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타(金陀 : 1898~1948)대화상님의 행적은 잘 알려지지 않았는데 유일한 것이 금타대화상님의 속가 아드님이신 법능(法能)스님께서 정리한 “벽산(碧山)약기(略記)” 뿐입니다. 전해지는 말로는 금타대화상님께서 선정에 들어 주판으로 계산하여 불러주면 어린 법능스님께서 무릎 꿇고 받아쓴 것이 “우주의 본질과 형량”이고 필사본 “수릉엄삼매도결”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성기(性起)스님이 바로 법능스님인데 역시 금타대화상님께서 불러주면 받아썼다고 합니다.
어렵고 힘든 시절 금타대화상님의 깨달음의 세계를 저술한 것이 등사로 필사로 석판인쇄로 소량 출판하였으나 그나마 망실되고 잊혀져가는 것을 청화(淸華 : 1923~2003)큰스님께서 금타대화상님의 저술을 모아 편집 정리하여 금강심론(金剛心論)이라고 표제를 붙이고 세상에 처음으로 내놓았을 적에 비로소 금타스님에 대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습니다.
큰스님께서 금타대화상님의 저술 일본어로 된 “우주의 본질과 형량”을 1974년도에 경기도 성도원이라는 곳에서 처음으로 번역하시였고 1979년 월출산 상견성암에서 금타대화상의 저술을 모아 금강심론이라 표제를 붙이시고 출판하십니다. 큰스님께서는 월출산 상견성암에 3년 6개월? 정도 계시였다고 하는데 3년 묵언정진하시면서 정토삼부경과 금강심론을 번역하시고 편집하신 것입니다. 그 후 지리산 백장암과 안성 칠장사를 거처 곡성 태안사에 들어오시었고(1985년) 태안사에 오시고 부터(1992년 이후부터) 몇 차례 출판이 이어지면서 많이 알려지였습니다.
금타대화상님의 저술 가운데 큰스님께서 처음으로 1974년 번역 출판한 “우주(宇宙)의 본질(本質)과 형량(形量)” 서문에 우주의 본질과 형량은 천안(天眼)이 열리신 분의 안목이라고 하시였습니다. 우주를 육안(肉眼)의 안목으로 본 것이 아니라 천안(天眼)의 안목으로 보았기에 현 물리학과는 별개이고 이해가 불가(不可)인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범인(凡人) 모르는 세계, 깊은 삼매에 들어 우주를 관찰하고 밀교용어와 물리학용어 사용하여 수리(數理)로써 표현 한 것인데 마지막 부분이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 내용과 일치하고, 금타대화상님의 저술은 그 바탕이 보리방편문의 세계다 하는 짐작만 할 뿐입니다.
“심(心)은 허공(虛空)과 등(等) 할새” 로 시작하는 보리방편문은 당신께서 선정 중에 용수(龍樹 : 150?~250?)보살로 부터 전수받아 21일 용맹정진 끝에 대각(大覺)을 이루었다는 전설의 글입니다. 삼매의 세계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합니다. 언제인가 용수보살의 수행법은 삼신(三身)을 관(觀)하는 수행법 이였다는 글을 읽고 용수보살님의 전법(傳法)은 거짓이 아니다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943년에 출판한 “보리방편문”에서 보리방편문 공부를 어떻게 지어가고 어떠한 과정을 거처 마지막 구경각(究竟覺)에 오를 것인가를 자세히 저술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신께서는 “보리방편문” 수행만 강조하신 것이 아니라 진언을 하나 간경을 하나 참선을 하나 관법을 하나 경계는 하나이며 인연 따라 수행법을 간택하여 정진하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음으로 깨달은 것이 있으면 몸으로 증명하여야[身證心悟] 한다고 강조하시였습니다.
개인적으로 금타 대화상님의 저술 가운데 백미(白眉)를 꼽으라고 한다면 전 “금강삼매송”이라 생각합니다. 1947년 설날(음력) 저술한 것으로 되어있는데 우리가 어떠한 과정을 거처 어떻게 삼매에 들어가는 과정을 경전에 근거로 하여 자세히 서술하였는데 무간정(無間定)에 들어갈 적에 온 몸이 보라색으로 변하며 8가지 감촉이 일어나면 열 가지 공덕을 구족하게 된다고 합니다.
당신의 저술은 시종일관 경전을 근거로 하여 말씀하시였고 경전은 소승, 대승 밀교까지 망라하며 밀교부분은 상당한 안목이 있으신 분인데 젊은 시절 금강산에 가시여어 밀교를 배웠다는 말도 있습니다. 어느 분은 “금강심론”을 감탄하시면서 한 번 읽는 것이 팔만대장경을 읽는 것과 같다고 하였습니다.
금강심론은 어렵다고들 합니다. 그러나 한 번 읽어보신다면 긴요(緊要 : 꼭 필요한)한 문구(文句) 남는 것은 있습니다. 자신에게 꼭 필요한 문구 하나만 건지어도 위대한 스승의 은혜를 갚는 것입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 다음 무주선원카페에 들어오시면 금강심론 PDF 파일을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