라, 또는 일체만유一切萬有가 꿈이요, 허깨비요, 그림자라.’ 이렇게 말해도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초기법문은 법문이 쉽습니다. 선도 있고, 악도 있고, 내가 있고, 네가 있고 중생차원에서 될수록 나쁜 짓 하지 말고, 좋은 일 하고 즉 말하자면 낮은 차원의 윤리만을 주로 말했습니다.

 

따라서 수행법도 그때는 부정관不淨觀이라, 사람 몸뚱이에는 눈물, 콧물, 오줌, 침 등 결국은 더러운 것뿐이란 말입니다. 아무리 미인이라 하더라도 껍질을 벗겨 놓으면 미인이 될 수가 없습니다. 껍질을 둘렀으니까 예쁘게 보이는 것이지, 껍질을 벗기면 내내야 살덩어리고 선지피만 흐르고 하겠지요. 그렇기 때문에 그와 같이 ‘인간은 더러운 것뿐이다.’ 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무식한 때라서 응당 그렇게 하겠지만 어째서 부정관을 시켰는가하면 사람들은 자기 몸End이만 생각합니다. ‘살밑에는 피가 있고 고름이 있고 생각하면 할수록 더러운 것뿐입니다. 그러다 죽어서 시체가 썩어지면 가는 것이고, 또 불로 태우면 재만 남는 것이고 이 몸뚱이는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가 다 오염된 것뿐입니다. 어머니 태 안의 더러운데서 지내다가 나오고 말입니다. 하여튼 날 때부터 죽을 때 까지 사뭇 더러운 것뿐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결국에는 ‘몸뚱이에 집착할 필요가 없구나. 이런 것 가지고서 내 생명을 낭비할 필요가 없구나.’ 해서 부정관의 공부가 익어지고 차근차근 깊이 들어가면 욕심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우리 마음이 불성 쪽으로 접근되면 접근된 만치 자기 몸에 대한 집착은 차근차근 희미해집니다. 희미해지면 희미해진 만큼 법을 더 아는 것입니다. 스승한테 안 배워도 가슴도 시원해지고 머리도 시원해지고 눈도 시원해지고 지혜가 나옵니다.

 

어제 서강대에서 공부한 30대 청년이 한 분 왔는데 그 분 말이 조리가 딱 섭니다. 그런데 가만히 보니까 선신善神, 하나의 신장이 붙어있습니다. 접신接神이 되어 있습니다. 인간은 선신보다는 의식차원이 조금 더 밑에 있겠지요. 인간이 모르는 것을 선신은 다 아는 것이고, 귀신도 사람보다 훨씬 더 미련한 귀신도 있습니다. 분명히 있지만 귀신이라는 것은 몸이 없어놔서, 사람은 몸에 집착하고 가려서 잘 모르는 것인데 몸만 없으면 확실히 다 아는 것입니다.

 

미국에서 일어나는 사태 같은 것도 귀신들은 봅니다. 확실히는 못 봐도 어렴풋이는 보는 것입니다. 역시 그렇게 몸이 없어가지고 시공時空에 대한 제한을 안 받는 것입니다. 우주란 것은 그와 같이 신비에 찬 것입니다. 귀신이나 사람이나 모두가 다 근본 성품은 불성佛性이기 때문에 결국 몸뚱이와 같은 장애만 떠나버리면 다 보이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당시는 진심瞋心이 많아서 조금만 기분이 상하면 핏대를 올려서 남을 증오하는 사람들은 자비관慈悲觀을 주로 하라고 했습니다. 자비관은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사람을 생각하면 마음이 좋아집니다. 그래서 가까운 사람을 항시 생각합니다. 가까운 사람들을 생각하다 보면 좋아하는 마음이 잠재의식에 딱 박혀서 차근차근 다른 사람도 사랑합니다. 그와 같이 진심이 많은 사람들은 가까운 사람들을 생각해서 자비심을 더욱 더 확장을 시킵니다.

 

이치를 몰라서 미련한 사람들은 인연관因緣觀을 주로 하라고 했습니다. 중생들은 보통 원인은 생각을 않고서 결과만 보고서 따집니다. 무슨 사태가 일어나도 그냥 결과만 보고서 선악을 판단하고 남을 경계하고 심판합니다. 그러나 원인을 생각할 때는 그렇게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런데 원인과 결과, 인과因果를 가려서 생각하다 보면 마음이 차근차근 트여갑니다.

