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第六章 삼신三身과 사토四土
삼신三身이란 부처님佛의 세 가지 몸三身을 말함이니 법신法ㆍ보신報ㆍ응신應 세 가지 몸三身은 그 이름을 「법화론法華論」(法華經論)1)에서 취取하여 천태종台家에서 세운 것所立으로서 진眞2)(부처님의 진실한 몸)을 말하고開 응應3)(중생에 응하는 몸)을 합合한 세 가지 몸三身일새
1.에 법신法身이란 중도中道4)의 본래 갖추어져 있는本有 만유의 본체理體요
2.에 보신報身이란 인행因行(佛이 되기 위한 수행)공덕功德의 과보報로서 나타난顯發 부처님佛의 진실한 지혜實智라 이를 둘로 나누어 안으로 증득內證한 진리의 즐거움法樂을 수용受用하는 몸身을 자수용보신自受用報身이라 이름하고, 초지初地 이상已上의 보살菩薩에 응應하여 나타나는現 보신報身을 타수용보신他受用報身이라 이름하니 이는 다음의 승응신勝應身과 같은 몸同體에 이름名은 다른異 것 이오
3.에 응신應身이란 응화신應化身이라고도 이르니 이치理와 지혜智5)는 둘二이 아님不의 묘체妙體(물物의 진정한 실체)로부터 중생衆生을 교화하고 이끌기化導 위하여 가지가지種種로 응應하여 나타나現는 몸身이라 이 또한 둘로 나뉘어 초지初地 이상已上에 응應하여 나타남現을 승응신勝應身이라 이름 하니 곧卽 위上의 타수용보신他受用報身이오 초지 이전地前의 이승二乘과 범부凡夫에 응應하여 나타現남을 열응신劣應身이라 이름 하니 석가여래釋迦如來의 장육신丈六身이 바로 이것이라
이 세 가지 몸三身 가운데 법신여래法身如來를 비로자나毘盧遮那라 이름 하니 변일체처遍一切處라 번역하고 보신여래報身如來를 노사나盧舍那라 이름 하니 정만淨滿 또는 광명변조光明遍照라 번역하고 응신여래應身如來를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라 이름 하니 능인적묵각能仁寂黙覺 또는 도옥초度沃焦라 번역하고 이 세 가지 몸三身을 저彼 종宗에서(천태종) 세운 바立에 의하여所 네 종류의 불토四土에 배분配分하면 법신法身은 적광토寂光土6)에, 보신報身은 실보토實報土7)에, 승응신勝應身은 방편토方便土8)에, 열응신劣應身은 동거토同居土9)에 머무르니라
자성自性ㆍ수용受用ㆍ변화變化 세 가지 몸三身은 그 이름을 「불지론佛地論10)」과 유식론唯識論에서 취取하여 법상종法相宗11)에서 세운 바로서 이 또한 진眞(부처님의 진실한 몸)을 말하고開 응應(중생에 응하는 몸)을 합合한 세 가지 몸三身이니
1.에 자성신自性身이란 곧 위上의 법신法身이오
2.에 수용신受用身이란 둘로 나뉘어 오직唯 부처님佛과 부처님佛의 경계境界로서 부처님佛 자신自身만이 수용受用하는 법락樂法의 부처님 몸佛身을 자수용신自受用身이라 이름 하니 이는 대원경지大圓鏡智의 변화變한 바요, 또 초지初地 이상已上의 보살菩薩로 하여금 감견수용感見受用하게 하는 법락法樂인 부처님의 몸佛身을 타수용신他受用身이라 이름 하니 위上의 승응신勝應身인 동시同時에 평등성지平等性智의 나타난現 바所요
3.에 변화신變化身이란 초지初地이전已前의 보살菩薩 또는 이승二乘범부凡夫와 모든 취諸趣의 중생衆生에 대對하여 감견感見케 하는 가지가지種種의 변화신變化身인 동시同時에 성소작지成所作智의 나타난바現所이오 위上의 열응신劣應身이니라
법法ㆍ응應ㆍ화化 세 가지 몸三身은 「최승왕경最勝王經12)」에서 말한 바로서 진眞을 합合하고 응應을 말開한 세 가지 몸三身이니 자성신自性身과 자수용신自受用身을 합合하여 법신法身이라 이르고 응화신應化身을 말하여開 타수용신他受用身을 응신應身, 변화신變化身을 화신化身이라 말 하니라
그리고 법신法ㆍ보신報ㆍ화신化 세 가지 몸三身은 대大 소승小乘이 통용通用하나 그 이름은 통通하고 그 뜻義은 달라서別 대승大乘은 이상已上 모든諸 뜻義을 포섭攝하되 소승小乘은 계戒ㆍ정定ㆍ혜慧ㆍ해탈解脫ㆍ해탈지견解脫知見 오품五品의 공덕功德을 법신法身이라 하고 왕궁王宮에서 태어난生所 상호相好의 형상形을 보신報身이라 하며 원숭이獼猴 등等으로 화현化現함을 화신化身이라 말 하니라.
