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염불수행자료/연종집요

(六) 일념(一念)이 다념(多念)과 같다는 설(設)

(六) 일념(一念)이 다념(多念)과 같다는 설(設)

 

한번 불명(佛名)을 염(念)하는 것이 여러 번 염하는 것과 같으냐 다르냐에 대하여는 아래와 같이 말하였다

 

(一) 「락방문류(樂邦文類)」에 『서가모니불이 계실 때에 어떤 속가(俗家)의 늙은 남녀 두 사람이 곡식 한말을 가지고 수를 세어 가면서 아미타불을 염하여 정토왕생을 원하는 것을 보시고 [나무서방정토극락세계 삼십육만억일십일만구천오백 동명동호 대자대비 아미타불(南無西方淨土極樂世界 三十六萬億一十九千五百同名同號 大慈大悲 阿彌陀佛)]을 한번 염하는 것이 많은 곡식 수와 같이 염하는 것과 공덕이 같다고』 말씀 하셨다 한다.

 

그러나 이 불호는 모든 정토계에서 찾아볼 수 없고 당나라 비석선사(飛錫禪師)의 「보왕론(寶王論」에 비로소 이 불호로써「일념다념문(一念多念門)」을 세웠고, 다음에 시랑(侍郞: 벼슬이름) 왕고(王古)가「직지정토결의집(直指淨土決疑集)」에 이 일을 말하였다.

그 후에 「삼문직지(三門直指)」에는 「나무서방정토극락세계불신장광상호무변 금색광명 변조법계 사십팔원 도탈중생 불가설 불가설 전불가설 항하사불찰 미진수 도마죽위 무한극수 삼백육십만억일십일만구천오백 동명동호 대자대비 아등도사 금색여래 아미타불

(南無西方淨土極樂世界 佛身長廣 相好無邊 金色光明 邊照法界 四十八願 度脫衆生 不可說 不可說 轉不可說 恒河沙佛刹 微塵數 稻麻竹葦 無限極數三百六十萬億一十一萬九千五百 同名同號 大慈大悲我等導師 金色如來 阿彌陀佛)」의 명호(名號)가 「금색아미타불경(金色阿彌陀佛經)」에서 나온 것인데, 한 번 염하고 한 번 절하면 十념 예념(禮念)한 공덕과 같다고 하셨다.

위의 두 불호는 염불하는 사람이 이것을 참고로 한 번 볼 뿐이고 항상 「나무아미타불」혹은 「아미타불」만 오로지 염할 것이다

 

(二) 十념하여 왕생하는 것보다도 一념에 왕생하여 불퇴지(不退地)에 머무는 것이 정당하다. 그 이유는 오역(五逆)과 사중죄(四重罪)도 모두 一念에 악업(惡業)을 이루어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지는 것이 활 쏘는 것과 같고, 또 一念에 선업(善業)을 이루어 극락정토에 왕생하는 것은 팔을 굽히는 것과 같다.

「무량수경(無量壽經)」에도 「일념염불(一念念佛)에 모다 왕생한다」하셨으나「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에는「十념」이라 한 것은 임종 시에 극병(劇炳)이 있어서 기운이 없고, 마음이 줄어들므로 十념을 불러서 一념을 돕게 한 것이다.

중국 당나라의 장선화(張 善和)는 백정(白丁)을 직업으로 하여 생전에 지은 업(業)이 순전히 흑업(黑業)이므로 이와 같은 사람은 설혹 선지식(善知識)을 만나서 염불을 가르쳐 주더라도 一념만으로는 부족하므로 十념으로써 그 부족한 것을 돕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염심(念心)이 왕생하고 심신(心神)이 어리석고 둔하지 아니하면 다만 一념으로도 족하니 마치 실과 머리카락 같은 묘목(苗木)을 심어서 百아름이나 되는 거목(巨木)이 되는 것과 같이 一념의 힘이 굉장히 큰 것이다.

                                                                  「念佛三昧寶王論義疏」

 

(三) 선업(善業)과 악업(惡業)이 모두 一념으로 결과하는 것인데, 一념이 일체염(一切念)을 갖추어 있으므로 一념이 十념보다 열(劣)하지 아니하고 또 十념이 즉 一념이므로 十념이 一념보다 우(優)할 것 없으나 부처님이 혹 一념을 말하시고 十념을 말씀하신 것은 여래(如來)의 뛰어난 방편(方便)이시다.