 

부처님 법은 인과법입니다. 인과를 따져 가다가 ‘가장 시초의 원인이 무엇인가?’ 하면 불성입니다. 올라가고 올라가고 분석하고 따져보면 물질도 분석하고 알갱이를 나누고 하다보면 텅 비어버리는데 텅 빈 에너지가 바로 불성이기 때문에 사람 몸도 마찬가지고 우리 생각도 의식意識, 말나식末那識, 아뢰야식阿賴耶識, 암마라식菴摩羅識, 결국은 부처가 되어 버립니다. 그렇게 어느 면으로 보나, 하나의 티끌로 보나, 하나의 물로 보나, 뭘로 보나 결국은 모두가 각 원자로 구성되어 있어서, 원자의 근본이 불성이기 때문에 어떤 것이든지 분석해 들어가면 결국은 불성이 되어버립니다.

 

불성광명佛性光明, 이것은 훤히 천지를 비추는 것입니다. 천지를 무장무애無障無礙로 비추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런 확신을 꼭 가지셔야 됩니다. 이런 확신도 역시 공부에 따라서 확신이 크고 적고 합니다. 공부가 차근차근 깊어지면 지금은 안 보이지만 ‘내 인간성의 근본인 불성광명은 우주를 훤히 비춘다.’ 이와 같이 확신이 서는 것입니다. 또 공부가 되어서 맑을 때는 저쪽도 볼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른바 천안통天眼通이라는 것은 시공을 초월해서 봅니다. 금타대화상의 천문학 같은 것은 천안통이 아니고서는 도저히 납득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천안통을 했으니까 지구의 내면, 화성의 내면, 수성의 내면, 또 각 성수의 질량, 열량 전부를 수치화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마음이라는 것은 그렇게 소중한 것입니다. 우리는 인간성이 소중한 것을 깊이 느껴야 합니다. 그렇게 소중한 마음인데, 소중한 마음을 멀리 합니다. 무엇 때문에 멀리 하는 것인가. 이 몸뚱이 때문이겠지요. 그래서 인도에서는 이 몸뚱이가 싫으니까 자기 스스로 칼로 찔러서 죽기도 하고 하니까 나중에 부처님께서 그건 안 된다고 자살을 금했습니다만, 사실은 우리가 자기 몸뚱이 더러운 것을 생각하면 당장 죽고 싶은 생각이 있겠지만, 그렇더라도 역시 본바탕은 부처입니다. 한 생각 바꾸어지면 결국은 천안통도 하고, 천지우주를 다 삼킬 수 있는 그런 지혜가 누구한테나 갖추어져 있으니까 우리가 그 쪽에다가 비전을 둔다고 생각할 때는 비로소 살맛이 나게 되겠지요. 그래서 초기에는 그와 같이 우리 눈으로 보는 그런 경계에 맞춰 우리 수행방법을 말했습니다.

 

염불念佛이란 것도 우리가 부처님을 찾고자 해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똥 마른 막대기’라는 화두話頭를 가지고 애써 마음을 통일시킬 수 있는 것인데, 하물며 ‘나무아미타불’이나 ‘관세음보살’에다 마음을 집중시키지 못할 까닭이 없겠지요. 염불이 가장 하기가 쉽습니다. 이 세상의 이름 가운데 가장 소중한 이름이 부처님이름이니까 말입니다.

 

어느 불자님 말씀이 ‘제 평생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만 해도 너무나 짧습니다.’ 라고 합니다. 그이가 아직은 젊은 분인데 참 귀한 말을 했습니다.

 

그런데 여러 가지 수행법이 많이 있습니다만, 바로 불성佛性 말씀을 못하고 현상적인 문제에 의지해서 불성으로 가는 쪽으로 얘기합니다. 그런데 방편을 떠난 진실설, 근기가 있고 이론적으로 체계도 있고, 또 본체를 얘기해도 알아들을만한 정도가 되면 불성을 바로 얘기합니다.

