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청화 큰스님 법문집/7. 보리를 깨닫는 방편문

보리방편문 해설 1

보리방편문 해설 1

 

 

 

다 우리가 아는 일입니다만, 인간은 누구나가 자기 안전을 구해서 마지않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사유활동이 전개가 되고 차근차근 발전된 뒤에는 생각을 좀 해서 ‘어떻게 하는 것이 바른 생활인 것인가? 어떻게 하는 것이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안전한 생활인가?’ 이와 같이 행복을 추구해서 마지않았습니다. 인류 문화사 이후에 행복을 추구하는 인간의 노력과 실패가 있었습니다만 모두가 다 행복을 추구하고, 안전을 추구하는 노력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하면 인간이 행복할 것인가?’ 인간의 행위라는 것은 마땅히 먼저 행위를 할 수 있는 근거인 사유체계가 필요할 것입니다. ‘어떻게 생각해야 할 것인가? 어떻게 생각하는 것인 바른 생각인 것인가? 또는 우리 인간의 본래는 어떤 것인가?’

 

이런 문제에 관해서 불교는 불교대로, 기독교는 기독교대로, 또 현대과학은 과학대로 여러 가지의 가르침이 있습니다. 그러나 석가모니가 가신지 250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만 그런 가지가지의 사유체계 가운데서 완전한 것을 볼 수가 없습니다. 그렇게 많은 사상체계가 있다 하더라도 오늘날에 와서도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을 다시 찾지 않을 수 없습니다. 부처님 가르침이외의 다른 가르침은 하나의 상대적인 대안적인 가르침이라, 완벽한 가르침이 못됩니다.

 

따라서 제가 오늘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도 부처님 가르침, 즉 2500년 동안이나 가지가지 비판을 다 거치고, 또는 여러 가지 사상체계를 다 수용하고도 오히려 남음이 있는, 즉 ‘인간이 구하는 행복이라 하는 문제에 있어서 가장 명확한 해답을 내릴 수 있는 것이 부처님 가르침’ 이라는 확신이 서기 때문에 제가 오늘 부처님 가르침에 대해서 다시 한 번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입니다.

 

제가 오늘 말씀드릴 주제는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입니다. 보리방편문의 연원은 다시 발할 것도 없이 부처님 가르침입니다만, 제2의 석가라 하는 용수보살의 저술중에 『보리심론菩提心論』이라 하는 논장이 있습니다. 보리菩提는 아시는 바와 같이 참다운 진리, 즉 다시 말하면 방편적인 것을 떠난 참다운 최상의 진리, 이른바 우주만유 본래의 제일의적第一義的인 진리입니다. 따라서 보리심을, 즉 참다운 진리를 깨닫는 방편의 말씀이 용수보살의 『보리심론』에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말씀드릴 보리방편문도 『보리심론』에 근거하지만, 특히 금타대화상金陀大和尙께서 공부를 하셔서 선정禪定중에 전수 받으신 법문입니다. 잘 납득이 안 가신 분들은 모르실 것이지만 선정이라 하는 것은 산란한 마음을 잠재우고서 마음을 참다운 본심자리에 딱 머물게 합니다. 즉 상대유한적인 생각은 다 쉬어버리고서 우주와 나와 둘이 아니라는 그런 경계가 딱 머무는 자리, 이것이 삼매三昧입니다. 이런 삼매에 들어가면 과거나 현재나 미래를 통틀어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

 

우리 인간의 마음이라 하는 것은 이렇게 귀중하고 무한한 능력이 있는 것입니다. 현재뿐만이 아니라 과거 무수세월 동안 지냈다 하더라도 불교적인 표현으로 하면 무시이래無始以來라, 한도 끝도 없는 오랜 과거도 알 수가 있는 것이고, 또는 한도 끝도 없는 무종無終이라, 끝도 갓도 없는 미래도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 이런 것이 삼매의 기운입니다.

