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360)
제 17 집 2.삼시교판 마음의 고향 제 17 집 삼시교판 삼시교판이라!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의 설법을 49년 설(說)이라 합니다. 더러는 45년 설도 있으나 부처님이 30세에 깨달았다고 보면 보통 49년 설이 정설이 됩니다. 부처님께서는 법문을 한꺼번에 하신 것은 아닙니다. 그때그때 중생 근기에 따라서 하신 것입니다. 그 ..
만일염불(萬日念佛) 예전부터 만일염불 입제했다는 생각으로 살고 있습니다. 혼자서 만일염불 입제한 것 이지요 만일이면 30년 남은 인생 염불이나 하고 산다는 것입니다 아무데나 떨어서 사는 곳이 만일염불도량이고 도량 가꾸면서 염불하고 산 것입니다. 특별하게 정진 안 해도 염불하면서 도량에 꽃, 나무 심고 텃밭 ..
2. 참선(參禪)의 기초(基礎) <염불(念佛)의 십종이익(十種利益). 염불(念佛)의 십종이익(十種利益) 1. 명중호지익(冥衆護持益) 2. 지덕구족익(至德具足益) 3. 전악성선익(轉惡成善益) 4. 제불호념익(諸佛護念益) 5. 제불칭찬익(諸佛稱讚益) 6. 심광조호익(心光照護益) 7. 심다환희익(心多歡喜益) 8. 지구보덕익(知具報德益) 9. 상행대비익(常行大悲益) 10. 입정정취익(入正..
2. 참선(參禪)의 기초(基礎) <선정(禪定)의 십종공덕(十種功德)> 선정(禪定)의 십종공덕(十種功德) 1. 안주의식(安住儀式) 2. 행자경계(行慈境界) 3. 무번뇌(無煩惱) 4. 수호제근(守護諸根) 5. 무식희락(無食喜樂) 6. 원리애욕(遠離愛慾) 7. 수선불공(修禪不空) 8. 해탈마견(解脫魔견) 9. 안주불경(安住佛境) 10. 해탈성숙(解脫成熟) (월등삼매경(月燈三昧經) 七) 여기에는 돌..
2. 참선(參禪)의 기초(基礎) <선(禪)의 자세(姿勢)> 선(禪)의 자세(姿勢) 일상삼매(一相三昧) … 여묘포서(如猫捕鼠) 일행삼매(一行三昧) … 여계포란(如鷄抱卵) 그러면, 참선하는 자세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참선은 일상삼매(一相三昧)와 일행삼매(一行三昧)로써 해야 합니다. 일상삼매(一相三昧)는 무엇인가? 비유하면 여묘포서(如猫捕鼠)라, 고양이..
2. 참선(參禪)의 기초(基礎) <선(禪)의 방법(方法)> 선(禪)의 방법(方法) 1. 공안선(公案禪) 화두선(話頭禪) … 참구적(參究的) 2, 묵조선(&amp;#40665;照禪) … 의지적(意志的) 3. 염불선(念佛禪) … 지, 정, 의(知, 情, 意)의 조화적(調和的) 선(禪)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선의 방법으로 공안선(公案禪)이라, 공안은 화두(話頭)와 똑같은 뜻입니다. 지금 우리가 ..
제2절 염불(念佛) 제2절 염불(念佛) 1. 염불(念佛)의 의의(意義) 念者人人現前一念也 佛者人人本覺之眞性也 現前一念 覺悟本覺眞性 卽是可謂 上根人念佛也 是與佛不二 與佛不離之行也 -智度論- 다음에는 염불(念佛)에 대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공부가 익어져서 한 고비를 넘어서면 염불이고 화두고 다 초월해버립니..
九. 참청기연(參請機緣) 九。 참청기연(參請機緣) 참배하고 법을 배운 인연 대사께서 조계산으로 가시어 소주ㆍ광주 두 고을에서 교화하시기를 사십 여 년이었다. 만약 문인을 말한다면 스님과 속인이 삼오천(三五千) 명이라 이루 다 말할 수 없으며, 만약 종지를 말한다면 단경을 전수하여 이로써 의지하여 믿음을 삼게 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