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청화 큰스님 법문집/11. 실상 염불선

(34)
10. 3. 선(禪)의 방법(方法) 10. 3. 선(禪)의 방법(方法) 1) 공안선(公案禪)(화두선話頭禪) 2) 묵조선(黙照禪) 3) 염불선(念佛禪) 1) 공안선(公案禪) 선(禪)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 않습니다마는 우리가 보통 아는 바 공안선(公案禪) 즉 화두선(話頭禪)입니다. 우리 한국은 주로 화두선으로 되어 있습니다. 조계종은 ..
9. 제3장 참선(參禪) 제1절 참선(參禪) 불교에서는 문자를 많이 배우고 학문적으로 공부하는 것을 산사업(算沙業)이라고 폄하해서 말하기도 합니다. 모래사장에서 모래알을 헤아리는 것이 한도 끝도 없듯이 학문세계라는 것은 끝도 갓도 없이 분별시비를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비록 불교의 경(經)이라 ..
8. 제3절 무아(無我)의 수행(修行) 8. 제3절 무아(無我)의 수행(修行) 1. 무아(無我)인 이유(理由) 금강경에 '통달무아법자 진시보살(通達無我法者 眞是菩薩)이라, 무아법에 통달한 사람이 진실로 보살이라' 하였습니다. 내가 없다 하는 무아법(無我法)에 통달하여야만 참다운 보살이라는 뜻입니다. 저번에도 말씀했습니다마..
7. 3.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 7. 3.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 인연법을 보다 더 깊이 파고들면 이것은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라. 여래(如來)라는 것은 바로 부처님 아닙니까. 여래라는 뜻이나 부처라는 뜻이나 똑같은 뜻입니다. 우주의 도리 그대로, 우주의 도리에서 그대로 왔다. 그래서 여래란 말입니다. 그러니까 바..
6. 제2절 연기법(緣起法) 6. 제2절 연기법(緣起法) 연기법(緣起法)이라. 연기법은 바로 부처님 법(法)의 핵심(核心)입니다. 일체(一切)의 유위법(有爲法)은 모두 인연(因緣) 따라서 일어남을 말하며 특히 화엄종(華嚴宗)의 교리(敎理)는 연기(緣起)를 주로 하여 그 심천(深淺)에 따라 사종연기(四種緣起)를 말합니다. *..
5. 제2장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5. 제2장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본래 ‘선(禪)’은 ‘선나(禪那;Dhyāna)’의 준말로서 정려(靜慮)· 삼매(三昧;Samādhi) 등으로 번역되어 통일된 정사유(正思惟)를 의미한다. 그러나 달마대사 이후 중국을 거쳐 한국 일본 등으로 전래된 이른바 선종(禪宗)의 선은 비록 그 상(相)은 정..
4. 5.보리방편문 설법 5.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 설법 “심(心)은 허공(虛空)과 등(等)할 새, 편운척영(片雲隻影)이 무(無)한 광대무변(廣大無邊)한 허공적(虛空的) 심계(心界)를 관(觀)하면서 청정법신(淸淨法身)인달하여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염(念)하고, 차(此) 허공적(虛空的) 심계(心界)에 초일월(超日..
3. 제2절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 제2절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 이의 보리(菩提)란 각(覺)의 의(義)로서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은 견성오도(見性悟道)의 방편(方便)이라 정혜균지(定慧均持)의 심(心)을 일경(一境)에 주(住)하는 묘결(妙訣)이니 숙독요의(熟讀了義)한 후 적정(寂靜)에 처(處)하고 제1절(第一節)만 사(寫)하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