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강심론/본연스님의 금강심론 읽기

제12절第十二節 관음자륜송觀音字輪頌

제12절第十二節  관음자륜송觀音字輪頌

         * 백사십百四十의 불공법수不共法1)로 결구結句

  사바세계娑婆世界는 음성불사音聲佛事

  중생衆生의 음성音聲을 관찰觀察하되

  먼저 탐진치貪嗔痴를 감별鑑別하고

  그 성품을 이끌어引其性 다스릴지니導之

  육무위六無爲2)의 팔십일八十一사혹思惑3)

  훈민정음正音의 증보增補글자수字數팔십칠八十七

  관음자륜觀音字輪이 대치對治함일새

  만법萬法의 근경根境4)이 몸而已인지라

  심소유법心所有法5)이 사십육四十六이니

  근음根音법수法數도 사십육四十六이라

  안육식음六識音

(아)(어)(오)(우)(으)(이)가 시초로서

  미혹과 깨달음迷悟 사이의 보고 들음見聞이 같음이라一也

  안이眼耳주음主音이 각 하나씩이오

  탐진치貪嗔痴의 비설鼻舌이 같을새

  비설鼻舌주음主音이 각씩이며

  극미極微도 이십二十사구성事俱成일새

  신주음主音이 이십二十을 이루고

  의주음主音에 의한 수依數6)가 육이라

  호용互用7)의 정수正數도 육이오

  깨달은 이의悟人분경分境이 사십일四十一일새

  정인 경음境音도 사십일四十一이라

사진참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왈一曰 십일十一의 색경음色境音이니

(기역)(니은)(디귿)(리을)(미음)

  ㅂ(비읍)(시옷) () (지읒) (히읗)