 

이것이 불교에서 말하는 교외별전敎外別傳이라,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교밖의 직지인심直指人心이라, 바로 마음을 얘기합니다. 그대가 학식이 있고, 몸이 있고, 여러 가지 이론체계가 많이 있지만 바로 그대 마음이 부처와 같습니다. 이와 같이 즉심시불卽心是佛이라, 그대가 지금 남을 미워하고, 좋아도 하고 그렇게 분별하는 그 ‘마음이 바로 부처’다. 이와 같이 직지인심이라, ‘곧 직’자, ‘가리킬 지’자, ‘사람 인’자, ‘마음 심’자. 그 사람 마음을 딱 집어서 ‘그 마음이 바로 부처다.’ 그런 법문이 가장 고도한 법문입니다.

 

이것도 있고 저것도 있고 이론적으로 여러 가지 체계가 많이 있지만, 그런 것은 모두가 우리 중생이 마음이 소중한 줄 모르고서 항시 겉만 중요하다고 생각하니까 ‘모두가 허깨비 같고, 꿈같고 공이다.’ 그렇게 해 가다가 일반 중생이 근기가 익어지면 ‘그대 마음이 바로 부처요, 천지우주가 산도 있고 풀도 있고 누렇고 푸르고 한다 하더라도 누렇고 푸른 것은 중생의 관점에서 누렇고 푸른 것이지 바로 보면 그것도 역시 부처’입니다. 불성佛性이란 말입니다.

 

당체즉시當體卽是라 산이면 산, 물이면 물, 또 하나의 티끌이면 티끌 당체當體 그대로 부처란 말입니다. 다만 중생은 잘못 보고, 성자는 당체를 그대로 부처를 봅니다. 그것이 가장 고도한 수행법입니다.

 

그래서 보리방편문普提方便門은 그와 같이 ‘우리 마음이 바로 부처’인 것을 조금도 군더더기가 없이 한 법문인 것입니다. 연원은 제2의 석가라고 하는 용수보살께서, 금타대화상께서 공부하실 때에 선정禪定 가운데서 감득하신 것입니다. 깊은 선정에 들면 과거·현재‧미래를 다 보는 것입니다. 그런 가운데 과거의 성자로 부터서 감응됩니다. 우리가 라디오나 텔레비전을 보면 라디오파나 텔레비전파를 교신합니다만, 가령 십만 년 전에 누가 말했다 하더라도 우리가 포착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도인들은 삼매三昧에 들면 몇 천 년 전의 일도, 미래의 일도 충분히 아는 것입니다.

 

우리는 어림도 없지만 그런 가능성을 믿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부처님은 모두를 다 알고 다 할 수 있다.’ 그렇게 믿어야 바른 불교신앙인 것입니다.

 

따라서 금타대화상께서 선정 가운데 용수보살에게서 우리가 공부하는데 있어서 현대에 맞는 가장 고도의 수행법이라고 해서 전수받은 것이 보리방편문입니다.

 

조금 난해합니다만 불교라는 것이 아주 번쇄하고, 참선參禪 공부라는 것이 인간의 문화사회에서 가장 고도의 수행법입니다. 이런 수행법을 몇 시간 동안에 윤곽을 잡으려면 어렵게 생각이 되시겠지요. 그러나 들어 두셨다가 나중에 생각해 보시면 감이 좀 잡힐 것입니다.

 

부처님의 수행법을 가장 체계를 잘 세운 분이 중국의 천태지의天台智顗스님입니다. 천태지의 스님의『마하지관摩訶止觀』이라는 책은 굉장히 난해합니다. 마하摩訶라는 말은 인도말로 위대하다는 뜻이지요. 지관止觀은 선정禪定과 지혜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칠 지’자, ‘볼 관’자, 지관이라는 뜻은 마음의 산란심을 그치는 것입니다. 즉 말하자면 마음을 고요히 하는 것입니다. 뭘 비추어보는가 하면 우리가 본성을 못 보지만, 부처님말씀에 따라서 우리가 비추어 보는 것입니다.

 

불성佛性이라는 것은 결국은 불생불멸不生不滅이라, 낳지도 않고 죽지도 않고 영생합니다. 그런 불성 가운데는 물질적인 질료는 아무 것도 없고 시간성, 공간성을 초월했습니다. 또 그 가운데는 일체존재의 모든 가능을 갖춘 하나의 광명光明으로 차 있습니다.