부처님께서 중생을 교화(敎化)하실 때에 간이(簡易)한 곳에서는 간이하게 말씀하시고 번다(繁多)한 곳에서는 번다하게 하셨으니, 간이한 곳에서 一념을 가르치신 것은 그 온 정력을 다하는 마음이 치밀하고 한결같으므로 一념이 다념(多念)보다 승(勝)한 까닭이고 또 번다한 곳에서 十념을 가르치신 것은 숙습(宿習)이 짙으므로 다념이라야 제거(除去)할 수 있으니 적은 염으로 삼매(三昧)를 이루기 어려운 까닭이다 그러나 이것은 한 방편에 불과하고 실은 一이 곧 二요 二가 곧 一인 즉 一념 十념 분별 할 것이 없다.

 

 

: 사중죄(四重罪) 승니(僧尼)로서 지켜야 하는 계율 가운데서 가장 중대한 것 네 가지 계(戒)를 말함인데, 이 계를 범하면 다시 비구되는 것을 엄금(嚴禁)한 계율이므로 중금(重禁)이라 이름 하는 것이며, 이것을 범하면 사중죄라 한다. 그 행위의 성질상으로 중죄이기 때문에 성중죄(性重罪)라 한다.

 

    숙습(宿習) 과거세(過去世)로 부터 훈습(薰習)해 온 번뇌의 습기(習氣)를 말한다.

 

    훈습(薰習) 우리의 몸과 입으로 표현하는 선악(善惡)의 말이나 행동 또는 뜻에 일어나는 선악의 생각 등이 일어나는 그대로 없어지지 않고 반드시 어떠한 인상이나 세력을 자기의 심체(心體)에 머물러 두는 작용을 말함이다. 마치 향이 옷에 배어드는 것 같은 데에 비유한 것이다.

 

    습기(習氣) 번뇌의 주체를 정사(正使)라 함에 대하여 습관의 기분으로 남은 것을 습기라 한다. 즉 향 담았던 그릇은 향을 비워도 오히려 향기가 남아있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함이다.

 

 

                (七) 십념 왕생(十念往生)의 의의(意義)

 

어떤 이가 묻기를 「경에는 중생의 지은 업(業)이 저울과 같아서 무거운 데로 먼저 끌린다 하였는데, 중생들이 오늘날까지 나쁜 짓을 짓지 아니한 적이 없거늘 어떻게 임종 시의 十념염불로 곧 왕생 할 수 있겠는가. 만일 十념으로 왕생한다면 무거운 데로 끌린다는 말은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하였더니 그것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지은 나쁜 업(業)이 중하고 十념의 선(善)이 경(輕)하다 하거니와 十념으로 왕생되는 것은 곧 마음에 있고 연(緣)에 있으며 결정(決定)에 있는 것이므로 시간의 오래고 짧음이나 일의 많고 적은 데 있는 것이 아니다

 

(가) 마음에 있다는 것은 사람이 죄를 지을 때에는 허망(虛妄)하고 전도(顚倒)된 마음으로 짓는 것이요 이 十념은 선지식(善知識)의 안위(安慰)에 의하여 실상법(實相法)을 듣고 염불하는 것이므로 하나는 허망하고 하나는 진실하거늘 어찌 대비할 수 있으랴 千념이나 묵은 어두운 방도 일찰나(一刹那)의 광명으로 밝게 할 수 있는 것 아닌가. 그러므로 유일마니보경(遺一摩尼寶經)에는「중생이 비록 수천거억만겁(數千巨億萬劫)을 애욕중(愛慾中)에서 죄에 덮여 있더라도 만일 불경을 듣고 一념이 선(善)하면 죄가 사라져 없어진다」하셨으니 이것이 마음에 있다는 것이다.