 ㅇ(이응)이라 오근五根8)오진五塵9)에 무표無表

 오근五根이 오진五塵 해 일으키는 탐음貪音

 ** (**)(쌍디귿)(쌍비읍)(쌍시옷)(쌍지읒)

병음竝音이 이것이며

 ㅎ(히읗)이 근본根本의 진음嗔音이라

 ㅊ(치읓)(키읔)(티읕)(피읖)진음嗔音이 이것이요 

 색음色音의 반 또는半又 간음間音10)이 치

 ** ** ** ** ** ** ** ** 이라

 팔식八識의 팔치음痴音이 이것이며

 그리고 오탐五貪종음終音 에도

 다시 칠극七極반수返數중종음重終音

 ㄺ ᄘ ㄻ ㄼ ᄡ ㄵ ㄶ 들이오

귀일歸一11)의 일병一竝종음終音**

 **(뎅)소리의 한줄기一條종소리鐘聲

중생衆生계몽啓蒙의 대방편大方便일새

 종소리의 울림一音響에는 삼신三身을 겸하니

 종소리 시작音始직전直前과 종소리가 끝난音終직후直後에는

 허공虛空과 같은 법신경계法身境

 천만율동千萬律動은 화신경계化身境이며

 처음과 끝始終을 통함은 보신경계報身境

 먼저 법신경계法身境에 안주安住하여

  보신 화신報化의 경계를 간별揀別할지라

  연명십구관음경延命十句觀音經12)에서 일러 말하되云曰

  관세음觀世音하고 나무불南無佛하라

  본래本來부터 부처님과 인이 있고

  부처님과 연이 있는 중생衆生일새

  불법승佛法僧에 인연있는 것이 곧

  상락아常樂我의 정연淨緣사덕四德이니

  아침으로 관세음觀世音함을 염하고

  저녁으로 관세음觀世音함을 염하면

  염과 염이 마음에서 일어나

  염과 염이 마음에서 떠나지 아니 하리라不離心

  관자재세음觀自在世音의 보살菩薩이란

  자재세음自在世音을 능히관찰觀察하고

  능(주체)과 소(객체)가 없어야

  부처님께 귀의歸依佛하는 것이니

  능과 소가 있으면 즉시卽是 중생衆生일새

  스스로自作 범부凡夫라 지음이라

  중생과 부처生佛가 한결같으니一如

  바로 삼보三寶에 귀의歸依할지라

  출가出家에는 네 종류種別가 있으니

  마음과 몸心身이 함께 출가俱出家하는 것이 일이요

  마음은 출가하고心出家은 출가하지 않음不出家이 이

  몸은 출가하고身出家 마음은 출가하지 않음不出家이 삼이고

  마음과 몸心身이 모두 출가하지 않음이不出家

  백십구百十句의 금강삼매송金剛三昧頌

  먼저 견혹見惑을 모두 끊은斷盡

  사혹思惑을 모두 끊을斷盡 준비準備일새

  점수漸修의 위수位數가 오십오五十五

  각위各位의 입출入出이 각각 있으니各有

  도피안到彼岸에 백십百十의 성수城數

  신해행증信解行證 사만성불四滿成佛이오

  백팔구百八句의 삼륜三輪단공송但空頌

  먼저 단공但空의 경계를 여의라는

  과학科學만능시대萬能時代의 경책警策이라

  이에 의지하여依此 깨달음에 들어가면入道 다행多幸이오

  본문本文의 관음觀音자륜송字輪頌이란

  견혹見惑을 끊는후득지後得智13)로써

  사혹思惑을 끊게하는 방편方便이라

  오직 부처님唯佛 한 분이一人 홀로 수행하시고獨行

  중생衆生과 더불어 수행하지 않는不共行

  백사십법百四十法에 입각立脚함으로써

  중생衆生제도濟度의 방편方便인 동시同時

  수도修道에도 역시 필요必要하나니

  중생衆生 몸 가운데로身中 흘러 들어가면서도流注

  중생衆生 에 염오染汚되지 않는

  불성佛性 곧 진실아眞實我인 자아自我

  세간世間의 자재음自在音을 관찰觀察하고

  그 근본을其本 돌아보는 것이 부처님이라

  이와 같이如此 수행修行하여서 견혹見惑

  문득 끊고頓斷 물들었던 사혹思惑

  점점 끊는漸斷 것이 수도修道일새

  안육무위행六無爲行

  전오삼십五三十에 무착無着무상無相

  청정淸淨무구無垢의 삼십이상三十二相

  십은 만수滿數라 물들은 마음染識의 정화淨化

  원만圓滿인 팔십八十종호種好인지라

  몸ㆍ인연ㆍ마음ㆍ지혜의 사가 청정하여야

  법력法力이 만족滿足한 십력十力14)일새

  설진說盡고도설苦道15)장도障道16)누진漏盡17)

  일체지一切智18)인 사무외四無畏19)이시니

  삼업三業의 허물없이不失 막아 지키는防護 삼불호三不護20)

  일체一切의 번뇌煩惱 습기를 끊고

  분별하지 않음으로써無謀 항상잊어버리지 않을 새不忘失

  방일하지 않음不放逸과 희열하지 않음不喜의 사심捨心21)

  삼념처三念處22)로써 갑옷과 투구甲冑를 삼아

  일체중생一切衆生을 구제救濟하고자

  불굴不屈의 대비원력大悲願力을 갖고

  일체종지一切種智로 돌진突進하시니

  백사십수百四十數의 불공법不共法이라

  그리고 서자西字를 상징象徵하니

  자형字形들과 그의 의의意義들을

  종합綜合한 통일統一의 관이 있어

  바야흐로 가히 이르자면可謂之 세계적世界的문자文字

  표음表音23)표의表意24)의 겸용兼用이 되어

  만방萬邦의 어음語音은 물론勿論이요

  곤충昆蟲 자연계自然界의 소리도

  모두 다 기록記錄할 수 있으며

  각어족語族과 개별적個別的 어조語調

  짐승禽獸의 소리라도 들으면

  그 성질性質을 감별鑑別하게 되니

  탐심貪心 많은조류鳥類에게 탐음貪音이 많음

  맹수猛獸의 근본진음嗔音인 (히읗) 소리가 많음과音多

  충류蟲類의 치음痴音이 많음을 보고

  소위所謂 약소민弱小民들 색음色音이 많음

  재물財物 인색가吝嗇家들 탐음貪音이 많음

  호투好鬪 예시가睨視家들 진음嗔音이 많음

  투기投機 선정가善政家들 치음痴音이 많음

  관찰觀察하여 참작參酌할지라

  현재現下 만국萬國의 교호交互통화通話

  그리고 세종世宗이 사람을 보내어送人

  명나라明國 *몽운학자蒙韻學者 황찬黃瓚25)에게

  음을 문의하심을 보면 알 것이다

  근경根境화합和合의 관음觀音글자수字數

  오만사천구십육五萬四千九十六이 되니

  탐심貪心이 많은 사람은多人 부정관不淨觀이요

  진심嗔心이 많은 사람은多人 자비관慈悲觀이며

  치심痴心이 많은 사람은多人 인연관因緣觀일새

  그 성품을其性 확인하고 스스로 제도自度할진져

 


            1947년丁亥 대보름날上元 벽산한인碧山閒人


  *운학자韻學者 운학자韻學者 오자?


1) 불공법(不共法): 자세하게는 불공불법(不共佛法)이라고 한다. 공통이 아닌 공덕법의 뜻. 불타나 보살에게만 갖추어져 있고 범부나 이승(二乘)에게는 갖추어져 있지 않는 훌륭한 특질을 말함. 보통으로 불타의 십력(十力)과 불타의 사무소외(四無所畏)와 불타의 삼념주(三念住)와 불타의 대비(大悲)를 합해서 십팔불공불법(十八不共佛法)이라고 한다.


