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염불수행자료/염불수행대전

(240)
6. 정토법문(131) * 과보(果報) : 인과응보(因果應報) 또는 인연과보(因緣果報)를 줄인 말. 자기가 지은 업(業)으로 인해서 자기가 받게 되는 결과를 말하는데, 업보(業報)라고도 한다. 업(業)에는 선업/ 악업/ 무기업(無記業)의 셋이 있다. 선업(善業)을 지으면 선과(善果)를 받고 악업을 지으면 악과(惡果)를 ..
6.정토법문(130) * 〈정토경어〉는 중국 청나라 때의 고승으로, 연종(정토종)의 제10조(祖)로 추앙받는 절류(截流) 행책대사께서 지은 책이다. 선(禪)을 닦았고, 천태학의 교리를 열람하고는 선정(禪定)을 닦아 법화삼매(法華三昧)를 증득하기도 했다. 정토법문을 널리 선양하였다. * 행책대사는 「진헐 료..
6. 정토법문(129) * 〈정토경어〉는 중국 청나라 때의 고승으로, 연종(정토종)의 제10조(祖)로 추앙받는 절류(截流) 행책대사께서 지은 책이다. 선(禪)을 닦았고, 천태학의 교리를 열람하고는 선정(禪定)을 닦아 법화삼매(法華三昧)를 증득하기도 했다. 정토법문을 널리 선양하였다. * 행책대사는 「진헐 료..
6. 정토법문(128) * 남회근 선생은 「염(念)이란 어떤 일을 마음속에 항상 걸어놓고 잊지 않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자기의 부모님이 곧 돌아가시려 하는데 자기는 밖에서 근무하면서 손님을 접대해야 한다고 합시다. 비록 일을 처리하거나 말을 하지만 마음속에는 집안에 있는 어버이가 잊히지 않습니다. ..
6.정토법문(127) * 감산대사는 「부처님께서 설하신 수행법은 생사윤회를 벗어나는 것인데, 방편의 문(門)은 많지만 오직 염불을 하여 정토왕생을 구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지름길이 되고 중요한 것이다. 지금 정토수행을 닦으려면 반드시 청정한 마음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 자기 마음을 청정히 해야 ..
6. 정토법문(126) * 당나라의 영가 현각선사는 〈영가집(永嘉集)〉 서문에서 「계율이 없으면 선정이 없고, 선정이 없으면 지혜가 일어나지 않는다.」 라고 하였다. * 《능엄경》에 「섭심(攝心 : 경계에 매달리는 마음을 단속하여 거두어들임이 계(戒)가 되니, 계에서 정(定)이 나오며, 정(定)에서 지혜가 ..
6. 정토법문(125) 출가하여 수행하는 사람은 세속 만물 밖에 소요유逍遙遊하니 염불하기에 정말 좋고, 집에 있는 거사는 세속 집안이 불타는 집인 줄을 아니 염불하기에 좋습니다. 총명한 사람은 정토법문을 훤히 통달하여 염불하기에 정말 좋고, 어리석은 사람은 달리 특별한 재능이 없으니 염불하기에 ..
6. 정토법문(124) * 〈대지도론〉에 「죽을 때에 임해서 잠깐의 마음이 어찌 평생의 행력(行力)보다 뛰어나다 하는가. 임종 때의 마음은 잠깐이지만 심력(心力)의 맹렬한 것이 불이나 독과도 같은지라, 비록 작지만 능히 큰일을 짓는 것이다. 이때의 마음이란 결정코 용맹하고 굳세어 능히 백년의 행력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