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삼장第三章 사제四諦
사제四諦를 사진제四眞諦 우又는 사성제四聖諦라고도 운云하니 성자소견聖者所見의 진리眞理임으로 써라
일一에 고제苦諦란 삼계육취三界六趣의 고보苦報니 미迷의 과果요
이二에 집제集諦란 탐貪․진嗔 등等의 번뇌煩惱와 선악善惡의 제업諸業으로서 차이此二가 능能히 삼계육취三界六趣의 고보苦報를 집기集起함으로 미迷의 인因이오
삼三에 멸제滅諦란 곧 열반涅槃으로서 열반涅槃이란 혹업惑業을 멸滅하고 생사生死의 고苦를 이離한 진공적멸眞空寂滅의 경계境界니 오悟의 과果요
사四에 도제道諦란 곧 팔정도八正道로서 능能히 열반涅槃에 통通하는 도道이니 오悟의 인因이니라
차此 중中 초이初二는 유전流轉의 인과因果이니 곧 세간世間의 인과因果요 후이後二는 환멸還滅의 인과因果니 곧 출세간出世間의 인과因果로서 사四를 모두 제諦라 함은 그 진리眞理가 실지극實至極함으로써요 이자二者 공共히 과위果位를 앞세우고 인위因位를 뒤에 둠은 과果는 보기가 쉽고 인因은 알기 어려우므로 고과苦果를 먼저 보여 이를 염리厭離케 한 후 기其 인因을 단멸斷滅케 하며 우又는 열반涅槃의 묘과妙果를 먼저 들어 원요願樂케 한 후 기其 도道를 수행修行케 하심이니
불佛께서 보리수하菩提樹下를 기起하사 녹야원鹿野苑에 도到하시고 오비구五比丘를 위爲하야 이 법法을 여설如說하셨음으로 불전법륜佛轉法輪의 초初라 위謂하나니 수자修者는 의차수도依此修道하야 수의증멸隨宜證滅할지니라
제일절第一節 팔정도八正道
일一에 정견正見이란 고苦․집集․멸滅․도道 사제四諦의 이理를 견見하야 분명分明할새 무루無漏의 혜慧를 체體로 하니 이것이 팔정도八正道의 본체本體요
이二에 정사유正思惟란 사제四諦의 이理를 기견旣見하고 오히려 사유주량思惟籌量하야 진리眞理를 증장增長함이니 무루심無漏心의 심소心所(심왕心王 소유所有의 별작용법別作用法)로써 체體를 삼음이오
삼三에 정어正語란 진지眞智로써 구업口業을 닦아서 일체一切 비리非理의 말을 짓지 않음이니 무루無漏의 계戒로써 체體를 삼음이오
사四에 정업正業이란 진지眞智로써 신身의 일체사업一切邪業을 제除하야 청정淸淨의 신업身業에 주住함이니 무루無漏의 계戒로써 체體를 삼음이오
오五에 정명正命이란 신身․구口․의意의 삼업三業을 청정淸淨히 하되 정법正法에 순順하야 활명活命하고 오사명五邪命(천문天文․지리地理․사주四柱․상相․점占)을 원리遠離함이니 무루無漏의 계戒로써 체體를 삼음이오
육六에 정정진正精進이란 진지眞智를 발용發用하야 열반涅槃의 도道를 강수强修함이니 무루無漏의 근勤으로써 체體를 삼음이오
칠七에 정념正念이란 진리眞理로써 정도正道를 억념億念할 뿐으로써 사념邪念이 무無함이니 무루無漏의 념念으로써 체體를 삼음이오
팔八에 정정正定이란 진지眞智로써 무루청정無漏淸淨한 선정禪定에 입入함을 말함이니 무루無漏의 정定으로써 체體를 삼으니라
차此 팔법八法이 사비邪非를 다 떠나므로 정正이라 하고 능能히 열반안涅槃岸에 이르는 통로通路이므로 도道라 하느니라
모두 유루有漏가 아닌 무루無漏로서 견도위見道位의 행법行法인 바 정견正見의 일一은 팔정도八正道 중中의 주체主體이므로 도道요 나머지 칠七은 도분道分이요 도지道支니라
제이절第二節 십이인연十二因緣
십이인연十二因緣은 벽지불辟支佛의 관법觀法으로서 신역新譯으로는 십이연기十二緣起요 구역舊譯으로는 십이인연十二因緣이며 우又는 인연관因緣觀이라 지불관支佛觀이라고도 하니라 이는 중생衆生이 삼세三世에 섭涉하야 육도六途에 윤회輪廻하는 차제연기次第緣起를 설說한 것으로서
일一에 무명無明이란 과거세過去世의 무시번뇌無始煩惱요
이二에 행行이란 과거세過去世의 번뇌煩惱에 의依하야 지은 선악善惡의 행업行業이오
삼三에 식識이란 과거세過去世의 업業에 의依하야 수受한 현재現在 수태受胎의 일념一念이오
사四에 명색名色이란 태중胎中에서 심신心身이 발육發育하는 위位를 말함이니 명名이란 곧 심법心法으로서 심법心法이란 체體로써 현시現示하기 어렵고 다만 명名으로써 전의詮義할 바이므로 명名이라 하고 색色이란 곧 안眼 등等의 신身이오
오五에 육처六處란 육근六根이니 육근六根이 구족具足하야 장차將次 출태出胎하고자 하는 위位요
육六에 촉觸이란 이二~삼세지간三歲之間에서 사물事物에 대對하야 아직 고락苦樂을 식별識別할 수는 없고 다만 물物에 촉觸하고자 하는 위位요
칠七에 수受란 육六~칠세七歲 이후에 사물事物에 대對하야 고락苦樂을 식별하고 차此를 감수感受하는 위位요
