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타행자의 편지

(1042)
금강심론 읽기(3) 3번째 강의 * 우리가 부처님 공부를 지여가는 데는 대략적인 불교 철학을 인식하여야 경전을 보아도 쉽게 이해가 됩니다. 지구상의 모든 종교는 대략 두 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하나는 타력적(他力的)인 종교로 대표적인 기독교 철학인데 신(神)과 인간의 관계입니다. 창조주가 있고 피조물이 있는 관..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 공부 보리방편문 마지막 부분입니다. “阿(化)彌(報)陀(法)佛을 常念하고 內外生滅相인 無數衆生의 無常諸行을 心隨萬境轉 인달하야 彌陀의 一大行相으로 思惟觀察할지니라” “아미타불을 항시 생각하면서 안팎으로 일어나고 없어지는 모든 현상과 헤아릴 수 없는 중생의 덧없는 행동들을 마음이 만 가..
금강심론읽기(2)-2 1. 般若心經반야심경의 原文원문 - 玄奘法師현장법사詔譯조역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密多心經 觀自在菩薩관자재보살 行深행심般若波羅密多반야바라밀다時시 照見조견五蘊오온皆空개공 度도一切苦厄일체고액 舍利子사리자 色不異空색불이공 空不異色공불이색 色卽是空색즉시공 空卽..
금강심론읽기(2)-1 2번째 강의 * 먼저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자주 등장하는 소승(小乘)과 대승(大乘) 그리고 밀교(密敎)에 대한 이해가 먼저 되어야 되겠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2천 5백여 년 전부터 인도 중부에서 출발하여 남쪽으로 스리랑카 그리고 미얀마․태국 등으로 퍼져있는 가르침 즉 소승(小乘)이라는 ..
정업(淨業)수행 한 스님은 아침 출근하다가 한 생각 일으켜 그 길로 절로 와서 양복 입은 체로 행자실에 입방하여 몇 년 동안은 그 이야기가 회자(膾炙: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입에 자주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되 였습니다. 출가를 간단히 결정하고 행한 스님도 있고 오래 생각하다 출가한 ..
금강심론읽기(1) 들어가는 글 제가 이번에 강의 하고자 하는 것은 『금강심론(金剛心論)』에 있는 제1장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독해(讀解)와 제2장 보리방편문(菩堤方便門)입니다. 『금강심론』이라는 책은 금타(金陀)스님이 지으신 글을 모아서 청자화자 청화 큰스님께서 편집하시면서 『금강심론』..
부처님 오신 날 우리는 매일 부처님과 함께 잠자고 함께 일어나 다니지만은 부처님을 잊고 사는 것입니다 일 년에 한번 부처님 오신 날만 기리는 것입니다. “나무아미타불”을 염송하는 일은 잊고 있는 부처님을 일깨우는 것입니다. 매일 매일 부처님 명호를 염송하는 일은 매일 매일 부처님을 맞이하는 일입니다. ..
4백일 기도회향 5백일 기도입재 안내 봄 같지 않은 봄이 지나고 토굴주변에는 찔래 꽃이 피기 시작합니다. 변덕심한 봄 건강히 보내시었습니까? 지난 2월 3일 입재한 4차 백일기도가 이번 5월26일 수요일 회향하고 바로 다섯 번째 백일기도를 입재합니다. 이번에도 변함없이 동참하여 주시여 부처님이 무량복덕 함께하시기 바랍니다. 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