 

(나) 연(緣)에 있다는 것은 사람이 죄를 지을 때에는 망상(妄想)에 의하고 또 번뇌(煩惱) 과보(果報) 중생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나, 이 十념은 무상신심(無上信心)에 의하고 또 아미타불의 진실 청정한 한량없는 공덕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니 마치 사람이 독(毒 )한 화살을 맞아 골육(骨肉)이 깨어져 상하였더라도 멸제약고성(滅除藥鼓聲)을 들으면 화살이 나오고 독이 제거되는 것과 같으니 이것이 연(緣)에 있는 것이다. 『릉엄경(楞嚴經)』에 「비유하면 한 약이 있으니 이름이 멸제(滅除)라 만약 전쟁할 때에 이 약을 북에 바르면 그 북소리를 듣는 이는 화살이 빠지고 독이 제거되는 것이니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도 이와 같이 수릉엄삼매(首楞嚴三昧)에 머무르면 그 이름을 듣는 이가 삼독(三毒)의 화살이 저절로 빠져 나온다」하였다.

 

(다) 결정(決定)에 있다는 것은 사람이 죄를 지을 때에는 유후심(有後心) 유간심(有間心)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요 이 十념은 무후심(無後心) 무간심(無間心)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니 이것이 결정에 있는 것이다 지도론(智度論)에는 일체 중생이 임종 시에 죽는 고(苦)가 매우 절박하여 대단히 두려워하는 마음이 생기므로 이때에 선지식(善知識)을 만나서 대용맹(大勇猛)을 발하여 마음과 마음이 계속하여 끊어지지 않으면 이것이 증상선근(增上善根)이 되어 곧 왕생케 되는 것이다 마치 사람이 적(敵)을 대하여 진(陣)을 쳐부술 때에 평생에 있는 힘을 다 쓰는 것 같이 이 十념의 선근(善根)도 그러한 것이고 또 임종 시에 一념의 사견증상악심(邪見增上惡心)이 생기면 능히 삼계(三界)의 복(福)을 기우려서 곧 악도(惡途)에 들어가게 된다하였다.

                                                                                           [安樂集]

임종 시의 염불하는 마음 밖에 후심(後心)이 없고 후심이 없으면 딴 생각이 섞이지 않으므로 임종 시에는 무후(無後) 무간(無間)의 견고하고 흔들리지 않는 맹렬하고 날카로운 마음으로 행하는 것이고 평상시의 악업(惡業)은 유후(有後) 유간(有間)의 견고하지 못하고 흔들리며 맹렬하지 못하고 날카롭지 못한 마음으로 행하는 것이다.

十념에 왕생하는 것은 마음에 있고 경계(境界)에 있고 정(淨)에 있는 것이다.

 

(가) 마음에 있다는 것은 죄를 짓는 것은 허망심(虛妄心 )이요, 염불하는 것은 진실심(眞實心)이니 진실로서 허망(虛妄)을 떨어버리는 것이 마치 千년이나 된 어두운 방에 아침 해의 밝은 빛을 막지 못하는 것 같은 것이다.

 

(나) 경계(境界)에 있다는 것은 죄를 짓는 것은 전도경계(顚倒境界)에 연(緣)한 것이요 염불은 뛰어나게 기묘한 공덕에 연한 것이니 진정(眞正)으로써 허위(虛僞)를 여의는 것이다.

 

(다) 정(淨)에 있다는 것은 죄를 짓는 것은 염의(染意)요, 염불하는 것은 정심(淨心)이니, 정심이 염의를 이기는 것이 마치 동자(童子)의 칼이 능히 천장(千丈)의 노끈을 끊으며 작은 불이 능히 萬 속(束)의 땔 나무를 태우는 것 같은 것이다.

                                                                              「 阿彌陀經通贊疎」

 

[문]중생의 지은 죄업(罪業)이 산같이 쌓이었는데 어떻게 十념으로 그 죄업을 멸(滅)할 수 있겠는가. 비록 百萬념을 하더라도 그 많은 죄업을 다 없앨 수 없거늘 어떻게 죄업을 다 없애지 못하고 정토에 왕생하겠는가. 이에 대하여 다음의 세 가지 뜻이 있다.

 

(一) 그 악업을 멸하지 아니하더라도 정토에 왕생할 이는 임종 시에 정념(正念)이 앞에 나타나 능히 시초 없는 이래로 또는 일생 이래의 지은 선업을 이끌어 서로 도와서 왕생하는 것이다.

 

(二)부처님의 명호(名號)는 통틀어 만덕(萬德)을 이룬 것이니 일념염불(一念念佛)하는 이는 즉 一념중에 통틀어 만덕을 염하는 것이다.