 

삼매를 무시한 분들은 그냥 이러한 삼매 가운데 들어있는 신통 자재한 기운을 무시하기도 합니다만 이것은 부처님 경전에 있는 엄연한 사실입니다. 우리 인간 능력이라 하는 것은 산란스러운 마음을 쉬고 상대유한적인 생각을 떠나서 영원적인 불생불멸하고 불구부정하고 또는 부증불감한 그런 참다운 인간성人間性 ‧ 불성佛性 ‧ 우주성宇宙性 여기에 하나가 된다고 생각할 때 인간이라는 것은 부사의不思義한 힘을 낼 수가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금타대화상님께서 이러한 삼매에 들으셔서 제2의 석가라 하는 용수보살한테 직접 받은 수행방편문이 즉 보리방편문입니다. 따라서 어느 때는 상당히 비판도 받았습니다. ‘괜스레 복잡한 것을 내놓지 않았는가. 또는 이런 것이 과연 사실인가?’ 하는 정도로 여러 가지 비판을 받았습니다만 오늘날 여러 석학들이나 불교에 대해서 공부를 하신 분들이 가치를 인정하니까 지금은 비판하는 분들이 거의 없습니다.

 

왜냐하면 부처님 8만천 가르침 가운데서 가장 정수를 뽑아 놓았고 그뿐만이 아니라 참선參禪, 염불念佛, 주문呪文과 같은 모든 수행법을 하나로 통합시켰습니다.

 

현대사회는 우리가 신앙을 한다 하더라도 체계가 있어야합니다. 다 종교 사회인지라, 다른 종교와의 구분을 명확히 할 수 있는 그런 체계가 아니고서는 바른 신앙을 가질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보리방편문은 짤막한 그런 법문 가운데서 불교의 정수를 말하고 있고, 다른 종교보다도 훨씬 더 앞서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금타대화상 말씀을 빌리면 ‘견성오도見性悟道의 첩경捷徑이라, 견성오도 하는 지름길입니다. 이것은 여러분들이 제 말씀을 들으시고서 나중에 공부를 하시면 느낄 수가 있을 것입니다.

 

이와 같이 보리방편문의 골격을 먼저 말씀드리는 것이 바른 순서가 되기 때문에 제가 먼저 보리방편문을 말씀드리기 전에 우선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가르침, 또는 그 뒤에 각 도인들이 부처님말씀의 체계를 세워 놓으신 것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 짤막한 시간에 부처님의 방대한 가르침을 제가 말씀드릴 수는 없겠지요. 그러나 어떤 누구나가 납득이 갈 수가 있고 꼭 알아야 될 그런 체계만 제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이것이 이른바 삼시교판三時敎判입니다. 이것은 각 도인이 나오면 도인들이 자기들의 견해에 따라서, 자기들이 공부한 그런 정도에 따라서 부처님의 일대시교一代時敎,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그런 가르침을 하나의 체계로 비판해서 묶었습니다.

 

가령, 한국의 원효스님 같으면 원효스님대로 자기가 부처님 가르침을 느낀 대로 비판해서 하나의 체계를 세웁니다. 또는 중국의 천태스님 같으면 천태스님 자기 나름대로 부처님의 일대시교, 부처님의 가르침을 비판해가지고서 하나의 체계를 세웁니다.

 

삼시교판 이것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형상적으로 구분을 세워서 비판한 것입니다. 또 더 구체화시키면 교상판석敎相判釋이라, 부처님의 가르침의 상상을 비판해서 해석 한 것이 판석判釋입니다. 이것은 세 가지의 시기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비판해서 체계를 세웠습니다. 세 시기라 하는 것은 부처님의 가르침의 차원 정도에 따라서, 깊고 옅은 정도에 따라서 세 가지 시기로 나누었습니다. 이 정도는 우리 불자님들이 꼭 알아두셔야 불교뿐 아니라 다른 종교나 철학을 비판할 때도 굉장히 큰 도움이 됩니다.