제1절 第一節 법신法身의 체성體性13)
법신法身의 본체 본성體性을 서술論함에 모든 종파諸家가 같지 아니하니
소승小乘은 이성理性14)(본성本性)을 말論하지 아니不하고 다만 계戒ㆍ정定ㆍ혜慧ㆍ해탈解脫ㆍ해탈지견解脫知見 오품五品의 공덕功德으로써 법신法身이라 하고 이를 오분법신五分法身이라 칭稱하며
대승大乘의 모든 종파諸家가운데 삼론종三論宗15)은 있는 그대로의 모습實相으로서 법신法身이라 하니, 있는 그대로의 모습實相이란 모든 존재는 실체성이 없는諸法空 공리空理16)로서 진공眞空무상無相이 법신法身의 본체 본성體性일새 끝없는無邊 몸의 형상身相을 나타現낸다 함 이오
법상종法相宗은 법신法身을 두 가지로 나누어 하나一는 삼신三身을 모두 갖춘總具 법신法身이오 하나一는 삼신三身 가운데의 법신法身이라 총상總相17)의 법신法身이란 청정법계淸淨法界의 진여眞如와 유위有爲ㆍ무위無爲에 대한 사지四智 등等의 오법五法18)을 법신法身이라 말함이오, 별상別相(하나하나)의 법신法身이란 오직 무위無爲의 진여眞如를 법신法身이라 말함이니 앞前에서 말함과 같으며
화엄華嚴ㆍ천태天台 등等의 일승종一乘宗은 법신法身에 해섭該攝19)과 분상分相의 두 문二門을 세운立것이나 분상문分相門20)의 세 가지 몸三身가운데서 깨달은所證 바의 이치理를 법신法身이라 하고 깨달은 주체能證의 지혜智를 보신報身이라 함이 법상종法相宗과 동일同一하나 이 이론理論에 있어 법상종法相宗과 같이 응연진상凝然眞常21)의 진여眞如가 아니요 화엄華嚴의 「만유萬有를 총해總該한 일진법계一眞法界22)」라 함과 천태天台의 「모든 존재諸法를 원융圓融한 모든 존재諸法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實相」이라 하는 것은 공리空理인 삼론가三論家가 말하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實相이 아니요, 또 법상종法相宗과 같이 법신法身의 이치理는 무위無爲요 보신報身의 지혜智는 유위有爲라 하여 무위無爲ㆍ유위有爲의 본성의 모습性相이 각각 다르다 말함이 아니라, 진여眞如의 법法이 인연 따라隨緣 만덕萬德의 지혜의 모습智相23)을 나타냄現일새 이치와 지혜理智가 본래本 둘이 아니요不二 법성法性(진실한 본성)의 본체體에 스스로 능조能照의 지혜智작용用을 겸兼하여 갖춘具것 일새, 이치理ㆍ지혜智가 본래本 하나一의 본체體라 이치理ㆍ지혜智가 모두 무위상주無爲常住24)의 본래 그러한 것法爾이요 무작無作이나 능조能照ㆍ소조所照와 능연能緣ㆍ소연所緣25)의 의상義相(義理와 相狀)에 의하여 법신法ㆍ보신報의 두 몸二身을 나눌 뿐 이라며
진언종眞言宗26)은 땅地ㆍ물水ㆍ불火ㆍ바람風ㆍ빔空ㆍ마음識의 육대六大27)를 법신法身이라 말하고, 이 육대六大는 사법事法(드러난 법)이니만큼 법신法身에 본래本來 형상色相을 갖추具고 인격人格이 있다 함이 현교顯敎의 보화불報化佛28)과 같다하여 육대六大는 걸림 없이無碍 들어 갈 새涉人 차별差別하기 어려難우나, 앞前 오대五大를 자성신自性身인 이법신理法身곧 태장계胎藏界의 대일大日이라 하고 제육第六의 식대識大를 자수용신自受用身인 지법신智法身 곧 금강계金剛界의 대일大日이라 하나니라.
