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장 십불이문十不二門
형계의 담연존자荊溪湛然가 밝힌 『법화현의法華玄義』의 본적십묘本迹十妙를 해석釋하여 열 가지十種 불이문不二門을 세우고
이를 한 생각一念의 마음에 귀결歸結하여서, 관법觀法의 대강大綱을 보이시고 그 깊은 뜻深意을 일으켰으니 그의 본적십묘本迹十妙와 십불이문十不二門의 서로 포섭하는 것相攝을 대조對照하여 그림으로 보이면 아래와 같음이라.
첫째, 색심色心이란 색色은 유형有形 질애質碍의 법法으로 지각知覺의 작용用이 없으나, 마음心은 형질形質이 없되 지각知覺 사려緣慮의 작용用이 있는 것이요
둘째, 내외內外란 외外는 중생衆生이나 모든 부처님諸佛의 의보依報며, 내內는 오직 자기自己의 심법心法이요
셋째, 수증修證이란 수修는 닦고 다스리는修治 조작造作의 공功이며, 증證은 본래 있고本有 바뀌지 않는不改 본체 성품體性을 깨달음證이요
넷째, 인과因果란 인因은 능히 생하게 하는能生 행行이며, 과果는 생하게 되는所生 덕德이요
다섯째, 염정染淨이란 염染은 무명無明의 작용用이며, 정淨은 법성法性의 작용用이요
여섯째, 의정依正이란 이보二報의 의보와 정보依正이니, 의보依報는 중생衆生이 의지所依하는 국토國土와 재물․도구資具 등等이며, 정보正報는 의지하는 주체能依의 몸身과 마음心이요
일곱째, 자타自他란 삼법三法에 대就하여 말論하건대, 타他는 자기自己에 대對한 불법佛法과 중생법衆生法이며, 자自는 이법二法에 대對한 심법心法이요
여덟째, 삼업三業이란 신업身業은 몸身의 움직임發動이고, 구업口業은 입口의 활동發動이며 의업意業은 생각意을 일으킴發動이요
아홉째, 권실權實이란 권權은 구계九界와 칠방편七方便의 법法이며, 실實은 법계 실상의 원만함佛界圓實의 법法이요
열째, 수윤受潤이란 비유譬喩의 이름으로 수受는 받아들이는領納 감수의 뜻이니, 오승五乘 차별인差別的 능수能受의 근기根며 윤潤은 ‘이득을 보다’의沾潤 뜻이니 여래께서如來 말씀하신 이득을 보게能潤하는 법의 비法雨라.
위의 열 가지 모두十皆 불이不二라 이름함은 법화法華 이전已前은 색色․심心 등等에 대對한 설법說法이 낱낱이一一 다르다 하여隔異 둘二이라 하였으나, 법화法華에 이르러서는 하나一하나一 다른隔異的 치우친 방편偏權의 법法 그대로 실상實相의 이치理를 나타開顯내신지라
제법실상諸法實相은 한결같이一如 평등平等한 하나의一 법法으로서, 막히어 융합하지 않는隔然不融 법法이 없을無새 그러므로 총체적으로總 불이不二라 이름하니라.
제1절第一節 십무애十無碍
첫째, 용주무애用周無碍란 부처님佛이 무수한 국토刹塵 등等의 처소處에서 법계에 두루 몸法界身雲을 나타내어現 끝없는無邊 작용業用을 일으킴起이요
둘째, 상변무애相遍無碍란 부처님佛이 시방十方 일체세계一切世界 한량없는無量 불국토佛刹에서 가지가지種種로 신통 변화神變하여 모든皆是 여래如來가 몸을 받아受生 나타내 보이는示現 형상相이 있되 그 나타냄現에 따라隨 온갖 형상衆相을 모두 갖출皆具새, 만덕萬德이 원만斯圓함이요
셋째, 적용무애寂用無碍란 부처님佛은 삼매三昧에 항상 머물러常住 적에爲寂 방해됨이 없이無方 중생에게 이롭게利物 사용하시니라爲用. 곧 선정定의 작용用이므로 장애가 없다無碍고 말하며云
넷째, 의기무애依起無碍란 부처님은佛 적정寂靜에 무심無心하시되, 능能히 해인삼매海印三昧의 힘에 의해依 걸림 없는無碍 작용用을 일으킴이요起
다섯째, 진응무애眞應無碍란 진眞은 곧 비로자나遮那의 참 몸眞身이요 응應은 곧 석가釋迦의 응신應身이라, 진신眞身은 곧 본체體요 응신應身은 곧 작용用이니 본체 그대로體全 작용을 일으키며而起用 작용用이 곧 본체體일새, 석가釋迦와 비로자나遮那가 원융圓融 자재自在하여 본래本 두 본체二體가 없음이요無
여섯째, 분원무애分圓無碍란 분分은 곧 지분支分[나눔]이요 원圓은 곧 전체의 몸全身이라, 부분支分이 전신全身을 장애하지 않고不碍 전신全身이 부분支分을 장애하지 아니不碍 할새, 비로자나遮那 하나一하나一의 몸의 일부身分인 손手ㆍ발足ㆍ눈眼ㆍ귀耳, 또는 한 터럭一毛이라도 모두 비로자나遮那의 완전한 몸全身이기 때문이요
일곱째, 인과무애因果無碍란 부처님이佛 옛昔적에 보살菩薩의 행行을 닦으실修 때 바라밀波羅蜜의 원인因을 수행修하여 바라밀波羅蜜의 결과果를 증득證하신지라, 받은所受 바 보신報身과 이룬所成 사업事業도 역시亦是 시방十方 일체一切 보살菩薩의 무수한 몸身雲을 나타냄現이 자재自在하여 거리낌이 없음이요
여덟째, 의정무애依正無碍란 의依는 의보依報로 곧 부처님佛이 의지하는所依 국토國土요, 정正은 정보正報로 곧 부처님佛이 의지하게 하는能依 색신色身일새, 의보와 정보依正가 서로 원융하여相入 두二 지혜智가 장애가 없음이요無碍
아홉째, 잠입무애潛入無碍란 부처님의 지혜佛智가 중생衆生의 마음 안心內에 내재潛入함이 여래장如來藏이라, 중생衆生을 나타내되作 자성自性을 잃지 않음不失이 마치 큰 바다大海의 물水이 바람에 의해 파도를 만들되 습성濕性을 잃지 않음不失과 같음이요如
열째, 원통무애圓通無碍란 부처님佛이 큰 법계大法界를 융통融通하여 그 몸身을 짓作되, 이理를 갖추지 아니함不具이 없고無 사事로 포섭하지 아니함不攝이 없을새 하나와 다수一多, 의정依正, 인법人法, 인과因果 가 서로彼此 장애가 없으니無碍 『화엄연의초華嚴演義秒』3권에 말한 바所說이니라.
'* 금강심론 > 본연스님의 금강심론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심론 읽기(49) (0) | 2023.09.29 |
---|---|
금강심론 읽기(48) (0) | 2023.09.22 |
금강심론 읽기(46) (0) | 2023.09.08 |
금강심론 읽기(45) (0) | 2023.09.01 |
금강심론 읽기(44) (0) | 202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