 

이런 부처님말씀을 우리 중생은 볼 수는 없다 하더라도 물리학적인 지식을 동원하면 어느 정도 납득이 갑니다. 그러니까 항시 학교에서 배우신 물리학적인 지식을 상기하시기 바랍니다. 물리학이나 수학 같은 지식이 우리가 철학할 때도 필요한 것인데, 저는 원래 수학을 잘 못해서 철학서를 보면 막혀서 이따금 답답한 때가 있습니다만, 확실히 물리학적인 소양은 현대적인 의미에서는 굉장히 필요합니다.

 

어쨌든 과학이라는 것이 물리학이라 하는 하나의 이론과학의 체계위에 서 있어서 지금 과학시대에는 물리학을 모르면 아주 불편합니다. 물리학도 일체의 물질을 파괴하면 결국은 나중에 에너지라는 광명만 남는 것을 증명을 합니다. 입자의 파동설, 입자설 말입니다. ‘전자란 무엇인가?’ 전자를 가장 극소화시키면 하나의 광입자입니다. 그것은 하나의 광명체입니다. 우주에는 그런 광입자가 충만해 있습니다.

 

따라서 우주란 것은 물질을 분석하고 분석하면 우주에 빈틈도 없이 광입자로 충만해있습니다. 우주의 어디나 다 소립자로 충만해있습니다. 그와 같이 안다고 생각할 때에 부처님께서 ‘우주가 불성뿐이다, 부처님뿐이다.’라고 하신 말씀도 우리가 물리학적 관점으로 비추어 본다고 할 때 거짓말이 아니겠구나. 이렇게 짐작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부처님경전 가운데서 양적으로 가장 많은 것이 제법공諸法空사상입니다. 이른바 『금강경金剛經』 같은 도리를 부처님께서 22년 동안이나 되풀이해서 말씀하셨습니다. 우리 같은 사람도 ‘모두가 허망하고 꿈이요, 허깨비요’ 몇 번 들으면 듣기가 싫어지지만 중생들이 잘 못 알아들으니까 20년 간 이나 말씀하셨습니다. 일초의 몇 만분의 일 동안도 이 몸뚱이가 그대로 있지 않지만 그걸 모르니까 이 몸뚱이가 고유하다고 보기 때문에 중생들에게 ‘허깨비 같다, 꿈같다’ 해도 못 알아듣습니다.

 

『육조단경六祖檀經』에도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이라, 본래 아무 물도 없다. 천지우주가 물질로 꽉 차있는데 ‘아무 것도 없다’고 합니다. ‘어째서 없는 것인가’ 이것도 역시 물리학을 공부한 사람들은 그냥 생각이 됩니다. 물질은 에너지고, 에너지는 파동뿐이니 말입니다. 물질이 아닌, 질료가 없는 즉 공간성이 없는 에너지가 파동에 따라서 하나의 물질로 보입니다.

 

우리가 횃불을 빙빙 돌리면 불덩어리가 됩니다. 그러나 불덩어리가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즉 말하자면 세포가 이렇게 합해지니까, 사람 몸뚱이로 보이는 것입니다.

 

가장 미세한 원자를 생각해 놓고 보십시오. 원자는 원자핵을 중심으로 해서 전자가 돕니다. 어떠한 존재나 모두가 다 원자로 구성 되어있는 것인데 전자 몇 개가 도느냐에 따라 산소, 수소의 차이가 있습니다. 원자핵에 전자가 하나 돌면 그것이 수소 아닙니까. 그런데 원자핵과 바깥에 도는 전자 사이는 텅 비어있습니다.

