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타행자의 편지 (1042) 썸네일형 리스트형 염불선이야기21-중국의 선⑨ 정중 무상(淨衆無相) 염불선이야기21-중국의 선⑨ 정중 무상(淨衆無相) 토굴에서 황토로 연명하며 정진하고, 맹수(猛獸)도 그의 법력에 감화되어 해치지 않고 보호했다는 신이(神異)의 선승(禪僧)으로 알려진 정중무상(淨衆無相: 684~762)은 신라의 왕자로 태어나 중국으로 구법의 길을 떠나 입당(入唐)하여 현종(玄宗)을 만나.. 자연스럽고 순수하고 영원을 향해 【태호스님의 산사의 풍경소리】 자연스럽고 순수하고 영원을 향해 일상생활 가운데 항시 수행이고 우리 마음이 변치 않는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러나 우리 마음은 한결같이 계속되기가 어렵습니다. 깜박하면 공부를 놓치고 이리저리 마음이 흩날리며 엉뚱한 상상이나 번뇌망상으로 빠지기 쉽.. 수행의 바탕" - "보리심이란 무엇인가?" (퍼온 글) 수행의 바탕" - "보리심이란 무엇인가?" (퍼온 글) "보리심" "보리심이란 무엇인가?" "보리심이란 한마디로 부처님의 지혜인 무상정등정각을 이루고자 하는 마음이다. 무상정등정각이란 범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한역어로, 위없는 평등한 바른 깨달음이라는 말로 부처님의 지혜를 일컫는다. 즉, 부처.. 염불선이야기20-중국의 선⑧ 혜능 염불선이야기20-중국의 선⑧ 혜능 동서고금(東西古今)을 막론하고 자손(子孫)을 잘 두어야 집안이 융성해진다는 이치는 속가(俗家)나 승가(僧伽)나 매양 한가지인 모양이다. 나무꾼 출신의 일자무식(一字無識)인 혜능(慧能)이 선종의 6조로 추앙되고 그의 어록인 <육조단경(六祖壇經)>이 스님의 어.. 해오(解悟)와 증오(證悟) 깨달음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해오(解悟)이고 또 하나는 증오(證悟)입니다. 해오(解悟)란 이치적(理論)으로 깨달은 것이고 증오(證悟)란 이치적으로 깨달은 것을 증명(證明)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이론을 증명하는 것이 깨달음인데 이 두 가지 원만(圓滿) 할 적에 비로소 깨달았다라고 .. 참선은 실상관에 투철해야 【태호스님의 산사의 풍경소리】 참선은 실상관에 투철해야 선에 임하는 자세는 바로 참다운 나를 찾는 것이요, 참다운 나의 인생을 추구하는 것이라면 그 참다움이란 무엇인가? 그것을 ‘진여실상’이라 하였는데, 우주만유의 근본이요 진리 당체인 실상을 알기는 참으로 어렵습니다. 그래서 말이.. 염불선이야기19-중국의 선⑦ 신수 염불선이야기19-중국의 선⑦ 신수 홍인의 수제자로서 <육조단경(六祖壇經)>에서 남돈북점(南頓北漸)의 북점으로 묘사되어 혜능과의 대결에서 패배자로 그려지는 대통신수(大通神秀)는 진류위씨(陳留尉氏)출신으로 속성은 이씨(李氏)이다. 젊어서 여러 학문을 두루 공부한 후 625년 출가했다. 그의 .. 부처님 공부 부처님 공부 많은 수행자들이 마음의 고향을 찾아 먼 길을 나서지만은 가시밭길을 헤매고 있기도 하고 출구 없는 미로 길에 빠지기도 합니다. 고향을 찾아가는 머나먼 길에 가장 난적(難敵)은 이기심을 지고 가는 길입니다. 가는 길을 누구에게 물어 볼 것도 없습니다. 마음을 잘 살피여 보아서 얼마나.. 이전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 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