 

맨 처음에는 제일시교第一時敎라, 일시교一時敎 이것은 ‘제법실유諸法實有이나 인아人我의 공무空無를 밝히니라.’ 제가 풀이해서 말씀드리면 제법諸法이 예를 들어 하나의 산이요, 또는 내[]요, 선이요, 악이요, 또는 불교 과학적으로 말하면 지요, 수요, 화요, 풍이요 바람 기운이나 또는 물 기운이나 또는 흙 기운이나 또는 불기운이나 그런 것이라든가, 또는 인간세상, 인간이 볼 수 있는 유정有情, 무정無情, 유상有相, 무상無相, 그런 법이 실제 있다고 합니다. 그런 제법이 실제로 있으나 ‘인아’의, 사람은 결국은 ‘공무空無’라, 사람은 텅 비어서 없다는 가르침입니다.

 

우리는 부처님 가르침을 공부할 때 조금 더 비장한 각오가 필요합니다. 우선은 복을 빌고 자기가 잘되고 그런 차원에서는 부처님의 참다운 가르침의 맛은 못 보는 것입니다. 물론 우리가 복도 받아야 하고 여러 가지 기복적인 것도 필요하고 그런 것이 부처님 가르침 안에 분명히 있습니다만 부처님 가르침은 거기에 그치지 않습니다. 이기적인 자기 행복을 구하는데 그치지 않는 것이 부처님 가르침입니다. 부처님 가르침은 과학도 초월하고 윤리도 초월해 있습니다. ‘인아의 공무’라 사람이라는 것은 원래 비어있습니다. 그러나 이 말은 인간의 상식을 떠나 있는 말입니다. ‘내가 분명히 있는데 내가 어째서 비어있는 것인가?’ 이렇게 우리가 의심을 품어야합니다.

 

또는 이와 같이 고도한 부처님 가르침에 대해서 우리가 소양이 없다고 생각할 때에는 다른 종교와 불교와의 한계도 모호해지고 마는 것입니다. 가장 초기에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가르침 가운데도 벌써 ‘내가 원래 없다’는 아상我相이 없다는 ‘무아無我’를 말씀했습니다. 부처님 가르침에 무아란 말이 안 들어가면 불교가 못되는 것입니다.

 

여러분, 분명히 아셔야 됩니다. 아무리 자기가 좋다 하더라도 무아라는 것을 모르면 불교를 말할 자격이 없습니다. ‘어째서 무아인가?’ 이것은 불교를 공부하고 신앙을 가지신 분들은 대체로 아십니다만 지 ‧ 수 ‧ 화 ‧ 풍 사대 바람 기운, 불기운, 땅 기운, 물 기운 이러한 기운이 잠시간 우리 몸의 세포를 구성했습니다. 지금 식으로 말하면 산소, 수소, 탄소, 질소 그 외의 여러 가지 원소가 그때그때 인연 따라 합해져서 우리 몸을 구성했습니다.

 

인연 따라서 구성됐기 때문에 인연 따라서 구성 된 것은 그때그때 순간순간 변천해서 마지않습니다. 이른바 ‘전변무상轉變無常’이란 말입니다. 비록 사람 몸뿐만이 아니라 어떠한 것이나 인연 따라서 잠시간 합해진 것은 그때그때 변동해서 마지않습니다. 따라서 고유한 ‘나’라는 몸뚱이가 사실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가장 초기적인 부처님의 가르침도 이와 같이 ‘인아무아’라, 사람이 원래 없다하는, 사람 몸뚱이가 우리 중생이 잘 못 봐서 내가 있다고 하는 것이지 바로 본다고 생각할 때는 분명히 없다고 했습니다. 이 도리를 아셔야 합니다.

 

‘어째서 없는 것인가?’ 그것은 산소나 수소나 탄소나 질소나 이런 각 원소가 인연 따라서 잠시간 합해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세포가 합해 있어서 이것이 조금도 쉬지 않고 그때그때 변동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유한 ‘나’라는 것이 존재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초기불법에서도 “나라는 것은 원래 없는 것이고, 그러나 산소나 수소나 탄소나 질소나 지나 수나 화나 풍이나 산이나 내[]나 이런 것은 있다”고 말씀했습니다.