 

그런 원자핵과 전자의 사이와, 태양과 지구와의 사이도 텅텅 비어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비율이, 태양하고 지구와의 공간의 비율보다도 원자핵과 전자와의 거리가 더 비어있습니다. 태양과 지구와도 텅텅 비어있는데, 모든 물질이 근원적으로 원자의 핵과 전자의 사이가 텅텅 비어있습니다. 또는 원자와 다른 원자 사이도 텅텅 비어있습니다. 그렇게 비어있는 것이 모여서 우리 몸도 구성하고 물질도 구성했습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우리 몸을 ‘빌 공’자, ‘모일 취’자, 공취空聚라 합니다. 공취라, 텅 빈 공무더기입니다. 텅 빈 공이 모여서 우리 세포가 되었습니다. 근본인 원자가 비었거니 ‘원자핵은 무엇인가?’ 핵도 에너지가 도는 하나의 파동에 불과합니다. 전자 역시 에너지의 파동에 불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실은 물질이 되었다 하더라도 그 속은 다 에너지뿐입니다. 근본 본질을 본다고 생각할 때는 중생이 되고 뭣이 되고 했더라도 본바탕에서 보면 모두 부처뿐입니다.

 

이렇게 텅 빈 것인데 그 몸뚱이가 텅 빈 줄을 모르니까 부처님께서 22년 동안이나 『금강경』과 같이 아상我相도 없고 인상人相도 없고, 그 ‘상이 없다’는 말을 하신 것입니다. 잘났다 못났다, 네가 있고 내가 있고 개가 있고 소가 있고 그런 것이 다 상입니다. 상이 없다는 것을 설득시키기 위해서, 상이 없는 것이 불이고 도인이고 성자고, 상이 있으면 범부凡夫고 중생衆生 입니다. 간단명료합니다. 상이 없으면 성자이자 부처고, 상이 있으면 범부요 중생입니다.

 

우리가 관조觀照 할 때에 뭘 비추어 보는가 하면 초기에 사람들이 아직 미숙할 때는 ‘태양을 보라’고 하고, ‘서쪽으로 뉘엿뉘엿 지는 황혼을 보라’고 하고, 이렇게 ‘영롱한 물을 보라’ 합니다. 영롱한 물을 보면 우리 혼탁한 마음이 차근차근 맑아지겠지요. 그렇게 장엄스러운 태양이 석양으로 져가니까 자구 보다보면 마음이 맑아옵니다.

 

조금 더 올라가면 그리운 부처님을, 예수님을 우리가 이렇게 봅니다. 마리아상도 보고, 부처님 상도 보고 그렇게 하면 우리 마음이 모아집니다. 이렇게 해서 현상을 보고서 관조하는 그런 법을 지도했지만, 가장 고도한 현상의 실상實相은 ‘모양이 없고, 순수한 생명뿐이다’ 이렇게 순수한 생명을 인정할 정도가 되면 오로지 불심佛心만 남습니다. 천지우주는 불성佛性뿐이란 말입니다.

 

‘지관止觀’이란 우리 마음을 무슨 경계에 놓고서 비추어 보는 것인데, 그런 것 가운데서도 가장 위대하니까 마하지관摩訶止觀이라 하는 것입니다. 우리 마음을 에누리가 없이 불성 그 자리에 둡니다. 그것이 천태지의가 부처님 일대시교一代時敎를 하나로 묶은 가장 고도한 수행법입니다.

 

마하지관은 어려워서 지금 사람들은 보려고도 안 합니다만, 마하지관에서 하는 수행법하고 보리방편문에서 하는 수행법하고 비슷비슷합니다. 제가 생각할 때에는 이 보리방편문이 훨씬 더 우수한 것 같습니다. 마하지관은 우리 마음을 바로 ‘공’이요, ‘가’요, ‘중’이요 그렇게 봅니다. 우리마음으로 보는 모든 인식이 텅 비었습니다. 중생은 실존을 못 봅니다. 물物자체를 못 보기 때문에 우리가 보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따라서 모든 것이 다 비었다 하는 것이 공입니다.

 

그 다음에는 ‘거짓 가’자, 텅 비었다 하더라도 아무 것도 없는 공이 아니라 무엇인가 일체 존재가 이루어지는 일체의 ‘가’를 다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가운데 중’자, 중 이것은 공과 가를 다 포함해 있습니다. 공도 아니고, 가도 아니고, 색도 아닙니다. 그와 같이 다 포함시키면 ‘중도中道’입니다.