팔八에 애愛란 십사十四~오세五歲 이후에 종종種種의 강성强盛한 애욕愛慾을 생生하는 위位요
구九에 취取란 성인成人 이후에 애욕愛慾이 우성尤盛함에 따라 제경諸境에 치구馳驅하야 소욕所欲을 취구取求하는 위位요
십十에 유有란 애취愛取의 번뇌煩惱에 의依하야 종종種種의 업業을 지어 당래當來의 과果를 정定하는 위位니 유有란 곧 업業으로서 업業이 능能히 당래當來의 과果를 함유含有함으로 유有라 이름함이오
십일十一에 생生이란 현재現在의 업業에 의依하야 미래未來의 생生을 받는 위位요
십이十二에 노사老死란 내세來世에서 노사老死하는 위位니 이 중中에서 「무명無明과 행行」의 이二는 곧 혹惑․업業의 이二로서 과거세過去世의 인因에 속屬하고 「식識․명색名色․육처六處․촉觸․수受」의 오五는 과거過去 혹업惑業의 인因에 연緣하야 받은 현재現在의 과果에 속屬할새 이는 과현일중인과過現一重因果이며 또한 「애愛․취取」의 이二는 현재現在의 혹惑이요
「유有」란 현재現在의 업業이라 이 혹업惑業의 현재인現在因에 연緣하야 미래未來의 생生과 노사老死의 과果를 감感할새 이는 현미일중인과現未一重因果라 위의 과현일중過現一重과 현미일중現未一重을 합칭合稱하야 삼세양중인과三世兩重因果라 하나니 차此 양중兩重의 인과因果에 의依하야 윤회輪廻가 무궁無窮함을 알지니라
현재現在의 혹惑(애愛․취取) 업業(유有)이 이미 현재現在의 고과苦果(식識․명색名色․육처六處․촉觸․수受)에서 생生하였음을 볼진대 과거過去의 혹업惑業도 역시 과거過去의 고과苦果에서 생生하였음을 알 것이며 이미 현재現在의 고과苦果(식識 내지 수受)가 현재現在의 업業(유有)을 생生함을 볼진대 역시 미래未來의 고과苦果(생生․노사老死)가 미래未來의 업業을 생生할 것임을 알지니라
그러므로 이를 추구推究하면 과거過去의 혹업惑業은 과거過去의 고과苦果에서 래來하고 미래未來의 고과苦果는 미래未來의 혹업惑業을 생生하야 과거過去에 시始가 무無하고 미래未來에 종終이 무無하니 이를 무시무종無始無終의 생사윤회生死輪廻라 하는 바 벽지불辟支佛은 이를 관觀하야
일一은 생사生死를 싫어하고 일一은 상실常實의 아체我體가 없음을 지知함으로써 드디어 혹업惑業을 끊고 열반涅槃을 증證하나니 이 중中에서 인因과 연緣을 분별分別하면 행行과 유有와의 이지二支는 인因이오 무명無明․애愛․취取의 삼지三支는 연緣이며 여餘의 칠지七支는 과果이나 과果는 도리어 혹업惑業의 인因을 일으키는 연緣이 됨으로 이를 연중緣中에 섭攝하고 별別로 과果의 명名을 두지 않고 인연관因緣觀이라 단칭單稱하느니라
제삼절第三節 육취六趣(도途)
미迷한 중생衆生이 업인業因의 차별差別에 의依하야 취향趣向하는 바 육처六處가 있어 육취六趣라 혹或은 육도六途라 말하니
일一에 지옥취地獄趣란 팔한八寒, 팔열八熱 등等의 고처苦處로서 지하地下에 있으므로 지옥地獄이라 명名하며
이二에 아귀취餓鬼趣란 반식飯食를 항구恒求하는 귀류鬼類의 생처生處니 인취人趣와 잡처雜處하나 불가견不可見이며
삼三에 축생취畜生趣란 방생취傍生趣라고도 이르는 바 금수禽獸의 생처生處로서 인계人界와 의처依處가 허다許多히 동일同一하야 안전가견眼前可見이며
사四에 아수라취阿修羅趣란 항상恒常 진심嗔心을 품고 전투戰鬪를 좋아하는 대력신大力神의 생처生處로서 심산유곡深山幽谷을 의처依處로 하야 인人과 격리隔離하며
오五에 인취人趣란 인류人類의 생처生處로서 염부제閻浮提 등等의 사대주四大洲에 분分하야 보報에 따라 의처依處를 구별區別하고 오직 통력通力으로써 상통相通하며
육六에 천취天趣란 몸에 광명光明이 있고 우又한 자연히 쾌락快樂을 받는 중생衆生을 천天이라 명名하는 바 욕계欲界에 육처六處가 있어 육욕천六欲天이라 하며 또한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가 다 기其의 생처生處니라
'* 금강심론 > 태안사 금강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장 금강삼매(2) (0) | 2017.10.24 |
---|---|
제4장 금강삼매(1) (0) | 2017.10.23 |
제2장 반야바라밀 (0) | 2017.10.15 |
제3편 수릉엄삼매도결 상편 제1장 수릉엄 (1) | 2017.10.13 |
제2편 해탈16지 (0) | 2017.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