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청화 큰스님 서적/4. 금강심론

제3장 관음문자 제1절 관음문자공포취지문

第三章  觀音文字(관음문자)


第一節  觀音文字(관음문자) 公布(공포) 趣旨文(취지문)

       <漢字(한자) 廢止說(폐지설)에 對(대)한 管見(관견)>


  漢文字(한문자)가 輸入(수입)된 以來(이래) 東方(동방) 文化史上(문화사상)에 劃期的(획기적) 事實(사실)을 주어 곧 朝鮮文字化(조선문자화)한지라 이를 廢止(폐지)함은 곧 朝鮮文化(조선문화)의 半減(반감)일새 반다시 準備(준비)가 있고 包容(포용)이 있어 보다 더 進展(진전)될 對策(대책)을 講究(강구)할지라 筆者(필자)가 敢(감)히 이에 留意(유의)하고 三十年間(삼십년간)의 硏鑽(연찬)을 거듭하야 可謂(가위) 東西文字(동서문자)를 統一(통일)한 字形(자형)과 意義(의의)를 考究(고구)하야 表音(표음)ㆍ表意(표의)를 雙具(쌍구)하고 四聲(사성)을 兼備(겸비)한 訓民正音(훈민정음) 本能(본능)을 發揮(발휘)하야써 「增補正音(증보정음) 觀音文字(관음문자)」라 新題(신제)하고 更新(갱신)의 譯經(역경) 一例(일예)와 著書(저서) 一例(일예)를 擧示(거시)한 別途(별도)의 그 結晶(결정)안 「一人傳(일인전)에 一人度(일인도)」람을 公布(공포)하오니 有志(유지) 諸彦(제언)은 깊이 吟味(음미)하신 後(후) 더구나 國民(국민)의 精神涵養(정신함양)에 相應(상응)됨을 企待(기대)하옵고 이만 그침


      佛紀(불기)  二六五七年(이육오칠년)  丁亥(정해)  二月八日(이월팔일)

    長城(장성)白羊山(백양산)雲門道場(운문도량) 法主(법주) 釋金陀(석금타)


序(서)

  國語標準(국어표준)이 無(무)한 그대로 數千年(수천년)동안 各(각) 地方語(지방어)가 混和(혼화)하야 半自然的(반자연적) 國語化(국어화)를 未免(미면)이라 內的(내적)으로 地方(지방)의 「투리」가 仍然附隨(잉연부수)할새 同一(동일) 語族(어족) 中(중)에서 各(각) 地方的(지방적) 分派(분파)가 生(생)한 細音(세음)이 되야 獨立的(독립적) 國語(국어) 統一(통일)이 末由(말유)한 千餘年間(천여년간) 漢文(한문)에 中毒(중독)하야 中國式(중국식)의 英雄風(영웅풍)에 伴(반)한 「졈쟌」만 늘뿐 않이라 間音(간음)많은 原音(원음)은 쫏코자 하나 正音的(정음적) 天性(천성)을 未逆(미역)하야 本(본) 國文(국문)이 實際(실제)에 있어 大衆層(대중층)의 發音(발음) 可能(가능)인 「극는듣를」讀法(독법)이 內在(내재)함에 隨從(수종)할 뿐으로서 졈쟌할수록 上字(상자) 音讀(음독)엔 能(능)하나 學者(학자)라야 可能(가능)할 「긱닌딛릴」讀法(독법)이 不能(불능)하야 下字(하자) 音讀(음독)엔 未達(미달)한 不規則(불규칙)의 言語(언어) 그대로 行世(행세)하다가 日政(일정)의 暴虐(포학)을 입어 小學(소학)부터 「」橫列(횡렬) 字音(자음)이 廢止(폐지)되야 直接的(직접적) 間接的(간접적) 退縮(퇴축) 自沒(자몰)로 語音(어음)이 半失(반실)되였을새 可及的(가급적)의 이를 充當(충당)코자 一(일)은 間接(간접)의 漢字(한자)에서 還本(환본)하고 二(이)는 「긱닌딛릴」讀法(독법)의 學者(학자)에 訴(소)하야 「ㅣㅡ」의 合中音(합중음)인 「十」의 中心點(중심점) 「」를 査索(사색)하고 斯文亂賊(사문란적) 所述(소술)의 成俗(성속)인 國文讀法(국문독법)을 廢止(폐지)하야 「」音(음)을 찾는 同時(동시)에 自沒(자몰)을 防止(방지)하며 廢止(폐지) 已久(이구)의 ㅣㅣㅣㅣ 等(등)은 不得已(부득이) 「개내대래」等(등)으로 代(대)하야써 有功人(유공인) 所著(소저) 「字典釋要(자전석요)」에 憑據(빙거)하되 加一點(가일점) 或(혹) 加二點(가이점) 等(등)의 符號(부호)란 文字(문자)의 資格(자격)을 不許(불허)하는 侮辱(모욕)일새 意主音(의주음)과 身主音(신주음)으로써 上(상) 去(거) 二聲外(이성외) 曳聲(예성)을 調節(조절)하야 半像形的字形(반상형적자형)과 初(초) 中(중) 終(종)의 音義(음의)를 觀察(관찰)하는 學者的(학자적) 考究(고구)에 訴(소)한 「觀音文字(관음문자)」인 一(일) 小冊子(소책자)가 곧 國語讀本(국어독본)이오니 有志諸彦(유지제언)은 諒下(양하)하소서

      丁亥(정해)  仲春(중춘)  上浣(상완)

            碧山閒人(벽산한인)  釋金陀(석금타)  謹誌(근지)



'2.청화 큰스님 서적 > 4. 금강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절 관음자륜  (0) 2008.12.22
제2절 부화음게 모애음게  (0) 2008.12.22
제12절 관음자륜송  (0) 2008.12.21
제11절 삼륜단공송  (0) 2008.12.21
제10절 금강삼매송  (0) 2008.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