 

‘자기가 없다, 사람이 없다.’ 이것만도 엄청나게 어려운 것인데 하물며 사람 몸을 구성한 원소인 바람 기운, 물 기운, 불기운 그런 기운마저 없다고 생각할 때는 중생이 도저히 불교를 믿을 수가 없겠지요.

 

부처님께서는 보리수하菩提樹下에서 성도하시고서 “내가 차라리 말을 안 해야겠다.” 차라리 부처님께서 말을 않고 바로 열반涅槃에 들으시려고 마음을 먹으셨습니다. 왜냐하면 욕심에 가리고 진심瞋心에 가린 중생들이 천상천하에 둘도 없는 무상無常 진리를 알 수가 없습니다. “내가 말해 본댔자 업장 많은 중생들은 못 알아듣는다. 자기가 있다고 생각하고 고집하고 사는 사람들이 내 말을 곧이 안 들을 것이다. 또는 수긍한다 하더라도 지키지 못할 것이다. 차라리 그럴 바에는 나만 수고스러우니까 말을 안 해야겠다.”

 

이렇게 해서 부처님께서는 성도成道하신 다음에 우주의 진리를 훤히 아셔서 “원래 나도 없고 너도 없고 천지우주가 모두 허망虛妄무상하다. 인간 눈으로 보는 모든 것은 뜬 구름이요, 물거품 같다. 이렇게 진리를 말해도 모를 것이다.” 해서 그냥 열반에 들으시려고 마음먹었지만 범천梵天이라 하는 신장神將이 나와서 ‘세존이시여, 비록 일반 어리석은 대중은 모른다고 하더라도 그런 대중 가운데는 과거 선근善根이 많아서, 과거 전생에 닦아온 사람이 많이 있어서 부처님의 어려운 법문도 알아들을 것입니다. 그러니까 열반 들으시지 말고 법문을 설하십시오.’ 이와 같이 간청을 드렸습니다.

 

간청을 들으셨으니까 부처님께서 할 수 없이 가장 쉬운 법문으로 하신 법문이 ‘제일시교第一時敎’입니다. 사람은 원래 텅 빈 공이어서 없는 것이지만, 산소나 수소나 질소나 그런 인간이 보는 객관은 있습니다. 우리 주관은 허망한 것이지만 객관은 존재한다. 이런 정도의 가르침이 제일시교입니다.

 

이것은 부처님 육성 같은 아함경에 “ 지 ‧ 수 ‧ 화 ‧ 풍 사대가 잠시간 합해져서 우리 몸이 이루어졌지만 사람은 공무空無하다.” ‘사람은 비어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우리 마음은 무엇인가? ‘나’라고 고집하는 마음, ‘너라고 고집하는 마음, 또는 좋다 궂다 고집하는 마음, 그 마음은 무엇인가? 우리가 감수하고 상상하고, 의혹하고, 분별시비하고 이런 것이 모여서 우리 마음이 됐습니다. 이런 것들이 우리 마음이 됐지만 과연 그 마음이 어디에 있는 것인가? 좋은 마음, 궂은 마음, 남 미워하는 마음, 남 좋아 하는 마음, 그 마음이 어디에 있는 것인가?

 

2조 혜가스님께서 달마스님한테 가서 “제가 마음이 불안스럽습니다.” 그러니까 달마스님께서 “불안한 마음을 내놔라.” 했습니다. 2조 혜가스님이 불안한 마음이 어디 가 있는가, 아무리 생각해봐도 불안한 마음이 자취가 없습니다. 남 미워하면 미워하는 마음이 자취가 있습니까. 남 싫어하면 싫어하는 마음이 자취가 있습니까. 내가 아프면 아프다는 마음이 자취가 있습니까. 그런 마음이 어디에도 없습니다. 남 좋아하는 마음, 남 싫어하는 마음, 아프다는 마음, 그런 마음이 흔적이 없습니다. 따라서 내 몸도 바람기운, 또는 불기운, 물 기운, 흙 기운, 지금으로 말하면 산소, 수소, 탄소, 질소 등 여러 가지 원소가 합해서 잠시간도 머물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 몸도 다 비어있지만, 또 우리 마음도 역시 어디에도 흔적이 없습니다.

