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60) 썸네일형 리스트형 5. 참선(參禪)의 장애(障碍) < 견혹(見惑)과 사혹(思惑)> 견혹(見惑)과 사혹(思惑) 이러한 열 가지 번뇌 가운데서, 탐심, 진심, 치심, 아만심, 의심의 다섯가지 번뇌를 오둔사(五鈍使)라, 다섯 가지 둔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어찌 그런고 하면, 이것은 끊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견성오도(見性悟道)해서, 공부를 애쓰고 해서, 갓 도인(道人)이 된다 하더라도, 이 .. 5. 참선(參禪)의 장애(障碍) <근본번뇌(根本煩惱)> 5. 참선(參禪)의 장애(障碍) 번뇌(煩 惱)---무명(無明), 혹(惑), 루(漏) 근본번뇌(根本煩惱)…약설(略說)하면 탐(貪), 진(瞋), 치(痴)의 삼독(三毒) 십번뇌(十煩惱)…십혹(十惑), 본혹(本惑) 1. 탑(貪) ┐ │ 오둔사(五鈍使)…사혹(思惑), 수혹(修惑) 또는 사혹(事惑) 2. 진(瞋) │ │ 3. 치(痴) │ ※ 견도(見道) .. 4. 본성(本性)과 현상(現相) <법계(法界)의 본성(本性)> 법계(法界)의 본성(本性) 우리는 이와 같은 법계(法界)의 한계를 아는 것이 필요한데 다만 이러한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서 알 것은, 본바탕은 부처라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가 사람으로서 현재는 인법계(人法界)중에 있습니다. 우리 의식이 인법계에 있기에 또한 코, 입 등, 이런 몸을 받아 .. ※ 게송음미(偈頌吟味) ① ※ 게송 음미 (偈頌吟味) ① 불경(佛經)을 보면 무슨 경이나 꼭 게송이 같이 곁들여 있습니다. 역시 부처님께서 중생을 교화하는 묘(妙)가 부사의(不思議)하기 때문에 우리 마음을 평온하고 순수한 정서로써 순화시킨다는 의미가 포함되었다고 생각이 됩니다. 더구나 저같이 말주변 없는 사람이 하루에.. 제 三 편 阿彌陀經(아미타경) 제 三 편 阿彌陀經(아미타경) 불설 아미타경 제 一 장 序分(서분)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덕망이 높은 큰 비구 대중 천 이백 오십인이 함께 부처님을 모시고 있었는데, 모두 위대한 아라한들로서 널리 여러 사람들에게 알려진 선지식들이었.. 제6장 第六章 삼신三身과 사토四土 제6장 第六章 삼신三身과 사토四土 삼신三身이란 부처님佛의 세 가지 몸三身을 말함이니 법신法ㆍ보신報ㆍ응신應 세 가지 몸三身은 그 이름을 「법화론法華論」(法華經論)1)에서 취取하여 천태종台家에서 세운 것所立으로서 진眞2)(부처님의 진실한 몸)을 말하고開 응應3)(중생에 응하는 몸)을 합合.. 제18집 Ⅰ. 산은 산 물은 물(山是 山 水是 水) 마음의 고향 제18집 * 1995년 1월 미국 삼보사(三寶寺)에서 동안거 중에 청화 큰스님께서 7일간 사부대중을 위해 순선안심탁마법회(純禪安心琢磨法會)를 펴셨습니다. 안심법문 녹음 태이프 가운데서 1-4번까지는 “마음의 고향” 제16집과 17집으로 편집한바 있고 이어서 5-7번 테이프를 “마음의 고향” .. 4. 본성(本性)과 현상(現相) <사성법계(四聖法界)> 사성법계(四聖法界) 7. 성문법계(聲聞法界)… 해탈(解脫)을 위하여 불(佛)의 성교(聲敎)에 따라 사제(四諦)의 관 법(觀法)을 닦는 경계(境界). 그 다음은 성문법계(聲聞法界)라, 성문(聲聞)부터는 벌써, 성자(聖者)의 지위에 들어갑니다. 성인(聖人)입니다. 부처님 법을 깨닫는 단계인 셈이지요. 해탈을 위.. 이전 1 ··· 631 632 633 634 635 636 637 ··· 6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