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357)
[스크랩] 좌선(7) 행법(2) 오정심관(五停心觀)이라고 있습니다. 수행자의 기질에 따라 5가지의 수행법을 말하고 있습니다. ⑴부정관(不淨觀:탐욕이 많은 사람) ⑵자비관(慈悲觀:진심이 많은 사람) ⑶인연관(因緣觀:어리석은 사람) ⑷염불관(念佛觀:번뇌가 많은 사람) ⑸수식관(數息觀:산란한 사람)입니다 이 가운데서 수..
[스크랩] 좌선(6) 행법(行法)(1) 어느 분이 말씀하시길 “처음에는 화두를 했다 그러나 화두에 흥미를 못 느끼고 나무아미타불 염불을 했다 그러나 그것도 큰 힘을 얻지 못하고 옴마니 반메흠을 했다 옴마니반메흠을 해서 큰 힘을 얻었다 옴마니반메흠만이 깨달을 수가 있고 나머지 수행법은 별스럽지 않은 것이다”란 ..
[스크랩] 알립니다 그 동안 청화 큰스님께서 고구정령 일러주신 주옥같은 법문을 1. 영상법문 2. 오디오법문 3. 문서법문으로 분류 지속적으로 인터넷에 올려놓았습니다. 현재 1. 영상법문은 무주선원 사이트에는 다 올려놓았고 추가되는 것은 카페 무주선원에 올려놓을 계획입니다 2. 오디오법문은 많은 녹음자료 중에서..
[스크랩] 좌선(5) 마음 앞에서 말한 다리를 포개고 허리를 곧추세우는 것 호흡을 복식 호흡해야 하는 것 적게 먹고 채식하는 것 이 모든 것이 마음을 최선의 컨디션을 유지하기위한 방법입니다. “어떠한 마음을 가지고 수행 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하늘과 땅입니다 우리가 등산 할 적에 목표지점을 정확히 나침판으..
[스크랩] 좌선(4) 식계(食戒) 우리가 먹는 음식은 꼭 수행이 아니더라도 중요한 것입니다. 부처님 당시에는 부처님께서는 하루에 한 끼 만드시는 일 종식을 하시였습니다. 당신의 아들 라훌라가 어린나이에 출가 하루에 한 끼 먹은 고통을 못 이기고 아침에 울자 아침에 죽 먹는 것을 허용, 이후에 승가는 전통적으로 아..
[스크랩] 연화장 애니메이션 (1) 출처 : 아미타불과 함께하는 마음의 고향 무주선원글쓴이 : 미타행자 원글보기메모 :
[스크랩] 광륜사 꽃 출처 : 아미타불과 함께하는 마음의 고향 무주선원글쓴이 : 미타행자 원글보기메모 :
[스크랩] 좌선(3) 호흡 다리를 포개고 허리를 곧추세우며 눈의 시선은 2미터 전방 바닥을 바라보면서 천천히 아랫배를 넣으면서 숨을 내 쉽니다 좌선에 첫 호흡은 날숨(내쉬는 숨)으로 시작 합니다 들숨(들여 쉬는 숨)보다는 날숨을 먼저 하는 것이 마음의 평화를 더욱 가저옵니다 청정도론에 의하면 모든 태로 태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