 

우리 중생이 업장에 가리어서 바로 못 보니까 ‘나’ 같은 사람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바로 보는 청정한 성자의 안목에서 본다고 생각할 때는 다만 세포만 빙빙 돌아서 활동하고 결합돼서 운동하고 있을 뿐입니다. 전자 현미경을 놓고 본다고 생각할 때는 전자나 양자가 그런 것이 결합돼서 운동하고 있을 뿐입니다.

 

그러면 부처님의 안목, 전자보다 더 세밀하고 우주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볼 수 있는 부처님이 본다고 생각할 때는 어떻게 볼 것인가. 부처님이 본다고 생각할 때는 우주에 충만해 있는 불성佛性기운이 인연 따라서 잠시간 운동하고 있습니다. 산이나 내[川]나 사람이나 어떤 것이나 모두 다 광명 빛나는 불성기운이 잠시간 활동하고 있는 것이 나요 너요, 또는 산이요 내요 일체존재인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보는 견해가 옳지 않다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우리 중생은 전도몽상顚倒夢想이라, 거꾸로 꿈속에서 보는 것입니다. 그것을 알아야 꿈이 아닌 참다운 깨달음의 불교를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맨 처음에는 제일시교第一時敎라 해서 ‘사람은 비록 무아無我라 해서 공했지만 산소나 수소나 질소나 선이나 악이나 일반 중생이 말한 그런 객관은 있다.’ 이렇게 말씀했지만, 이것은 중생이 너무나 허무할까봐서 일반 중생들은 자기와 자기 권속, 자기 재산이 제일 중요한데 없다고 하면 너무나 허무를 느껴버립니다. 따라서 부처님께서 그냥 깊은 도를 한 번에 말씀을 못 했습니다. 그래서 우선 ‘사람은 비록 공하다 하더라도 선이나, 악이나 그런 것은 존재한다. 산소요 수소요 그런 것은 참말로 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지금 물리학자에게 ‘산소나 수소나 그런 것이 참말로 있다’고 하면 역시 그 분들이 회의를 품으실 것입니다. 다만 양성자, 중성자 그런 것이 모여서 활동하는 것, 운동하는 것을 가리켜서 전자, 양자, 그러는 것이지 ‘산소나 수소나 그런 것이 실제로 있지 않다.’는 말입니다. 중성자나 또는 전자나 그런 것의 결합 여하에 따라서 산소, 수소, 질소 그러는 것이지 산소면 산소가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수소면 수소가 고유하게 있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어느 순간 그런 상황을 볼 뿐이란 말입니다. 모든 것이 다 무상한지라 하나의 과정에 불과합니다. 전자도 과정에 불과하고, 중성자도 과정에 불과합니다. 어떤 것이나 모두가 다 지나가는 과정에 불과합니다. 변천하는 과정에 불과합니다. 그러기에 제행무상諸行無常인 것입니다.

 

소승小乘이라 하는 것은 ‘내가 원래 없지만 일반 객관은 존재한다.’ 그것이 소승입니다. 그러나 소승은 부처님께서 하고 싶은 법문의 참다운 내용은 못 됩니다. 그래서 중생들의 근기가 좀 높아져서 조금 더 총명해질 때는 그야말로 제이시교第二時敎라, 부처님께서는 ‘일체만법이 다 비어있다.’는 일체개공一切皆空의 길을 밝혔습니다.

