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타행자의 편지

(1042)
참선의 자세는 참다운 나를 찾는 것 【태호스님의 산사의 풍경소리】 참선의 자세는 참다운 나를 찾는 것 우리는 지금까지 선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선은 바로 동심의 세계요. 불심의 세계이며 순수직관의 세계요. 모든 괴로움을 해탈케 하는 안심법문이고 우리의 마음이 바로 부처요 더 구체적으로는 청정한 본래마음..
염불선이야기18-중국의 선⑥ 홍인(東山法門) 염불선이야기18-중국의 선⑥ 홍인(東山法門) 도신에 의해 형성된 선종교단은 홍인(弘忍)에 이르러 1000명에 이르는 대중으로 늘어나 동산법문(東山法門)이라는 꽃으로 피어났다. 동산이란 홍인이 주석했던 기주(州) 황매(黃梅)현의 빙무산(憑茂山)을 가리키는 말로, 같은 지역에 있는 도신이 주석했던 ..
20분 정진 대중처소에 지네다 보니 대중에게 시간을 빼앗기니 산철에는 토굴에서 혼자 살적만한 오롯한 시간 내기가 싶지 않습니다. 그래도 틈틈이 앉거나 염불하려 애쓰고 있습니다. 재가에 계신 신도 분들도 그러리라 생각합니다. 생업에 바삐 살다가 보면 정진시간을 내기가 쉽지만은 않은데, 달라이 라마스..
영원히 살아있는 생명의 실상 【태호스님의 산사의 풍경소리】 영원히 살아있는 생명의 실상 우리 인간의 본성은 완전무결한 불성이기 때문에 우리들이 본래성품인 불성을 등지고 현상적인 물질만을 집착하여 탐내고 증오하는 생활을 되풀이하는 한 마치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사뭇 허기진 탄타로스의 사무친 기갈과도 같이 인..
염불선이야기17-중국의 선⑤ 도신〈2〉 염불선이야기17-중국의 선⑤ 도신〈2〉 중국선종의 실질적인 창시자라 할 수 있는 사조도신(四祖道信)은 <능가사자기>에 인용된 ‘입도안심요방편법문(入道安心要方便法門)’에서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에 말씀하시길 ‘생각하는 바 없음(無所念)’이 부처님을 생각하는 것(念佛)이고 ..
천지만물의 마음이 바로 부처 【태호스님의 산사의 풍경소리】 천지만물의 마음이 바로 부처 우리는 흔히 말하기를 너그럽고 밝아서 트인 마음을 하늘같이 넓은 마음이라 찬양하고 옹졸하고 막막한 마음은 바늘귀만도 못한 마음이라 꾸짖고 빈축하곤 합니다. 그런데 우리 인간이 느끼고 생각하고 판단하는 일체 인식 작용이나 무..
특별한 날 옛 어른 스님께서 날마다 좋은 날이라고 했습니다. 비오면 비오는 데로 바람 불면 바람 부는 데로 좋은 날은 사실이나 좀 특별한 날도 있습니다. 흔히 생일을 특별날 날로 생각하나 처사시절부터 생일날은 모르고 넘어간 적이 다반사입니다. 그러나 오늘 4월20일은 저에게 잊히지 않는 특별한 날입니다..
염불선이야기16-중국의 선④ 도신〈1〉 염불선이야기16-중국의 선④ 도신〈1〉 중국 선종의 4조(四祖)로 추앙받는 도신(道信, 580~651)은 <속고승전(續高僧傳)>의 기록에 의하면 속성(俗姓)은 사마(司馬)씨이고 출신지는 알 수 없다고 한다. 일곱 살 때 한 사람의 스승을 따라다니며 5년 동안 같이 생활했고, 그 후 어디에서 온지는 모르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