2) 육무위(六無爲): 유식종(唯識宗)에서 무위법이 어떤 것인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가설(假說)로 6종의 이름을 세움. (1)허공무위(虛空無爲). 걸림 없음을 성품으로 하여 다른 것을 장애하거나 다른 것에 장애됨이 없어 허공ㆍ공간과 같은 무위. (2) 택멸무위(擇滅無爲). 지혜로 간택(簡擇)ㆍ판정(判定)하는 힘에 따라 얻는 무위. (3) 비택멸무위(非擇滅無爲). 지혜의 힘에 의하지 않고, 생길 인연이 없어서 나타나는 무위. (4) 부동무위(不動無爲). 제 4선(禪)에 들어가서 선정의 장애를 여의고 얻는 무위. (5) 상수멸무위(想受滅無爲). 멸진정(滅盡定)에 들어 상(想)과 수(受)를 멸한 곳에 나타나는 무위. (6) 진여무위(眞如無爲). 진여가 곧 무위임을 말한다.


3) 사혹(思惑): 수혹(修惑)이라고도 하며, 사물(事物)의 차별적인 진상(眞相)을 알지 못하므로 일어나는 번뇌.


4) 근경(根境): 또는 근진(根塵). 근(根)에는 오근(五根)과 육근(六根)의 분별이 있고, 경(境)에는 오경(五境)과 육경(六境)의 분별이 있으니 육근(六根)ㆍ육경(六境). 또는 십이처(十二處)ㆍ십이입(十二入)이라 함.


5) 심소유법(心所有法)⇒심소(心所): 심수(心數)라고도 번역하여 심(心)에 속한 것이란 뜻. 자세히는 심소유법(心所有法)ㆍ심소법(心所法)ㆍ심수법(心數法)이라 함. 5 위(位)의 하나. 심(心)과 상응(相應)하여 심(心)과 동시에 존재하고 심(心)에 종속하는 가지가지의 정신 작용을 말함. 심소(心所)는 심(心)을 따라다니므로 심소(心所)에 대해 심(心)을 심왕(心王)이라고도 한다. 심왕(心王)과 심소(心所)와의 사이에는 오의평등(五義平等)의 의미가 있어「상응(相應)」의 관계가 있다. 이런 까닭에 심소(心所)를 상응법(相應法)ㆍ심상응법(心相應法)이라고도 일컫는다. 또 심왕(心王)을 떠나서 별도로 심소(心所)의 체(體)가 있는가 없는가에 관해서 유부(有部)에서 별체설(別體說)을 주장하고 있다.


6) 의수(依數): 일정한 수(數)대로 함.


7) 호용(互用): 서로 넘나들면서 이쪽으로도 쓰고 저쪽으로도 씀.


8) 오근(五根): 다섯의 뿌리. 근(根)이라 함은 훌륭한 작용이 있다(이것을 증상〔增上〕이라고 한다)는 뜻. ①안(眼)ㆍ이(耳)ㆍ비(鼻)ㆍ설(舌)ㆍ신(身)의 오근(五根).


9) 오진(五塵): ①색(色)ㆍ성(聲)ㆍ향(香)ㆍ미(味)ㆍ촉(觸)인 다섯 가지 대상.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을 더럽히므로 진(塵)이라 한다. ②수론(數論)학파에서 주장하는 오유(五唯)와 같다. ③수론(數論)학파에서 주장하는 오종(五種)의 대상. 발성(發聲)기관을 제외한 다른 네 가지 기관(수手ㆍ족足ㆍ배설排泄기관ㆍ생식生殖기관)은 음(音)ㆍ촉(觸)ㆍ색(色)ㆍ미(味)ㆍ향(香)의 다섯 가지 대상(對象)에 관계가 있다.


10) 간음(間音): 한 단어 또는 한 어절 안의 두 모음이 상호 동화하여 변한 음.


11) 귀일(歸一): 1.여러 갈래로 나뉘거나 갈린 것이 하나로 합쳐짐. 2.여러 가지 현상이 한 가지 결말이나 결과로 돌아감.


12) 연명관음(延命觀音): 33관음의 하나 보타락해회궤(補陀落海會軌)에 「정상(頂上)에 대보관(大寶冠)이 있고 그 가운데 불신(佛身)이 주(住)하는데 신상(身相)은 심황색(深黃色)이며 자비유연상(慈悲柔耎相)이고 구세(救世)의 20개의 팔로 군생류(群生類)를 인도 한다」고 한다.