 

이런 것이 우리가 항시 외우는 『반야심경般若心經』이나 또는 『금강경金剛經』이나 『유마경維摩經』의 도리입니다. ‘모두가 다 비어있다’는 말입니다. 사람만 무아無我가 아니라 우리가 보는 객관세계, 하늘에 있는 별이나 또는 어떤 것이나 모두가 다 비어있습니다.

 

사실은 비어있다는 정도, 이것은 현대물리학도 증명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물리학이 없었던 옛날에는 정말로 제법공諸法空이라 하는 그런 도리를 알기가 굉장히 어려웠을 것입니다. 옛날뿐만 아니라, 설사 물리학을 배웠다 하더라도 ‘분석해서 들어가면 텅텅 비어버린다. 물질은 비어서 에너지만 남는다.’는 것을 설사 안다 하더라도 ‘모두가 비어있다.’라는 말을 하면 굉장히 허무감을 느낍니다. ‘무엇인가 있어야 할 것인데 왜 비었는가. 내가 분명히 있고, 내가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내가 미워하는 사람도 있는 것인데 왜 비었는 것인가.’ 이렇게 우리가 의단疑團을 품습니다.

 

그러나 진리는 진리입니다. 또는 진리가 아니면 인간이 구하는 행복이라든가 참다운 자유, 참다운 평등, 참다운 민주화도 얻을 수가 없습니다. 지금 우리가 민주화를 부르고 참다운 자유를 부르짖지만 사실은 그런 것은 모두가 다 진리를 따라야 얻을 수가 있는 것인데 진리를 따르지 못하면 얻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 ‘진리는 무엇인가?’ 우선 ‘내가 비었다는 도리’를 알아야 합니다. 또는 그와 동시에 ‘우리 객관이 다 비어있다’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비록 우리 중생의 몸이 즉 말하자면 지, 수, 화, 풍사대四大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대 용어로 하면 산소나 수소나 질소의 각 원소가 인연 따라서 결합돼서 하나의 세포가 된다고 하면 산소나 수소나 질소나 그런 것은 과연 있는 것인가.

 

부처님법문에 따르면  지, 수, 화, 풍 사대, ‘지’ 땅기운도 불가득不可得이라 얻을 수가 없고 또는 ‘수’ 물 기운도 불가득이라 물 기운도 얻을 수 가 없고, 바람 ‘풍’도 역시 불가득이라 얻을 수가 없고, 어떤 질료도 얻을 수가 없습니다. 어떤 것도 다 부처님 도리에서 본다고 생각할 때는 얻을 수가 없습니다. 『금강경』에 보면 ‘과거심불가득過去心不可得’이라, 과거도 얻을 수가 없고 또는 ‘현재심불가득現在心不可得’이라, 현재도 얻을 수가 없고 ‘미래심불가득未來心不可得’ 미래도 얻을 수가 없습니다. 우리 중생이 하나의 물질을 중심으로 해서 물질이 변화되는 과정 따라서 지나가면 과거요, 아직 오지 않은 것은 미래라고 하지만 사실은 그러한 공간적인 물질을 떠나버리면 과거나 현재나 미래는 없습니다. 제가 이렇게 어렵게 말씀드리는 이유는 금타대화상의 보리방편문을 설명하려고 할 때는 이런 선행적인 지식을 알지 못하면 보리방편문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말씀을 드리는 것입니다.

 

