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357)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크랩] 들어가는 글 금강심론金剛心論은 금타金陀(1897-1948)스님께서 지으시고 청화淸華(1923-2003)스님께서 편집한 책입니다. 금타스님의 깨달음의 세계는 보통사람이 가름하기는 힘든 세계입니다 당신의 깨달음의 세계를 메모지로 남긴 것을 청화 큰스님께서 모아서 정리하여 금강심론이라는 표제를 붙치여서야 비로서 .. [스크랩] 좌선(10) 맺는 글 인간의 마음에는 두 가지의 속성(屬性)이 있습니다. 하나는 이기심이고 하나는 이타심입니다 이기심(利己心)을 전문적인 언어로 탐(貪)ㆍ진(瞋)ㆍ치(痴) 삼독심, 아상(我相)ㆍ인상(人相)ㆍ중생상(衆生相)ㆍ수자상(壽者相)으로 표현되는 것입니다. 이타심(利他心)은 우리가 간직한 순수한 마음 .. 광륜사 연꽃 [스크랩] 좌선(9) 행법(4) 염불선(念佛禪) 염불선은 대승경전은 물론 아함경에도 염불선 수행에 대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남방에서 마지막 아라한이라고 말하는 아짠문스님(1870~1950) 글에 보면 붓도를 관(觀)하는 수행했다는 글이 나오고 있습니다. “염불선이란 부처님을 염(念)하고 관(觀)하면서 부처님의 몸과 마음을 .. [스크랩] 좌선(8) 행법(3) 자비관 자비관도 부처님께서 직접 제자들에게 일러준 수행법입니다. 안거를 지네기 위해 제자들이 숲에서 정진하는데 나무 목신(木神)들이 비구 스님 네들을 싫어했습니다. 목신은 불편해도 몇 칠만 버티면 가겠지 했는데 스님 네가 몇 칠이 지나도 떠나지를 않자 목신들이 심술을 부렸습니다.. [스크랩] 광륜사 연꽃 출처 : 아미타불과 함께하는 마음의 고향 무주선원글쓴이 : 미타행자 원글보기메모 : [스크랩] 광륜사 연꽃 출처 : 아미타불과 함께하는 마음의 고향 무주선원글쓴이 : 미타행자 원글보기메모 : [스크랩] “아미타불이 여러분의 참이름입니다” 서기 2002년 5월 15일 수요일 제 656호 법보신문 부디스트 라이프 (Buddahist Life) “아미타불이 여러분의 참이름입니다” 조계종 원로의원 청 화 스님 특별인터뷰 기화요초 만발한 5월 초 어느날 청화 스님(곡성 성륜사 조실, 조계종 원로의원)을 찾아뵈었다. 스님은 출가 이후 40년 동안을, 하루 한 끼만 취.. 이전 1 ··· 659 660 661 662 663 664 665 ··· 6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