 

천태지의 선사의 마하지관은 이것만 가지고도 굉장히 난해한 법문입니다. 그래서 깊이는 안 들어갑니다. 보리방편문도 약간 비슷합니다. 공‧가‧중 이것은 불성을 의미화 시켜서 보기 때문에 생명적인 역동성이 별로 없습니다. 그러나 거기에 비해서 방편문은 생명을 화석화 시키지 않고서 그대로 공부하는 법이기 때문에 더 우수하다는 말씀을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전제가 너무 늦었습니다만 보리방편문의 체계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보리방편문의 구성을 보면 ‘마음이 바로 부처’임을 잘 설파했습니다. 부처님 법문 가운데서 가장 고도한 법문이 ‘심즉시불心卽是佛’이라, ‘마음이 바로부처’라는 말씀입니다. [앞의 표 참조]

 

그러면 ‘지금 이 좁은 마음이 어떻게 해서 부처일 것인가.’ 그냥 그렇게 회의를 품습니다만 이것은 우리 마음의 표면에 불과합니다. 우리가 쓰는 ‘나요, 너요, 또는 좋다, 궂다’하는 그 마음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고 우리 마음의 저변은 무한대로 우주를 감싸고 있습니다. 김가라는 사람 마음도 역시 천지우주를 감싸고 있고, 박가라는 사람 마음도 역시 천지우주를 감싸고 있습니다. 시공을 초월한 것이 마음이기 때문에 무장무애無障無礙라, 박가 마음이나 김가 마음이나 모두가 똑같이 천지우주를 감싸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갇혀있는 마음을 우리가 잘 느껴야합니다. 그 마음은 ‘아’에 갇혀있는데 이 마음을 해방시켜서 본래 마음자리로 환원을 시켜야 하는데, 이것이 불교입니다.

 

비유를 들자면 태양의 체는 청정법신淸淨法身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에 해당하고, 태양광선 태양광명은 원만보신圓滿報身 노사나불盧舍那佛에 해당하고, 태양의 그림자는 천백억화신千百億化身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에 해당합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물질이 아니고서 우주에 충만해 있는 성품이 거기에 충만해 있으니 성그러는 것이고 또 이 자리에서 일체현상이 나오니까 상그러는 것입니다.

 

천태지의 스님이 말한 공‧가‧중을 배대하면 배대가 정확하지는 않지만 비슷합니다.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은 아미타불阿彌陀佛의 ‘타’에 배대 시키고, 원만보신 노사나불은 아미타불의‘미’에 배대 시키고, 또 일체존재 ‧ 일체만유를 아미타불의 ‘아’에 배대 시켰습니다. 따라서 천백억화신의 상만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원만보신의 성만 따로 있는 것도 아닌 것이고, 청정법신의 공만 따로 있지 않습니다.

 

우리가 불빛을 볼 때 겉으로 보이는 것은 불빛이지만 이 안에는 성과 공이 다 들어있습니다. 그 반대로 공 가운데도 역시 공만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성과상이 동시에 다 있습니다. 따라서 삼위일체三位一體입니다. 삼위일체라, 법신法身‧보신報身‧화신化身 삼신三身이 있다 하더라도 결국은 하나의 부처입니다. 방편적인 의미에서는 ‘아미타불은 저 서방정토 극락세계에 계신다.’ 이렇게 생각합니다만 제일의적第一義的인, 방편을 떠나버린 해석을 할 때는 천지우주가 바로 아미타불입니다.

 

그러면 ‘관세음보살은 무엇인가?’ 천지우주인 아미타불의 자비가 관세음보살입니다. 그러면 ‘문수보살은 무엇인가?’ 천지우주인 아미타불의 지혜가 문수보살입니다. 그렇게 부처 이름이 많이 있지만 모두가 뿔뿔이 있지 않습니다. 부처님 공덕이 하도 많아서 하나의 개념으로는 표현을 못하니까 공덕 따라서 그대그때 이름이 붙습니다. 중생의 병고를 다스릴 때는 약사여래藥師如來라, 하늘에 있는 각 성수星宿를 다스릴 때는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 칠원성군七元星君입니다. 모두가 결국은 부처님의 화신인 것입니다.