1) 법화경론(法華經論) : 이권(二卷). 후위(後魏)의 보리유지(菩提流支) • 훈림(暈林) 등이 함께 번역(508~535)하였다. 4~5세기경 유명한 논사(論師) 세친(世親)이 지음. 또는 묘법연화경론우파제사(妙法蓮華經論優婆提舍)라 한다. 서품(序品) • 방편품(方便品)을 해석(解釋)하고 일곱 가지 비유(譬喩) 등을 간략히 밝혔다. 다른 번역은 륵나마제(勒那摩提) • 승랑공역(僧朗共譯). 주역서(註譯書). 소 3권(疏 三卷). 기 10권(記 十卷).
2) 진(眞) : ①있는 그대로. ②깨달음. 진리. ③궁극의 입장. 승의(勝義) ④사제(四諦) ⑤진여. 원성실성. 본각. 진실
3) 응(應): 중생의 마음에 따라 부처님이 보이는 것. 응현함. 중생에 따라 임시로 보이는 모습(應身이 아님).
4) 중도(中道 ): 2개의 것이 대립을 하지 않는 것. 단(斷)ㆍ상(常)의 이견(二見) 또는 유(有)ㆍ무(無)의 이변(二邊)을 떠난 치우치지 않는 중정(中正)의 도를 말함.
5) 이지(理智) : 이(理)는 소관(所觀)의 도리(道理)요. 지(智)는 능관(能觀)의 지혜(智慧)다. 이 둘이 서로 명합(冥合)한 것을 각오(覺悟)라고 말한다. 즉 이(理)에 의하여 지(智)를 내고 지(智)에 의하여 이(理)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지(智)에는 2종(二種)이 있는데 , 유루(有漏)의 모든 지(智)를 사지(事智)라 하고, 무루(無漏)의 지(智)를 이지(理智)라고 말함. 구사론십팔(俱舍論十八).
6) 적광토(寂光土) : 사토(四土)의 하나. 상적광토(常寂光土)의 약칭(略稱). 적정상주(寂靜常住)인 진리(眞理)와 지혜(智慧)가 일치된 각자(覺者)가 거주하는 세계로 곧 법신불(法身佛)의 세계.
7) 실보토(實報土) : 사종불토(四種佛土)의 하나. 실무장애토(實無障碍土)의 약칭. 중도(中道)의 이치(理致)를 증득(證得)한 자(者)가 가서 나는 정토(淨土). 果報土. → 사토(四土).
8) 방편토(方便土) : 방편유여토(方便有餘土)라고도 하며 사토(四土)의 하나. 방편토(方便土) • 유여토(有餘土)라고도 한다. 성문이나 연각으로 과(果)를 얻는 사람이나, 십지(十地)이전 사람들이 가서 태어나는 삼계(三界)밖의 정토(淨土). 이들은 모두 방편으로 공관(空觀)을 닦아서 견혹(見惑) • 사혹(思惑)을 끊었으나 아직 중도관(中道觀)을 닦지 못하였으므로 무명의 번뇌를 끝까지 끊지 못하게 되어 그 국토를 방편유여토(方便有餘土)라 함.
