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타행자의 편지

(1043)
염불선이야기10-초기불교의 선② 사념처 염불선이야기10-초기불교의 선② 사념처 사념처(四念處)는 초기불교 수행법의 전형으로써 사념주(四念住), 사의지(四意止), 사지념(四止念), 사념(四念)이라 부르기도 하며 몸(身), 느낌(受), 마음(心), 법(法)에 대해 마음지킴을 확립하는 수행을 가리킨다. 사념처 수행은 깨달음을 얻기 위한 37가지 수행..
사바세계 어느 심리학자가 인간을 털 없는 원숭이로 평가 하였습니다. 심리학자의 분석으로는 인간의 삶이나 원숭이의 삶이나 별 반차이가 없다는 것입니다. 원숭이의 하루 일과가 권력투쟁, 짝짓기, 먹이 찾는 것이 외에는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 인간의 삶도 곰곰이 생각해보면 이 범주에서 벗어나질 않는 것..
참고 견뎌야 하는 세상 【태호스님의 산사의 풍경소리】 참고 견뎌야 하는 세상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을 인생고해 사바고해라 합니다. 그리고 이 세상 자체가 다섯 가지로 흐려진 오탁악세입니다. 한말로 더러운 세상입니다. 그래서 깨끗한 세상 정토세계를 그리는 것입니다. 우리 인생이 고해인 것은 사실입니다. 어렵..
큰 복(大福) 금타(金陀) 존사(尊師)님 글에 사바세계에서 가장 큰 복은 삼매(三昧)를 얻는 것이라고 하시였습니다. 삼매를 얻고자 하면 오로지 정진(精進)을 하여야하고 정진을 하려면 작은 복(福)이 없어야 합니다. 작은 복이란 유루복(有漏福)인데, 이름 복(福)이 있거나 재복(財福)이 있으면 그 재미에 한 생이 언..
염불선이야기9-초기불교의 선 ① 오정심관(五停心觀) 염불선이야기9-초기불교의 선 ① 오정심관(五停心觀) 초기불교의 대표적인 선정설로는 오정심관(五停心觀), 사념처(四念處), 구차제정(九次第定)을 들 수 있다. 먼저 오정심관을 살펴보면, 오정심관은 다섯 가지 번뇌의 장애를 가라앉게 하는 수행법을 말하며 오종관법(五種觀法)또는 오문선(五門禪)..
잘못 빌고 참회하는 날 백중 【태호스님의 산사의 풍경소리】 잘못 빌고 참회하는 날 ‘백중’ 음력 7월 보름은 불교의 큰 행사가 있는 날입니다. ‘우란분회’라고도 하며 ‘백중날’이라고도 하여 석가모니 부처님의 4대 명절 다음으로 크게 의의있는 날입니다. 그런데 옛부터 백중에 대한 해석이 구구 하였습니다. 우리 민속..
염불선이야기8-선이란 무엇인가? 염불선이야기8-선이란 무엇인가? 물질문명이 극도로 발달된 현대사회에 어느 때부터인지 불교, 특히 명상, 선(禪)에 대한 관심이 하나의 사회적 트렌드가 된 듯한 느낌이다. 심지어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모든 디자인에도 정제되고 세련된 ‘젠 스타일’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활용되..
지녀야할 도리 【태호스님의 산사의 풍경소리】 지녀야할 도리 지난번에 인생고해를 건너서 피안에 도달하는 길로 크게 여섯 가지를 제시하셨다는 말씀을 전했습니다. 그 중 첫째가 보시바라밀이요 또 하나는 지계持戒바라밀입니다. 계를 지녀야한다는 말씀입니다. 계란 무엇인가. 불교를 배워 깨달음 해탈에 이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