 

(三) 시초 없는 이래의 악업은 망상(妄想)으로 지은 것이니 어두움과 같고 염불공덕은 진심으로 생기는 것이니 태양과 같다. 태양이 나오면 온갖 어두운 것이 없어지듯이 진심이 잠깐 일어나면 망심(妄心)이 제하여지는 것이므로 임종 시에 十념을 성취하면 반드시 왕생하게 되는 것이다.

                                                                                「唐迦才撰淨土論」

 

[문] 평시에 약간 염불하던 사람이라도 임종 시에 十념으로 왕생한다고 반드시 때를 정해 약속하기 어렵거늘 하물며 평시에 염불하지 않던 사람이 어떻게 임종 시의 十념으로 왕생할 수 있겠는가.

 

[답] 약간 염불이라는 것은 일심으로 계속 염불하지 아니하고 매일 몇 번씩 염불함을 말하는 것이니 이렇게 염불하는 사람은 염불하지 아니한 이와 다를 것이 없다. 그러나 약간 염불한 사람이거나 염불하지 아니한 사람이거나 임종 때에는 짧은 시간의 심력(心力)이 맹렬한 까닭에 十념으로 왕생할 수 있으니 다음 세 가지 뜻이 있다.

 

(一) 짧은 시간의 심력이 능히 종신(終身)토록 악 지은 사람을 이기는 것이니 비록 짧은 시간이라 하더라도 그 힘이 맹렬하여 이 마음의 맹렬한 결심이 곧 대심(大心)이며 몸을 버리는 일이 급하기가 마치 전쟁터에 들어 간 사람이 신명(身命)을 아끼지 아니함과 같은 것이다.

 

(二) 혹 승(乘)이 급하고 계(戒)가 더디더라도 임종시에 염불을 권하면 곧 신심(信心)이 생기고 비록 현세(現世) 수행(修行)하지 않았더라도 역시 숙세(宿世)의 선업(善業)이 강하므로 임종 시에 선지식(善知識)을 만나서 十념에 성공하는 것이다.

 

(三)염불할 때에 반드시 깊은 후회가 있어서 자신의 온 정력을 다하는 마음과 부처님의 원력(願力)으로 얻은 이 十념이 능히 百千萬념을 당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經)에 말씀하시기를 「일체 중생이 아미타불의 원력에 지지(支持)되어 세세(世世)에 놓지 아니하시니 이 뜻이 있으므로 부처님의 대원해(大願海) 중에서 그 이름을 한 번 일컬으면 능히 八十億 겁 생사 중죄를 멸하고 곧 부처님을 따라서 왕생한다」하였다.

                                                                                   「淨土釋疑論」

 

: 결정(決定) 부처님의 가르침을 굳게 마음에 믿는 것을 말함이다.

 

    전도(顚倒) 거꾸로 됨을 말함이니 범부가 사리에 어두워서 진리를 비진리(非眞理)로 비진리를 진리로 바꾸어 보는 것을 말함이다.

 

    수릉엄삼매(首楞嚴三昧) 신역에는 수릉가마(首楞伽摩)라 한다. 건성(健相), 건행(健行), 용건(勇健), 견고(堅固), 등으로 번역한다. 보살이 닦는 정(定)의 하나이다. 대개 십지의 보살을 건사(健士)로 하고서 그들이 닦는 정(定)이란 뜻이니 이 정은 장군이 군대를 이끌어 적을 무찔러 항복받는 것처럼 번뇌의 마군(魔群)을 파멸하는 것이라 한다.

 

    십지(十地)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階位)인 오십이위중에서 제사십일위에서 제오십위까지의 계위를 말함이다. 십회향위(十廻向位 오십위계위중 삼십일위에서 사십위까지)를 지나 이 십위(十位)는 불지(佛智)를 생겨나게 하고 능히 주지(住持)하여 움직이지 아니하며 온갖 중생을 짊어지고 교화이익(敎化利益)하는 것이 마치 대지가 만물을 싣고 이를 점점 늘어 많아지게 함과 같으므로 지(地)라 이름 하였다. 수행하는 열 가지 지위는 다음과 같다.

一, 환희지(歡喜地) 二, 이구지(離垢地) 三, 발광지(發光地) 四, 염혜지(焰慧地) 五, 난승지(難勝地) 六, 현전지(現前地) 七, 원행지(遠行地) 八, 부동지(不動地) 九, 선혜지(善彗地) 十, 법운지(法雲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