9) 동거토(同居土) : 사토(四土)의 하나. 범성동거토(凡聖同居土)의 약칭. 범부와 성인이 함께 사는 삼계(三界)안에 있는 세계를 말한다. 여기에는 동거예토(同居穢土 : 사바세계와 같은 국토)와 동거정토(同居淨土 : 서방 극락세계와 같은 국토)의 두 가지가 있음.
10) 불지론 : ① 불지경(佛地經) 1권(一卷). 당(唐) 현장(玄獎)의 번역. 내용은 부처님이 묘생보살(妙生菩薩)을 위하여 불지(佛地)의 오상(五相)과 청정법계(淸淨法界)의 4지(四智)를 설(說)한 것. ② 불지경론(佛地經論) : (梵) <buaahabhumi-sutra-sastra> 포단포마소단라사실특라(哺袒布麻蘇袒囉沙悉特囉) 7권(七卷). 인도(印度) 대승종경론부(大乘宗經論部). 친광등보살(親光等菩薩) 지음. 또는 불지론(佛地論)이라 하며 불지경(佛地經)을 수문해석(隨文解釋)한 것.
11) 법상종(法相宗) : 유식종(唯識宗), 응리원실종(應理圓實宗) • 보위승교종(普爲乘敎宗) • 유식중도종(唯識中道宗) • 중도종(中道宗)이라고도 한다. 소의경전(所依經典) : <해심밀경> <성유식론> <유가시지론>. 인도에서는 무착 • 천친이 세우고 중국에서는 현장(玄獎)이 인도의 계현론사(戒賢論師)에게 배워 가지고 와서 규기(窺基)에게 전하다. 규기는 자은사에 있었으므로 일명 자은종(慈恩宗).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의 원측(圓測)이 당나라에 가서 현장에게 <유식론> <유가론>을 배우고 <유식소초(唯識疏抄)>를 지었다. 신라 경덕왕 때에 진표가 금산사에서 계법(戒法)과 점찰법(占察法)을 겸해 닦아 실행하고, 법상종의 종지를 제자 영심(永深) • 보종(寶宗) • 신방(信芳) 등에게 전하여 법주사 • 동화사 등에서 크게 떨쳤다. 이 종은 우주 만유의 본체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류 설명하였으므로 법상종이라 하며, 유식종이라 함은 온갖 만유는 오직 식(識)이 변해서 이루어진 것에 불과하다고 말하기 때문. 이 종파의 주장은 불교의 유식론으로서 만유는 오로지 아뢰야식으로 연기(緣起)한 것이라 한다. 그 연기의 주체인 능변(能變)의 시초는 제8식이요, 2능변은 제7식, 3능변은 통6식이라 하고, 이것들은 다 내심(內心)으로 외경(外境)을 변현하는 것이므로 삼계유일심(三界唯一心) • 심외무별법(心外無別法)이라 말한다. 만유를 분류하여 오위백법(五位百法)으로 정하며, 만유의 참된 실재와 허망과를 밝히기 위하여 3성(性)을 말한다. 식(識)이 바깥 경계를 인식하는 과정에 나아가서는 이를 4분(分)으로 나누어 세밀히 설명하고, 유식의 이치를 깨달아 알게 하는 방법으로 5중유식관을 세웠다. 중생의 해탈하는 방법에 나아가서는 5성(性)이 각각 다르다고 말하여 영구히 해탈할 수 없는 사람이 있다고 주장. 또 그 종의 3승교만이 진실하고, 다른 종파의 1승교는 가설(假說)이라 하므로 일반에서 이 종을 권대승(權大乘)이라 일컫는다. 인도에서는 본래 중관종(中觀宗)에 대립하여 유가종이라 부르던 것인데, 불멸 후 900년 경에 미륵이 중인도에 내려와서 <유가사지론> <분별유가론> <대장엄론> <변중변론> <금강반야론>을 말하고, 무착 • 천친이 이를 이어받아 <섭대승론> <현양성교론>, 혹은 <섭대승론석> <유식삼십송> 등을 지어 교의(敎義)를 발휘. 호법 등 10대론사는 또 세친의 <유식삼십송>을 주석(註釋)하여 유식의 이치를 크게 선정. 호법의 문하(門下)에 계현(戒賢)이 당시에 중국으로부터 건너간 현장에게 그 법을 전하다. 현장은 돌아와 10대론사의 해석을 합하여 <성유식론>을 짓고, 그 제자 규기는 <유식론술기> <유식론추요>를 지어 본종의 교의를 크게 이루었다. 이 <유식론추요>와 혜조(慧照)의 <유식요의등>과 지주(智周)의 <유식연비초>는 유식의 3대소(大疏)라 하여 본종을 연구하는 좋은 재료가 되었다.
