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청화 큰스님 서적/6. 정통선의 향훈

(67)
7.무아(無我)의 수행(修行) < 지혜로 관찰(以慧觀之)> 지혜로 관찰(以慧觀之) 위무지혜고(爲無智慧故) 계언유아(計言有我) 이혜관지(以慧觀之) 실무유아(實無有我) 아재하처(我在何處) 두족지절(頭足支節) 일일체관(一一諦觀) 요불견아(了不見我) 하처유인급중생(何處有人及衆生) 중생업력(衆生業力) 가위공취(假爲空聚) 종중연생(從衆緣生) 무유재주(無..
7. 무아(無我)의 수행(修行) <무아(無我)의 이유> 무아(無我)의 이유 금강경에 '통달무아법자 진시보살(通達無我法者 眞是菩薩)이라, 무아법에 통달한 사람이 진실로 보살이라' 하였습니다. 내가 없다 하는 무아법(無我法)에 통달하여야만 참다운 보살이라는 뜻입니다. 저번에도 말씀했습니다마는, 우리 범부와 성자와의 차이도 역시 내가 있다는 것..
6. 마음의 성품(性品) < 불성광명(佛性光明)> 불성광명(佛性光明) 불성(佛性)은 무엇인가? 불성은 광명뿐입니다. 그러나 불성광명(佛性光明)은 사바세계에서 보는 보통 유한적(有限的)인 그런 광명이 아니라 영원적인 진리를 갖춘 광명입니다. 광명을 부정하는 마음은 무엇인가? 그것은 어둠입니다. 또한 물질이란 것은 일차 광명을 부정하는 데서..
6. 마음의 성품(性品) <마음의 본성(本性)> 마음의 본성(本性) 심즉시불(心卽是佛)이라, 중생의 마음이 곧 부처라는 말입니다. 이 말을 생각해 보십시요. 김가나 박가나, 지금 우리 마음은 모두가 다 이런 제6의 의식(意識) 단계에 있는 셈이지요. 그런데, 마음이 곧 부처라, 비록 우리가 정화가 아직 못되어서 이런 불심(佛心)은 미처 못되어 있다 ..
6. 마음의 성품(性品) < 마음의 구성 - 십식(十識)> 마음의 구성 - 십식(十識) 십식(十識) 1. 안식(眼識)…눈 2. 이식(耳識)…귀 3. 비식(鼻識)…코 4. 설식(舌識)…혀 5. 신식(身識)…몸 6. 의식(意識)…뜻 7. 말나식(末那識)…아치(我痴), 아견(我見), 아만(我慢)등의 망식(妄識) 8. 아뢰야식(阿賴耶識)…장식(臧識) 9. 암마라식(菴摩羅識)…무구식(無垢識), 백정식(..
6. 마음의 성품(性品) <유식삼성 (唯識三性)> 유식삼성 (唯識三性) 유식삼성(唯識三性) 1.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정유리무(情有理無) 2. 의타기성 (依他起性) …여환가유(如幻假有) 3. 원성실성 (圓成實性) …정무리유(情無理有), 진여(眞如), 진공묘유(眞空妙有) ※ 위의 삼성(三性)으로써 비공비유(非空非有)한 중도실상(中道實相)을 표현함. 일..
6. 마음의 성품(性品) <참선(參禪)은 증상심학(增上心學)> 6. 마음의 성품(性品) 참선(參禪)은 증상심학(增上心學) 우리는 지금 참선을 하고 있습니다. 참선(僭禪)은 심학(心學)이라, 마음 배우는 것이 참선입니다. 그런데 마음, 이것이 가장 가깝고도 실은 가장 어려운 문제입니다. 마음은 누구나 가지고 있지마는 챙기려고 들면 챙기기가 어렵습니다. 지금 우리..
5. 참선(參禪)의 장애(障碍) < 참선(參禪)의 팔재환(八災患)> 참선(參禪)의 팔재환(八災患) 팔재환(八災患)…선정(禪定)을 방해하는 팔종재환(八種災患) 우(憂), 희(喜), 고(苦), 락(樂), 심(尋), 사(伺), 입식(入息), 출식(出息) 그 다음은 팔재환(八災患)이라, 이것은 참선하는 분들이 한사코 떼어야 할 장애입니다. 깊은 삼매(三昧)에 들면 팔재환(八災患)은 없는 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