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은 확철대오廓徹大悟하고 완전히 미혹을 끊고 진리를 증득證得하지 않으면 생사윤회를 벗어날 수 없소. 대보살의 근기와 성품을 지닌 사람이라면 확철대오하면서 증득하여 스스로 삼계 고해苦海를 벗어나 영원히 생사윤회를 해탈함과 동시에 위로 불도佛道를 추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교화하여 복덕과 지혜의 기초를 튼튼히 다질 수 있을 것이오. 그러나 이러한 대보살의 근기와 성품을 갖춘 경우는, 이른바 확철대오 했다는 사람들 가운데서 백천 분의 일이나 될까 말까 할 따름이라오.
그 나머지 근기가 조금이라도 처지는 사람은 제아무리 미묘한 도道를 확철대오를 했을지라도, 견혹見惑과 사혹思惑을 완전히 끊을 수 없어서 여전히 삼계에서 생사윤회를 되풀이해야 한다오. 지금 말법시대에 확철대오한 사람도 눈 씻고 찾아보기 어려운 현실인데, 하물며 확철대오한 바를 증득한 사람은 말할 나위가 있겠소.
-인광대사-
* 인광대사는 「염불법문은 자력(自力)과 불력(佛力) 두 가지를 다 갖추었소. 고로 견혹(見惑)과 사혹(思惑)을 이미 끊은 자는 법신(法身)을 증득하고, 견혹과 사혹을 끊지 못한 자는 업을 가지고 왕생한다오.」 라고 하였다.
* 우익대사는 「참선하는 자가 서방에 왕생하고 싶다면(참선을)염불로 바꿀 필요는 없다. 다만 믿음과 발원을 갖추고 참선하면 곧 이것이 정토수행이다. 또한 염불이 일심불란의 경지에 이르면 주관과 객관을 모두 잊고 곧바로 무생법인을 증득한다. 이 어찌 도를 깨침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참선과 염불은 둘 다 도를 깨칠 수 있으며, 둘 다 서방에 왕생할 수 있다. 다만 의심[疑精]이 있으면 곧 참선이고, 의심이 없으면 곧 염불이다. 사람들이 수행을 시작할 때 스스로 살필지어다.」 라고 하였다.
* 정공법사는 「만약 번뇌를 조복(調伏)시킬 수 없다면, 선(禪)을 배운다는 말은 헛소리에 지나지 않는다. 염불법문은 업(業)을 가지고 정토에 왕생하므로 번뇌를 끊지 않아도 되며, 단지 잠시 조복하기만 하면 왕생할 수 있다. 이것은 부처님이 직접 눈으로 보신 것이기 때문에, “내가 이러한 이익을 보았기 때문에 이러한 말을 한다.” 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라고 하였다.
* 남회근 선생은 「성내는 마음이나 생각이 다들 자신에게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화를 크게 냄은 당연히 성내는 생각입니다. 남을 미워하고, 사람을 속이고 하늘을 원망하고 남을 탓하는 것 이 모두가 성냄입니다. 시비(是非)를 분명히 함도 성냄입니다. 혹은 어떤 일에도 성내지 않을 거라고 말하는 것도 깔끔함을 좋아하는 것으로, 지저분한 것을 보면 참지 못하는 것도 성냄입니다. 한 생각 성냄이 바로 싫어서 미워함입니다.
당신은 염불을 합니다. 정좌(靜坐)를 합니다. 그런데 아무리 염불을 잘 하더라도 사혹(思惑 : 탐욕, 성냄, 어리석음, 교만, 의심)이나 이 심리행위를 조금도 전환시키지 못한다면 부처님을 배운다는 말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게 진정한 불법입니다. 염불을 하든 참선을 하든 밀교수행을 하든 무슨 수행을 하든지 간에 모두 소용이 없습니다. 반드시 이 사혹을 끊어야 합니다.」 라고 하였다.
어떤 이가 말했다. 「참선과 염불법문은 길은 서로 다르나 집에 도착하는 것은 진실로 같다. 그러나 참선을 해서 깨닫지 못한 사람은 인천人天에 머무를 뿐이지만, 염불을 해서 깨닫지 못한 사람은 그래도 극락에 갈 수 있다. 이것으로 비교해 보면 참선은 염불에 미치지 못하는 것 아닌가.」
답한다.
깨닫지 못해도 염불수행으로 정토에 왕생한다고 하는 것은, 염불의 정성과 간절함이 극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만약 참선하는 자가 역시 저와 같이 정성과 간절함으로 한다면, 깨달음을 얻지 못해 인천에 태어난다 해도 깨달음을 얻기가 멀지 않아 다시 세상에 오면 혜근慧根이 단박에 자라나고 단박에 깨달음을 증득하니 가히 (그 경지를) 헤아릴 수 없다. 염불을 해도 깨달음을 얻지 못한 자는 비록 정토에 왕생해도 결국 의성疑城과 태옥胎獄가운데 떨어져 범부의 알음알이가 다 교화되기를 기다려 비로소 부처님을 뵐 수 있으니 (이렇게 보면) 염불이 어찌 참선보다 뛰어나다고 하겠는가. 대저 참선법문과 염불법문은 근기에 들어맞는 것은 다르지만 공부를 해야 하는 것은 다름이 없다.
-영각永覺원현元賢선사-
* 영각 원현선사 : 중국 명나라 때의 고승.
* 《무량수경》에도 ①부처님의 지혜나 공덕을 의심하지만 염불수행은 계속하거나 ②자신이 금생(今生)에 선(善 )이 적고 악(惡)이 많은 것만 알고, 다생겁의 전생동안 자신이 쌓은 선근복덕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여 믿음을 일으키지 않고, 따라서 극락에 왕생하는 것에 의지가 굳건하지 않아 망설이고 일심으로 부처님께 의지하는 바가 없으되, 다만 염불수행을 계속한 사람들은 극락에 왕생하기 하지만 극락세계의 변두리에 있는 칠보성(七寶城)이라는 의성(疑城)에 속에 갇혀 5백세 동안 부처님을 뵙지도 못하고 설법을 듣지도 못하며 보살과 성문을 만날 수도 없으며, 헤아릴 수 없는 부처님의 처소에 두루 돌아다니며 공양을 하지도 못하는데, 이들을 태생(胎生)이라고 한다 하였다.
* 인천(人天) : 육도(六道)중에서 인간계와 천상계를 아울러 일컫는 말.
* 정식(情識) : 범부의 알음알이를 말한다. 참고로 성인의 깨달음은 성해(聖海)라 한다. 범부의 알음알이는 보잘것없는 것이고, 성인의 견지(見地)나 깨달음은 위대하다는 생각은 모두 변견(邊見)에 해당한다. 변견이란 한쪽에 치우쳐 시비 분별로써 자기주장만 하는 잘못된 견해를 말한다. 이 변견을 타파하기 위하여 범부의 알음알이에서 실체가 없다는 공성(空性)을 보고, 마찬가지로 성인의 깨달음에서도 공성을 보아, 범부와 성인 양쪽에 대한 집착을 다 벗어나야 한다. 이것이 중도(中道)이다.
* 참선은 의심이 우선이지만, 염불은 믿음이 우선이다. 참선은 믿기는 쉬워도 행하기는 어렵지만, 염불은 행하기는 쉬워도 믿기는 어렵다.
'염불수행자료 > 염불수행대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정토법문(116) (0) | 2017.05.18 |
---|---|
6. 정토법문(115) (0) | 2017.05.11 |
6. 정토법문(113) (0) | 2017.04.27 |
6. 정토법문(112) (0) | 2017.04.20 |
6. 정토법문 111 (0) | 2017.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