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타행자의 편지 (1041)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크랩] 좌선(7) 행법(2) 오정심관(五停心觀)이라고 있습니다. 수행자의 기질에 따라 5가지의 수행법을 말하고 있습니다. ⑴부정관(不淨觀:탐욕이 많은 사람) ⑵자비관(慈悲觀:진심이 많은 사람) ⑶인연관(因緣觀:어리석은 사람) ⑷염불관(念佛觀:번뇌가 많은 사람) ⑸수식관(數息觀:산란한 사람)입니다 이 가운데서 수.. [스크랩] 좌선(6) 행법(行法)(1) 어느 분이 말씀하시길 “처음에는 화두를 했다 그러나 화두에 흥미를 못 느끼고 나무아미타불 염불을 했다 그러나 그것도 큰 힘을 얻지 못하고 옴마니 반메흠을 했다 옴마니반메흠을 해서 큰 힘을 얻었다 옴마니반메흠만이 깨달을 수가 있고 나머지 수행법은 별스럽지 않은 것이다”란 .. [스크랩] 좌선(5) 마음 앞에서 말한 다리를 포개고 허리를 곧추세우는 것 호흡을 복식 호흡해야 하는 것 적게 먹고 채식하는 것 이 모든 것이 마음을 최선의 컨디션을 유지하기위한 방법입니다. “어떠한 마음을 가지고 수행 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하늘과 땅입니다 우리가 등산 할 적에 목표지점을 정확히 나침판으.. [스크랩] 좌선(4) 식계(食戒) 우리가 먹는 음식은 꼭 수행이 아니더라도 중요한 것입니다. 부처님 당시에는 부처님께서는 하루에 한 끼 만드시는 일 종식을 하시였습니다. 당신의 아들 라훌라가 어린나이에 출가 하루에 한 끼 먹은 고통을 못 이기고 아침에 울자 아침에 죽 먹는 것을 허용, 이후에 승가는 전통적으로 아.. [스크랩] 좌선(3) 호흡 다리를 포개고 허리를 곧추세우며 눈의 시선은 2미터 전방 바닥을 바라보면서 천천히 아랫배를 넣으면서 숨을 내 쉽니다 좌선에 첫 호흡은 날숨(내쉬는 숨)으로 시작 합니다 들숨(들여 쉬는 숨)보다는 날숨을 먼저 하는 것이 마음의 평화를 더욱 가저옵니다 청정도론에 의하면 모든 태로 태어나.. 좌선(2) 자세 다리를 포개고 허리를 곧추 세우는 것이 가장 사유(思惟)하기 좋은 자세라고 말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다리를 포개는 방법이 여러 가지 있으나 가장 좋은 자세는 결가부좌 자세입니다 결가부좌 자세는 호흡을 바르게 하고 허리를 세워주며 수마(睡魔)를 벗어 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결가.. [스크랩] 좌선 선(禪)이라는 것은 사유(思惟)를 말 합니다 우리가 다리를 포개고 허리를 곧추세우는 자세는 가장 사유(思惟)하기 좋은 자세라는 것입니다 사유라는 것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결국은 내 마음을 들여다보는 것입니다 내 마음 보여야 내가 지금 화가 나는지 집착을 하고 있는지 어리석은지 알고 소.. [스크랩] 행복 행복은 소유의 만족에 오는 것 일까? 행복을 소유의 만족에 둔다면 소유의 만족은 이웃을 불편하게 하고 본인 자신 역시 끝이 없는 고통의 길이다 자본주의의 끝 없는 소유경쟁은 인간성 상실 뿐이다 그러나 행복을 마음의 풍요에 둔다면 이웃과 더불어 행복해질 수 있다 마음을 한 생각 돌이킨다면 .. 이전 1 ···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