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절 第二節 사종四種의 오법신五法身1)
1.은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2)」의 말한 바일 새 그 1.에는 여여지법신如如智法身이니 여여如如의 이치理를 깨달은證 진실實한 지혜智요 2.에는 공덕법신功德法身이니 십력十力ㆍ사무외四無畏 등等 일체一切의 공덕功德이오 3.에는 자법신自法身이니 지상보살地上菩薩3)에 응應하여 나타나現는 응신應身으로서 천태天台의 승응신勝應身이오 법상法相의 보신報身가운데 타수용신他受用身이며 4.에는 변화법신變化法身이니 천태종台家의 열응신劣應身이오 법상종法相家의 변화신變化身이며 5.에는 허공법신虛空法身이니 모든諸 형상相을 여읜離 여여如如의 이치理라, 이 가운데 여여지법신如如智法身과 공덕법신功德法身이란 보신報身으로서 보신의 덕報德을 지혜智慧와 공덕功德 둘로 나눔이요, 자법신自法身과 변화법신變化法身이란 응신應身으로서 응신의 덕應德을 지상地上과 지전地前의 뛰어남勝과 못함劣으로 나눔分이요, 허공법신虛空法身이란 곧 법신法身인 바 모두總 법신法身이라 이름 함은 다 이것이 법신法身의 덕상德相4)임으로 써라
2.는 「분별성위경게分別聖位經偈5)」에 자성自性 및 수용受用과 변화變化와 함께竝하는 등류等流의 부처님 덕佛德이 삼십육三十六이오 모두皆 자성신自性身과 같아同서 법계신法界身과 함께竝 하는 까닭에故 삼십칠三十七을 이룸成이라 하심과, 「예참경禮懺經」에 자성신自性身 외外에 법계신法界身을 달리別 세움立은 증득證한 글文에 의하여 사신四身(自性ㆍ受用ㆍ變化ㆍ等流) 외外에 법계신法界身이 있음을 알고 이를 해석解釋한 「오륜구자명비석五輪九字明秘釋」에 의한 밀교密敎의 세운 바所立일새, 1.에는 자성법신自性法身이니 이치理와 지혜智를 구족具足한 모든諸 부처님佛의 참 몸眞身이오 2.에는 수용신受用身이니 자수용自受用과 타수용他受用을 겸兼한 법신法身이오 3.에는 변화법신變化法身이니 본래 그대로의 모습法爾인 열응신劣應身이오 4.에는 등류법신等流法身이니 본래 그대로의 모습法爾이 잠깐暫 나타나고現 빨리速 숨는隱 구계수류九界6)隨類7)의 등류신等流身이오 5.에는 법계신法界身이니 곧 허공법신虛空法身이며,
3.은 「화엄종華嚴宗」이 세운立 것으로 1.에는 법성생신法性生身8)이니 그 출생生을 논술論하건대 여래如來의 몸身은 진실한 본성法性에서 출생出生함일새요, 2.에는 공덕법신功德法身이니 그 덕목德目을 미루어 살피推察건대 여래가 이룬如來所成 만덕萬德일새요, 3.에는 변화법신變化法身이니 그 근기機에 대對한 응변應變을 논술論하건대, 감응하여感而 형상이 아닌 것은不形者 - 없고無 근기機而를 따라 응하지 않는 것은不應者 - 없을無 새요, 4.에는 실상법신實相法身이니 그 묘妙를 말하건대 불가사의不可思議일새요, 5.에는 허공법신虛空法身이니 그 크기를 이르되稱 허공虛空에 가득彌滿하여 만유萬有를 포괄包括할새라
4.는 「소승小乘」이 세운立것 으로 곧 오종법신五種法身이 이것 이니라.
1)오종법신(五種法身): 부처님의 법신을 다섯종류로 분류한 것으로 여러 가지 설이 있음. ①법성생신(法性生身)ㆍ공덕법신(功德法身)ㆍ변화법신(變化法身)ㆍ허공법신(虛空法身)ㆍ실상법신(實相法身)을 말함. 「華嚴演義鈔」의 설. ②여여지법신(如如智法身)ㆍ공덕법신(功德法身)ㆍ자법신(自法身)ㆍ변화법신(變化法身)ㆍ허공법신(虛空法身)을 말함. 「영락경」의 설. ③자성법신(自性法身)ㆍ자수용법신(自受用法身)ㆍ타자용법신(他自用法身)ㆍ변화법신(變化法身)ㆍ등류법신(等流法身)을 말함. ④자성법신(自性法身)ㆍ수용법신(受用法身)ㆍ변화신(變化身)ㆍ등류신(等流身)ㆍ법계신(法界身)을 말함. 4종신(四種身)에게 법계신(法界身)을 더한 것. 각종(覺鍐)의 설 「九字釋」 ⑤오분법신(五分法身)과 같음.
2)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 : 영락경(瓔珞經) • 대영락경(大瓔珞經), 현재보경(現在報經)이라고도 한다. 376년에 요진(姚秦)의 축불염(竺佛念) 번역(14권). 내용은 보살의 법(法), 육도(六度), 사제(四諦), 유식(唯識)등의 여러 가지 법문(法門)을 설(說)한 경(經). 영락(瓔珞)은 보살(菩薩)의 10덕(德)으로써 그 체(體)를 장엄(莊嚴)했다는 뜻.
3) 지상보살(地上菩薩) : 보살 수행의 단계인 52위(位)중 초지(初地)이상의 지위에 있는 보살.
4) 덕상(德相): 부처님의 뛰어난 모습.
5) 분별성위경게(分別聖位經偈) : 금강정유가분별성위수증법문경(金剛頂瑜伽分別聖位修證法門經)의 약칭.
6) 구계(九界): 10계(十界)중 불계(佛界)의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 9개. 즉 지옥계에서 보살계에 이르기까지 9개를 말함. 이들 9계는 불계에 대한 방황 경계임. 지옥(地獄)ㆍ아귀(餓鬼)ㆍ축생(畜生)ㆍ수라(修羅)ㆍ인간(人間)ㆍ천상(天上)ㆍ성문(聲聞)ㆍ연각(緣覺)ㆍ보살(菩薩).
7) 수류(隨類) : 불(佛) • 보살(菩薩)이 중생(衆生)의 류(類)와 같이 현형(現形)이 무수(無數)한 것.
8) 법성생신(法性生身): 법성으로부터 생긴 불신(佛身)을 말함. 2종 보살신 중 1. 법성으로 난 몸이란 뜻. 이미 진여를 증득하여 3계에서 생사 유전하던 육신을 버리고 불생불멸하는 부사의변역신(不思議變易身)을 받은 보살.
'* 금강심론 > 본연스님의 금강심론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절 第四節 법신설법法身說法 (0) | 2008.11.21 |
---|---|
제3절 第三節 법신法身의 무상無相과 유상有相 (0) | 2008.11.20 |
제6장 第六章 삼신三身과 사토四土 (0) | 2008.11.18 |
제6절 第六節 오불좌 五佛座 (0) | 2008.11.17 |
제5절 第五節 금강계 오부 金剛界五部 (0) | 2008.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