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360)
七. 돈교설법(頓敎說法) 七。 돈교설법(頓敎說法) 단번에 깨닫는 가르침 『근기가 작은 사람은 단박에 깨닫는 이 가르침을 들으면, 마치 뿌리가 작은 대지의 초목이 큰 비를 맞고 모두 다 저절로 거꾸러져서 자라지 못함과 같나니, 작은 근기의 사람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 반야의 지혜가 있는 점은 큰 지혜를 가진 사람과 차..
제七절 부처님의 권유 제 七 절 부처님의 거듭 권유 부처님께서는 다시 미륵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지금까지 그대들에게 말한 것은 세상의 다섯 가지 죄악(五惡)과, 그 죄악으로 말미암아 바로 현세에 받는 다섯 가지 고통(五痛)과, 또한 그 죄보로 내세에 받을 고통은 다섯 가지 불길(五燒)에 대한 법문이었느니라. 그..
제 16 집 2.사종연기(四種緣起) 마음의 고향 제 16 집 -. 사종연기(四種緣起) [1] 1. 업감연기(業感緣起 : 십이인연법(十二因緣法)) 혹(惑), 업(業), 고(苦)의 삼도(三道)가 전 전(展轉)하여 인과상속(因果相 續)함을 말하며 생사윤회(生死輪廻)의 상(相)임. 2. 아뢰야연기(阿賴耶緣起) 장식(藏識)으로서 종자생현행(種子生現行), 현행훈종자(..
제5절 第五節 삼독三毒육적六賊 제5절 第五節 삼독三毒1)육적六賊2) 「관심론觀心論」에 「다시 질문하여 말하되 위에서 말한 진여불성眞如佛性의 모든 공덕一切功德은 근본뿌리根3)(삼독심)를 깨달음의 원인因覺으로 삼으라爲 시니 미심未審4)커이다, 무명無名의 마음之心이 일체一切의 모든諸 악惡을 무엇으로써以何 근본뿌리根..
1.참선의 바른길 <수행(修行)의 단계(段階)> ● 수행(修行)의 단계(段階) 수행의 단계로는 어려운 것도 많이 있습니다만 제일 간명(簡明)한 것이 사도(四道)입니다. 맨 처음에는 가행도(加行道)라, 우리는 지금 용맹정진(勇猛精進)을 하려고 이렇게 모여 있는 것입니다. 용맹정진의 별명이 가행정진(加行精進)입니다. 평소에 하던 공부를, 우리 수..
1.참선의 바른길 <선오후수> ●선 오 후 수 (先 俉 後 修) 참선이란 선오후수(先梧後修)가 되어야 합니다. 우리 불자님들은 이것을 잘 명심해야 하겠습니다. 선오후수라, 먼저 개념적으로 깨달아버리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려면 아까 말한 바와 같이, 실상관(實相觀)이 우리 마음에 확연히 박혀야 합니다. '다만 내가 업장에 가리어..
제5절 중국불교(中國佛敎)의 교관(敎觀) 제 5절 중국불교(中國佛敎)의 교관(敎觀) 1.중국불교(中國佛敎)의 교상(敎相)과 관심(觀心) 中國 佛敎의 敎觀(敎相과 觀心) 敎相…敎理判釋을 말하며 釋尊一代時敎를 自己宗義에서 分別判斷 함. 觀心….自宗에서 세운 眞理를 觀念하는 法을 말함. 法相宗은 三時敎를 敎相으로 하고 唯識觀을 觀心으로 ..
육. 설마하반야바라밀(說摩訶般若波羅蜜) 六。 설마하*반야바라밀(說摩訶般若波羅密) 위없는 진리(眞理)를 설(說)하다 『지금 이미 삼보에 스스로 귀의하여 모두들 지극한 마음이니, 선지식을 위하여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설하리라. 선지식들이여, 비록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생각은 하나 알지 못하므로 혜능이 설명하여 주리니, 각기 잘 들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