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강심론/본연스님의 금강심론 읽기

수릉엄삼매도(무장애연화삼매송)

首楞嚴三昧圖

수릉엄삼매도

又名般若波羅蜜,金剛三昧,獅子吼三昧,佛性等圖

成身會1)一千六十一尊位

우명반야바라밀,금강삼매,사자후삼매,불성등도

성신회일천육십일존위


 無障礙蓮華三昧頌2)

   (무장애연화삼매송)


歸命本覺心法身

 본각심本覺3)의 법신法身에 귀명歸命하오니

常住妙法心蓮臺

묘법妙法의 심연대心蓮臺에 상주常住하여

本來具足三身佛

본래本來로 삼신불三身佛을 구족具足하고

 三十七尊住心城

여래如來의 삼십칠존三十七尊4)이 심성心性에 머무는도다


 普門塵數諸三昧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삼매三昧

 遠離因果法然具

인과법因果法을 멀리 여의여 본래면목本來面目을 갖추니

 無邊德海本圓滿

한량없는 덕해德海5)는 본래本來로 원만圓滿하여

 還我頂禮心諸佛

내 마음 오로지 자성自性의 제불諸佛에 정례頂禮하노라


삼십칠존三十七尊은 여래如來의 무량공덕無量功德이 삼십칠조도품三十七助道品6)에 상응相應하며

연화삼매경蓮花三昧經...역운亦云 무장애경無障礙經, 역운亦云

묘법연화삼매비밀삼마야경妙法蓮花三昧秘密三摩耶經7)

진단震旦8)국중國中유일부唯一部경야經也.

차경此經장경藏經에는 없는데

천대가경天臺家經지상승旨相承구결口訣에 출

경중經中귀명歸命본각심本覺心법신法身

게문偈文팔구八句는 현밀顯密극지極地를 설

“녹왕선원鹿王9)禪院여의보주기如意寶珠記”에 출

  

* 위 무장애연화삼매송은  淸자 華자 청화 큰스님께서 번역하신 메모지

  내용입니다.


法性偈10) 三十句中八


一中一切多中一

하나에 모두 있고 많은데도 하나 있어


一卽一切多卽一

하나가 바로 모두로 많은 것 또한 하나이니


一微塵中含十方

한 티끌 작은 속에 세계를 머금었고


一切塵中亦如是

모든 티끌마다 우주가 가득하네.


無量遠劫卽一念

한량없는 긴 세월이 바로 한 생각


一念卽是無量劫

한 생각이 또한 바로 한없는 세월


九世十世互相卽

九세와 十세11)가 서로 한 줄기


仍不雜亂隔別成

그러나 섞지 않고 따로 나투네.


* 이 법성게도 淸자 華자 청화 큰스님께서 번역하신 것입니다.




1) 성신회(成身會) : 또는 근본회(根本會)ㆍ갈마회(羯磨會)라고도 함. 금강계구회만다라(金剛界九會曼茶羅)의 중앙에 있는 일회(一會)를 말함.


2) 송(頌): 게(偈)와 같음. 게송(偈頌)이라고도 함. 운문(韻文) 시구(詩句). 불교에서는 부처님의 덕을 찬탄하고 교리를 노래하는 시. 십이부경(十二部經)의 하나.


3) 본각(本覺): 현상계의 제상(諸相)을 초월한 곳에 있는 궁극의 깨달음. 또 이 깨달음의 보편성에 의해 인간은 타고 난대로 깨닫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본래 갖추어져 있는 깨달음. 부처님의 본래의 깨달음.


4) 삼십칠존(三十七尊): 금강계만다라에서 37의 제존(諸尊). 37의 수는 37보리분법(菩提分法: 4念處ㆍ4正勸ㆍ4如意足ㆍ5根ㆍ5力ㆍ7覺支ㆍ8正道. 즉 깨달음에 이르는 37가지 덕을 상징한 것임.


5) 덕해(德海): 부처님의 덕이 넓고 깊은 것을 바다에 비유.


6) 삼십칠조도품(三十七助道品): 깨달음의 지혜를 얻기 위한 실천 수행의 방법을 말함. 깨달음을 얻기 위한 실천방법을 37로 정리한 것. 4念處ㆍ4正勸ㆍ4如意足ㆍ5根ㆍ5力ㆍ7覺支ㆍ8正道의 총계. 37각분(覺分)과 같음


7)묘법연화삼매비밀삼마야경(妙法蓮花三昧秘密三摩耶經): 全一卷.唐代不空譯.又作大蓮花三昧秘密三摩耶經,無障礙經,蓮花三昧經.收於卍續藏第三冊.本經係以密敎觀點來解說妙法蓮華經,全經以金剛薩埵之請問及大日如來之答說形式所成.其內容,初擧「歸命本覺心法身」第二頌八句之本覺讚,此讚偈頗爲著名,被視爲古來三世諸佛隨身之偈,又爲一切衆生成佛之文.次述法華經二十八品中之前十四品以文殊爲本尊,後十四品以普賢爲本尊之義,並闡說五重,九重之普賢.其後又於方便秘密三摩耶品,見寶塔秘密三摩耶品等諸品之中,分別宣說「十如是」與「八葉九尊」之配當方法,寶塔與法華經根本一字阿字之深旨,提婆達多之本源,龍女及草木成佛之密呪,久遠實成如來之尊形,心眞言,住所,與常不輕菩薩禮拜之意義等.


8) 진단(震旦): 진(秦)의 음역으로 중국을 말함. 고대 인도인들이 중국을 가리킨 호칭.


9) 녹왕(鹿王): 32상(相)의 하나.

 

10) 법성게(法性偈): 신라의 의상스님이 중국에서 「화엄경」을 연구하면서 그 뜻을 요약하여 게송으로 적은 노래.


11) 십세(十世): 화엄종의 교학에 있어서 시간 구분. 과거 현재 미래의 3세(三世)의 각각에 과거ㆍ현재ㆍ미래가 있다고 하고, 이러한 9세(九世)가 융통하는 것을 가르치고 1세(一世)를 더 한다. 여기서 대강 맞추어서 10세(十世)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10현문(十玄門)의 하나로 시간적 관점에서 십세격법이성문(十世隔法異成門)이 세워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