12) 최승왕경(最勝王經) :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의 약명(略名) 10권(卷). 당(唐)나라 의정(義淨)번역. 이 경(經)에 3본(本)이 있다. 제일(第一) 번역은 금광명경(金光明經)이라 하며 4권(卷)이 있고 제2역(第二譯)은 합부금광명경(合部金光明經)이라 하며 8권(卷)이며 제3역(第三譯)은 곧 이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임. 1부(一部)에 삼십일품(三十一品)이 있으며 이는 호국삼부경(護國三部經)의 제(第)6에 사천왕호국품(四天王護國品)이 있으며 사천삼진호국가(四天三鎭護國家)의 서(誓)를 설(說)한 것.
13) 체성(體性) : 체(體)는 실체 본체. 성(性)은 체가 변하지 않는 것 본성.
14) 이성(理性) : 일심(一心). 본성. 이(理)와 성(性)은 동일 성(性)은 변치 않는 것을 말함. 만상(萬象)의 체성(體性).법성의 이치 진여. 본래 갖추어 있는 이체(理體)로서 시종(始終) 변하지 않는 본성.
15) 삼론종(三論宗) : 불교 종파(佛敎宗派)의 하나. 일명 성종(性宗), 공종(空宗), 파상종(破相宗)이라 한다. 인도(印度) 대승불교(大乘佛敎)의 중관계(中觀系) • 유가계(瑜伽系)중의 중관계(中觀系)에서 시작되어 중국(中國)에서 크게 번성(繁盛)한 종파(宗派). 용수(龍樹)가 지은 ‘중론(中論)’ ‘십이문론(十二門論)’과 제파(提婆)가 지은 ‘백론(百論)’의 삼부(三部)를 주요 경전으로 하여 성립(成立)한 종지(宗旨)로서 이를 상승(相承)한 것을 말하면 문수(文殊) • 마명(馬鳴) • 용수(龍樹)에까지 이르러 두 파(派)로 갈리어졌다.
16) 공리(空理) : 모든 법(法)은 실체(實體)가 없고 공(空)하다는 진리(眞理).
17) 총상(總相) : 모두에게 통하는 특질. 별상(別相)의 상대되는 말.
18) 오법(五法) : 오온(五蘊)을 말함.
19) 해섭(該攝) : 분상(分相)에 대하여 이르는 말. 모두 한데 합치는 것. 여러 가지 것을 차별적으로 보지 않고 절대적(絶待的)인 하나로 융섭(融攝)하는 것을 말한다. 화엄종(華嚴宗)에서 말하는 삼승(三乘), 일승(一乘)등의 차별법(差別法)은 원래(原來) 별교(別敎) 일승(一乘)의 밖에 벗어나지 않고 모두 화엄(華嚴)의 바다 가운데의 파란(波瀾)이므로 체(體)에 균(袀)하여 그 차별상(差別相)을 없애고 모두 포라(包羅)하여 절대(絶待)의 하나로 융섭(融攝)하는 것을 말하며, 해섭문(該攝門)이란 분상문(分相門)에 대하여 이르는 말. 차별적(差別的)인 형형색색(形形色色)의 것을 절대유일(絶對唯一)한 것으로 통섭(統攝)하는 것을 말한다. 화엄종(華嚴宗) 현수(賢首)의 용어(用語)로 일승(一乘)의 밖에 삼승교(三乘敎)를 인정하는 것을 분상교(分相敎)라 하고, 일승교(一乘敎)안에 삼승교(三乘敎)를 통섭(統攝)하는 것을 해섭문(該攝門)이라고 한다. 오교장상(五敎章上)의 일(一)에 ⌜보현문(普賢門) 가운데서 다시 이문(二門)을 짓는다. 하나는 분상문(分相門)이요, 또 하나는 해섭문(該攝門)이다⌟라고 하였음.
