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청화 큰스님 서적/4. 금강심론

(99)
제7절 색즉시공 공즉시색 第七節 色卽是空 空卽是色(색즉시공 공즉시색) 色卽是空(색즉시공)이라 諸法空(제법공)의 實相(실상)을 證(증)함엔 一相三昧(일상삼매)로써 하고 空卽是色(공즉시색)이라 無碍心(무애심)의 無常行(무상행)을 證(증)함엔 一行三昧(일행삼매)로써 할지니 諸法(제법)을 錆(청)에 譬(비)하고 實相(실..
제6절 석공관 第六 析空觀(석공관) 修者(수자)는 먼저 日月星宿(일월성수) 山河大地(산하대지) 森羅萬象(삼라만상)과 人畜(인축) 乃至(내지) 蠢動含靈(준동함령)과의 一切衆生(일체중생)을 餘地(여지)없이 破壞(파괴)하야 日光塵化(일광진화)하고 漸進(점진)하야써 隣虛(인허)인 百尺竿頭(백척간두)에서도 오히려 一..
제5절 묘유현상 第五節 妙有現象(묘유현상) 妙有(묘유)의 極致(극치)를 隣虛(인허)라 稱(칭)하는 바 이는 色(색)의 體用(체용)이 有(유)함이 않이오 오직 慧(혜)로써 겨우 分析(분석)하야 更(갱)히 不可分(불가분)의 究竟(구경)에 至(지)한 者(자)로서 眼見(안견)의 現量得(현량득)이 않이오 慧眼(혜안)의 所行(소행)일새 「..
제4절 오지여래 第四節 五智如來(오지여래) 毘盧遮那(비로자나)를 光明遍照(광명변조) 盧舍那(노사나)를 淨滿(정만) 그리고 釋迦牟尼佛(석가모니불)을 能仁寂黙覺(능인적묵각)이라 譯(역)하니 能仁(능인)의 良心(양심)을 가지고 寂靜(적정)에 處(처)하야 身口意(신구의)를 三緘(삼함)한 후 淨滿(정만)의 性海(성..
제3절 삼신요별 第三節 三身了別(삼신요별) 法身(법신)이란 自性淸淨心(자성청정심)인 體大(체대)요 眞(진)이며 報身(보신)이란 圓融無碍智(원융무애지)인 相大(상대)요 如(여)며 化身(화신)이란 隨緣不變識(수연불변식)인 用大(용대)요 如如(여여)니 一者(일자) 淨識(정식)이오 二者(이자) 染識(염식)으로서 染識(염식)..
제2절 인원과만 第二節 因圓果滿(인원과만) 如斯(여사)히 間斷(간단)없이 專心全力(전심전력)하야 觀而念之(관이염지)하면 習忍(습인 : 修習安忍(수습안인))이 生(생)하면서 相似覺(상사각)을 成就(성취)하는 동시에 明得定(명득정)과 明增定(명증정)의 性忍位(성인위)인 性地(성지)를 거쳐 印順定(인순정)에서 비로소 ..
제2장 보리방편문. 제1절아미타불 第 二 章 菩提方便文(보리방편문) 이의 菩提(보리)란 覺(각)의 義(의)로서 菩提方便文(보리방편문)은 見性悟道(견성오도)의 方便(방편)이라 定慧均持(정혜균지)의 心(심)을 一境(일경)에 住(주)하는 妙訣(묘결)이니 熟讀了義(숙독요의)한 후 寂靜(적정)에 處(처)하고 第一節(제일절)만 寫(사)하야 端坐正..
반야심경의 약해 般若心經(반야심경)의 略解(약해) 序分 第一(서분 제일) 心經(심경) 懸吐(현토) 三身(삼신) 四智(사지)에 萬德(만덕)을 具備(구비)한 一大人(일대인)의 大自在境(대자재경)을 觀自在(관자재)의 菩薩(보살)이 觀察(관찰)하는 菩薩(보살)이 行深般若波羅密多(행심반야바라밀다) 深密(심밀)의 正智(정지)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