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타행자의 편지/광전스님의 염불선 이야기

염불선이야기34-입중오사(入衆五事)

염불선이야기34-입중오사(入衆五事)


올 봄에 지나는 길에 곡성 태안사를 들릴 기회가 있었다. 20년 전 모습 그대로 절로 올라가는 계곡을 낀 숲길은 여전히 울창하고 고즈넉했다. 차를 주차장에 세워두고 옛 추억을 되살려 능파각을 지나 오솔길로 법당을 향해 가는데 길옆에 다 부서져 널브러져가는 오래된 표지판 하나를 발견했다. 가까이 다가가 살펴보니 열반하신 은사 스님께서 태안사에서 지내실 때 손수 페인트로 쓰신 게시판이었다. “삼가 청정대중에게 알립니다. 삶과 죽음이 가장 큰 일인데 덧없는 세월은 빨리 가버리니 짧은 시간도 한껏 아끼며 방심하고 게으르지 말라”는 문구를 한문으로 써 놓은 것이었다. 은사 스님을 뵌 듯 반갑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론 세월의 무상(無常)함이 느껴져 서글픈 마음이 들었다.

 

은사 스님께서는 태안사에 주석하시면서 선방을 운영하셨는데 결제철엔 일주일에 두세 번 정도 소참법문(小參法門)을 하셨다. 특히 대중간의 관계에서 불편한 마음이 느껴질 적엔 어김없이 소참법문을 통해 분위기를 바꾸어 놓으시곤 하셨는데 그 중 기억에 남는 것이 입중오사(入衆五事)이다. 입중오법(入衆五法)은 오분율(五分律)에 나오는 대중에서 지낼 적에 명심해야 할 다섯 가지 덕목에 대한 법문이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는 하의(下意)로 ‘마음을 겸손하게 가지고 스스로 낮추는 것’을 말한다. 둘째는 자심(慈心)으로 ‘대중을 대할 때 늘 자비심을 가지고 사나운 마음을 내서는 안 된다.’ 셋째로는 공경(恭敬)으로 ‘선배 스님을 극진히 공경해야 한다.’ 넷째는 지차제(知次第)로 ‘순서를 잘 알아서 지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섯째는 불설여사(不說餘事)로 ‘수행에 관한 것 외에 일체 불필요한 말을 하지 말라.’이다.


여러 대중이 모여 살다보면 각기 살아온 환경이나 개성이 다르다 보니 갈등이 생기는 것은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수행(修行)을 위해 선방에 모인 것인 만큼 서로 하심(下心)하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대중을 대하고, 선배 스님을 잘 공경하며 모든 일에 순서를 어기지 않으며, 수행에 필요한 이야기가 아니면 하지 않는다는 이 대중처소에서의 다섯 가지 원칙을 충실히 지키면 대중 간에 큰 불협화음이 없이 수행에 전념할 수 있다는 내용의 법문이다.

 

은사 스님은 젊은 시절 대중선방에서 몇 철 지내신 뒤엔 줄곧 토굴에서만 수행하셨다. 그런 스님께서도 토굴은 아무나 가서는 안 되고 대중처소가 자신의 공부에 방해가 될 정도의 사람만 토굴에 가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대중생활은 하루의 일정이 일정한 시간표에 따라 운영되기에 밥을 먹기 싫어도 때가 되면 먹어야 하고, 더 정진하고 싶어도 대중을 배려해 가행정진(加行精進)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초심자(初心者)는 대중생활을 통해 수행에 필요한 자량(資糧)을 기르고, 깊은 삼매에 들기 위해선 홀로 토굴에서 오로지 정진해야 한다는 말씀을 하시곤 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