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360)
제九절 극락세계에 왕생하는 보살들 제 九 절 극락세계에 왕생하는 보살들 미륵보살은 부처님께 여쭈어 물었다. 『세존이시여, 이 세계에서는 불법에서 물러나지 않는 불퇴전의 자리에 오른 보살들이 얼마나 저 극락세계에 태어나게 되옵니까』 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이 사바세계에는 육십칠억이나 되는 불퇴전의 보살들이 있는데,..
제八절 이 세상에 나투신 증명 제 八 절 이 세상에 나투신 증명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아난아, 일어서서 법의(法衣)를 단정히 하고 합장하여 공경히 아미타불을 예배하여라. 시방세계의 모든 부처님들도 항상 저 아미타불의 한량없는 지혜와 공덕을 우러러 찬탄하시느니라.』 이 때 아난은 일어서서 법의를 바로 하고 ..
제 16 집 3.삼신일불(三身一佛) 마음의 고향 제 16 집 -. 삼신일불(三身一佛) [1] 삼신일불(三身一佛) 아미타불(阿彌陀佛) 부처님에 대해서 우리가 이해를 보다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삼신일불(三身一佛)을 아시면 아주 편리하십니다. 이것은 현교(顯敎)나 밀교(密敎)나 다 삼신일불, 이른바 법신(法身), 보신(報身), 화신(化身)을 말..
제4장 第四章 금강삼매 金剛三昧 제4장 第四章 금강삼매 金剛三昧 삼승三乘의 수행인行人이 최후最後에 일체一切의 번뇌煩惱를 끊斷고 각각 그 마지막究竟 과果(佛果깨달음)을 얻는 삼매三昧를 금강삼매金剛三昧라, 여금강삼매如金剛三昧라, 금강유정金剛喩定이라, 금강정金剛定이라, 말하고 또 금강삼매金剛三昧를 세 가지三種로..
제3장 第三章 사제四諦 제3장 第三章 사제四諦 사제四諦를 사진제四眞諦 또는 사성제四聖諦라고도 말하니 성자聖者가 보는 바의 진리眞理임으로 써라 1.에 고제苦諦(괴로움에 대한 지혜)란 삼계三界육취六趣(六途)의 과보報의 고통苦이니 미혹迷의 결과果요 2.에 집제集諦(괴로움의 일어남에 대한 지혜)란 탐貪하는 마음과 ..
2. 참선(參禪)의 기초(基礎) <선(禪)은 인류 문화의 정수(精髓)> 선(禪)은 인류문화의 정수(精髓) 우리 인간이 생각하는 능력이 있는 한에는 완전무결한 모든 지혜를 다 알고 싶어 하는 욕망이 있습니다. 또한 동시에 인생고(人生苦)를 떠나서 완벽한 행복을 바라는 욕망도 있습니다. 또한 동시에 자기 행동이나 자기 말이 모두가 다 합법적(合法的)인 즉, 도덕율(道德..
1. 참선의 바른길 <간절한 구도심(求道心)> ● 간절한 구도심(求道心)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과거 전생에 요법(樂法) 바라문이라, 법을 아주 간절히 구하는 바라문이셨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때는 무불(無佛)시대였습니다. 우리는 지금 행복을 느낍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후세에 나와 부처님 법 가운데서 공부를 하니까 행복을 느낍니다. 그러..
제6절 달마대사(達磨大師)의 이입사행론(二入士行論) 제6절 달마대사(達磨大師)의 이입사행론(二入四行論) 이입(二入) 법문은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이나 또는 달마(菩提達磨 Bodhi Dharma?~528) 대사의 소실육문(少室六門)에 있는 법문입니다. 앞에서도 말씀한 바와 같이 관심론(觀心論) 법문은 굉장히 소중한 법문으로 종전에는 달마 스님이 지었다고 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