 

결국은 ‘마음이 바로 부처’인데 ‘마음은 무엇인가?’ 달마대사의 『관심론觀心論』에 보면 마음을 맨 처음부터서 풀이했습니다. 마음은 기묘한 것이어서 우리가 생각할 때에는 별것도 아닌데 마음을 파고 들어가면 의식意識이요, 말나식末那識이요, 아뢰야식阿賴耶識이요, 암마라식菴摩羅識이요, 결국은 부처가 되어 버립니다. 어떠한 것이나 결국은 들어가면 다 부처가 되어 버립니다. 산이요, 내[]요, 티끌이요, 또 원소요, 소립자요, 결국은 마음이 되어 버립니다.

 

그래서 그 『화엄경』보면 우주란 것은 종으로 횡으로 얽히고설키고 딱 묶여있습니다. 우주가 하나의 생명덩어리인 것입니다. 하나의 생명덩어리인데 나만 잘 살고 남이 못 살면 균형이 깨집니다. 균형이 깨지면 무슨 소리가 나옵니다. 그래서 우리가 천지우주의 도리에 맞게 살면 되는데 우리 중생은 겉만 보고, 모양만 보고 자기 몸뚱이가 자기 것도 아닌데 자기 권력이고 무엇이고 자기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부처를 불경佛經에서는 중생의 근기 따라서 말씀합니다. 보리普提, 도, 열반涅槃, 법성法性, 실상實相, 여래如來, 주인공主人公, 본래면목本來面目, 진여眞如, 극락極樂으로 표현되지만 모두가 결국은 부처의 별명에 불과합니다. 이명동의異名同意라, 이름은 다르고 뜻은 같습니다. 그래서 불경을 보다가 이렇게 나오고 저렇게 나오고 하면 무엇이 무엇인지 모르는데, 결국 따지고 보면 불성을 말하고 있습니다.

 

불교는 어떤 때는 현상만 가지고 상만 말한 법문도 있고, 어떤 법문은 성만 말한 법문도 있고, 어떤 법문은 체體만 말한 법문도 있고 하니까 중생이 상만 말한 법문을 보다 보면 성과 체는 잘 모릅니다. 그래서 옛날 소박할 때는 그렇게라도 통할 수가 있었으나, 현대는 그렇게 치우친 불교해석을 하면 잘 통할 수가 없습니다.

 

부처님 법문은 그때그때 시대에 맞게 한 법문이기 때문에 현대는 이것저것 다 종합적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되는 때입니다. 따라서 같은 수행법도 ‘몸이라는 것은 더럽다.’ ‘모두는 다 비었다.’ 이렇게 생각하는 공부가 사실은 중생들에게 실감이 갈 수가 없습니다. 이렇게만 생각하면 우리는 허무를 느낍니다. 지금은 별 것이 아니지만, 우리 마음의 저변은 부처이기 때문에 부처님 가르침 같이 고도한 법문이 아니면 우리 마음이 안정을 못 취하고 항시 불안스럽습니다. 있다 해도 불안스럽고, 또는 텅 비었다해도 불안스럽고 ‘전부가 다 부처다.’ 이렇게 되어버려야 이것이 본래의 성품이기 때문에 마음이 맑아지고 풍요해집니다.

 

따라서 우리 마음이 가장 풍요한 행법行法, 또는 현상이나 실상이나 모두를 종합적으로 수렴한 법문이 천태지의 선사의 법문 같은 것입니다. 이 법문은 우주만유를 하나의 도리로 딱 통달해 버립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가 체험은 미처 못 했다 하더라도 마음이 개운한 것입니다. 죽어도 죽지 않고, 아파도 우리 불성은 아프지 않고, 아프다가도 우리가 불성을 생각하면 그렇게 아프지 않습니다. 이런 불성자리에다 마음 두고 사는 것이 우리 불교인의 생활입니다.

 

염불도 부처하고 하나가 되기 위해서, 우리가 본래 부처니까 앞을 보나 뒤를 보나 위를 보나 아래를 보나 결국은 부처뿐인 것이니까 부처를 안 떠나기 위해서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옛날에 방편염불로 ‘저만치 밖에서 부처님을 부르면 우리한테 와서 가피加被를 준다.’ 이렇게 생각했지만 사실 원래 염불이라는 것은 그런 것이 아니라, 바로 앞을 보나 뒤를 보나 이것 보나 저것 보나 ‘모두가 부처다.’ 이렇게 부처님을 우리가 염불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