20) 분상문(分相門) : 화엄(華嚴)의 현수(賢首)가 별교일승(別敎一乘)을 밝히고, 분상문(分相門) • 해섭문(該攝門)의 둘로 삼승(三乘)과 일승(一乘)의 차별(差別)을 밝혔으므로 분상문(分相門)이라 하며, 삼승(三乘)이 일승(一乘)임을 밝혔으므로 해섭문(該攝門)이라 함.
21) 응연진상(凝然眞常) : 작용(作用)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것. 즉 불변(不變)한 모양.
22) 일진법계(一眞法界) : 유일 절대의 궁극의 진리.
23) 지상(智相) : 부처님의 광명을 말함. 이것은 불지(佛智)가 밖으로 나타난 모습이기 때문임.
24) 무위상주(無爲常住) : 인연에 의해 변화하지 않는 진리의 세계.
25) 능연(能緣) : 연(緣)은 반연(攀緣)한다는 뜻. 눈(眼) • 귀(耳) • 코(鼻) 등의 심식(心識)이 색(色) • 성(聲) • 향(香) 등의 외경(外境)을 반연(攀緣)하는 것을 능연(能緣), 외경(外境)을 소연(所緣)이라 함. 반연(攀緣)이란 심식(心識)이 홀로 일어나지 않고 반드시 외경(外境)을 반연하여 생(生)한다. 마치 노인(老人)이 지팡이를, 원숭이가 나무를 반연하는 것과 같음. ↔ 소연(所緣)
26) 진언종(眞言宗) : 또는 밀종. 716(당 개원4년) 선무외(善無畏)삼장이 「밀종론(密宗論)」을 번역함흐로 부터 중국의 진언종이 비롯. 金剛智삼장과 불공삼장이 선양하여 오래 전해 내려 오다. 우리나라에는 신라의 혜통(慧通)이 당나라에 가서 선무외에게서 인결(印決)을 얻어가지고 664년(문무왕4년)에 돌아온 것이 진언종의 처음. 영묘사 불가사의 스님는 불공삼장에게 받아오고 명랑(明朗)도 당나라에 가서 신인(神印)을 얻어 가지고 돌아와 신인종을 세우고, 밀본(密本)도 밀종이었다. 신인종파의 광학(廣學)과 대연(大緣)은 고려 초기 개성에서 현성사를 지어 밀교의 근본도량을 삼았으나, 조선 초기에 없어지다.
27) 육대(六大) : 만물을 성립시킨 만유의 본체인 여섯 가지 근본요소. 지대(地大)ㆍ수대(水大)ㆍ화대(火大)ㆍ풍대(風大)ㆍ공대(空大)ㆍ식대(識大) 이 여섯 가지는 각기 널리 차 있는 것이기 때문에 대(大)라 함. 밀교에서는 이 여섯 가지를 대일여래의 상징이라고 간주함.
28) 보화불(報化佛) : 보신(報身)이나 화신(化身)으로 이 세상에 나타나는 부처님.
'* 금강심론 > 본연스님의 금강심론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절 第三節 법신法身의 무상無相과 유상有相 (0) | 2008.11.20 |
---|---|
제2절 第二節 사종四種의 오법신五法身 (0) | 2008.11.19 |
제6절 第六節 오불좌 五佛座 (0) | 2008.11.17 |
제5절 第五節 금강계 오부 金剛界五部 (0) | 2008.11.15 |
제3절 第三節 석공관 析空觀 (0) | 2008.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