아무튼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제일시교第一時敎는 우리 중생에게 결국은 ‘나는 무아無我인 것이다 그러나 대상은 있다.’ 이런 정도로 말씀하셨고, 그 다음 제이시교第二時敎에서는 ‘나만, 우리 주관만 공이 아니라 객관적인 모두가 다 텅텅 비어있다. 이른바 제법공諸法空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반야심경』식으로 말하면 오온개공五蘊皆空이라, 오온五蘊이라 하는 것은 물질과 정신이 오온 아닙니까. 그런 오온이 다 비어있습니다. 오온개공을 잘 모르면 『반야심경』을 잘 모르는 것입니다. 오온이 다 비었음을 비추어봐야만 도일체고액度一切苦厄이라, 인생고人生苦를 구제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인생고를 떠나서 참다운 행복을 구하지만, 오온개공을 모르면 연목구어緣木求魚입니다. 나무에서 고기를 구하는 것입니다. 진리를 떠나서는 참다운 자유도, 참다운 행복도 없습니다. 꼭 진리만이 우리를 자유롭게 하고 참다운 인생의 복지를 약속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부처님 도리로 본다고 생각할 때는 ‘다 비어있다’는 말입니다. 어째서 비어있는 것입니까? 인연 따라서 잠시간 합해있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산소도 역시 중성자, 양성자가 적당히 합해있습니다. 중성자, 양성자가 몇 개 합해있는가에 따라서 산소, 질소, 탄소 그런 구분이 있습니다. 이것을 떠나서는 산소나 탄소나 질소나 그런 것이 없습니다. 이것도 인연 따라서 잠시간 합해있습니다. 그러면 전자나 중성자나 양성자나 그것은 무엇인가? 전자나 양성자나 중성자나 역시 에너지의 하나의 진동에 불과한 것이지 이것도 고유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일체 모든 것은 에너지라 하는, 우주의 정기라고 하는 그것으로 다 돌아가고 마는 것입니다. 즉 우주의 정기, 에너지만 존재하는 것이지 인간이 볼 수 있는 현상적인 것은 모두가 다 에너지의 적당한 결합, 적당한 활동, 적당한 운동에 불과합니다. 사실은 그렇게 모두가 텅텅 비어있습니다. 따라서 현대물리학이 증명은 못했다 하더라도 우선 유추해서 ‘일체만유一切滿有가 다 비어있다’는 소식은 아는 것입니다.

 

불교가 아니더라도 ‘모두는 비어있다. 나도 비어있고 그야말로 너도 비어있고, 일체만유는 다 에너지뿐이다. 모두가 에너지의 활동뿐이다.’ 이와 같이 아는 것이 현대물리학입니다. 그러나 그런 물리학자는 이렇게 유추하고 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지만 정말로 공도리를 체험하기는 어렵습니다.

 

보살菩薩이라 하는 것은 공부를 해서, 체험을 해가지고서 자기 몸도 환경도 텅텅 비어버린 것을 체험합니다. 이른바 우리가 참선參禪도 많이 하고, 염불念佛도 많이 해서 마음이 통일이 딱 되면 욕심이 줄어지고, 진심瞋心이 줄어지고, 이렇게 가다가 번뇌煩惱가 딱 녹아지면 정말로 텅텅 비어버립니다. 이렇게 되면 주관도 공이요 객관도 공이요, 다 공인 소식을 공부를 해서 알 수가 있습니다. 자기라 하는 것이 이른바 죽음도 떠나는 것이고, 다 떠나는 것입니다. 이른바 항시 영원의 자리에 있습니다.

 

이와 같이 제이시교에서는 모두가 공한 도리, 『반야심경』에서는 제법공諸法空한 도리를 말했습니다. 그러나 다만 공만 된다고 생각하면 우리 불교는 너무 허망합니다. 그렇다면 석가모니께서 우리한테 애쓰고 말씀하실 필요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공이 아닌 무엇인가 있습니다. 비록 공이지만, 비록 우리가 보는 것은 허망하고 실존이 아니지만 무엇인가 있기 때문에 결국은 인연이 있으면 사람이 생기고 무엇이 생기고 합니다.

 

우리가 엄밀히 본다고 생각할 때에, 우리가 보는 대로는 아니라 하더라도 무엇인가 잠시간 과정적이나마 가짜는 있습니다. 그것 보고 ‘가아假我’라, ‘거짓 가’자, ‘나 아’자 가아라 합니다. 우리 중생이 보는 망령된 나, 내가 김 아무개 박 아무개 하는 그런 ‘나’는 사실은 존재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무엇인가는 있습니다. 이른바 잠시간 있는 ‘나’는 분명히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