13) 후득지(後得智) [근본지根本智]: 여량지(如量智)ㆍ권지(權智)ㆍ속지(俗智). 근본지에 의하여 진리를 깨달은 뒤에, 다시 분별하는 얕은 지혜를 일으켜서 의타기성(依他起性)의 속사(俗事)를 아는 지혜. 즉 불타가 대비를 일으켜서 중생을 구제하는 것은 후득지다.


14) 십력(十力): 여래만이 갖춘 10종의 지력(智力). ⑴처비처지력(處非處智力):여실(如實)히 모든 리(理)와 비리(非理)를 아는 힘. ⑵업이숙지력(業異熟智力): 여실히 삼세의 업(業)과 그 보(報)의 인과(因果)관계를 아는 힘. ⑶정려해탈등지등지지력(精慮解脫等持等至智力):여실히 모든 선정이나 삼매의 순서나 천심(淺深)을 아는 힘. ⑷근상하지력(根上下智力): 여실히 중생의 능력이나 성질의 승열(勝劣)등을 아는 힘. ⑸종종승해지력(種種勝解智力): 여실히 중생의 요해(了解)단정(斷定)을 아는 힘. ⑹종종계지력(種種界智力): 여실히 중생의 소성(素性)ㆍ소질(素質)이나 그 행위 등을 아는 힘. ⑺편취행지력(遍趣行智力): 여실히 인천(人天)등의 모든 세계에 태어나는 행(行)의 인과를 아는 힘. ⑻숙주수념지력(宿住隨念智力): 여실히 과거세의 여러 가지의 일을 기억해 내어 다 아는 힘. ⑼사생지력(死生智力): 여실히 천안(天眼)을 가지고 중생의 사생(死生)의 때나 미래생의 선악의 세계 등을 아는 힘. ⑽누진지력(漏盡智力): 스스로 모든 번뇌가 다하여 다음의 생존을 받지 않는 것을 알고, 또 다른 사람이 번뇌를 끊는 것을 틀림없이 아는 힘.


15) 고도(苦道): 삼도(三道)의 하나 혹(惑)ㆍ업(業)ㆍ고(苦)가 서로 통하여 혹은 업을 일으키고 업은 고를 일으키며, 고는 다시 혹을 일으키므로 고도(苦道)라고 한다 .즉 삼계ㆍ육도의 중생이 고과(苦果)를 받는 것.


16) 장도(障道): 불도 수행을 방해 하는 것.


17) 누진(漏盡): 범인(凡人)이 6근문(根門)에서 번뇌를 누설(漏泄)하므로 번뇌를 누(漏)라 하고 삼승(三乘)의 극과(極果)에 이르러 성지(聖智)로써 이 번뇌를 끊으므로 누진(漏盡)이라 한다.


18) 일체지(一切智): 도종지(道種智). 일체종지(一切種智). 살바야(薩婆若).〔다(多)〕라 음역하고 그 지혜의 깊고, 넓은 것을 바다에 비유해서 살바야해(海)라고도 한다. 모든 존재에 관하여 해괄적(該括的)으로 아는 지혜가 일체지(一切智)이고,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서 도(道)의 종별(種別)을 다 아는 지혜가 도종지(道種智)이고 모든 존재에 관해서 평등의 상에 즉하여 차별의 상을 다시 정세(精細)하게 아는 지혜가 일체종지로서 각기 성문및 연각ㆍ보살불의 지혜로 한다.


19) 사무외(四無畏): 설법함에 있어 두려움 없이 자신있게 할 수 있다는 뜻. 여기에 4가지가 있어 사무외(四無畏)라고도 한다. ① 불의 사무소외(四無所畏) ⑴제법현등각무외(諸法現等覺無畏)ㆍ일체지무소외(一切智無所畏)ㆍ정등각무외(正等覺無畏)라고도 한다. 「나는 일체법을 각증(覺證)했다」고 하는 두려움이 없는 자신. ⑵일체누진지무소외(一切漏盡智無所畏)ㆍ누영진무외(漏永盡無畏)ㆍ누진무소외(漏盡無所畏)라고도 하며 「일체의 번뇌를 아주 끊었다」고 하는 두려움이 없는 자신. ⑶장법불허결정(障法不虛決定)ㆍ수기무외(授記無畏)ㆍ설장법무외(說障法無畏)ㆍ설장도무소외(說障道無所畏)라 하여 「수행에 장애되는 것은 이미 다 설하였다」고 하는 두려움 없는 자신. ⑷위증일체구족출도여성무외(爲證一切具足出道如性無畏)ㆍ설출도무외(說出道無畏)ㆍ설진고도무소외(說盡苦道無所畏)라 하여 「고계(苦界)의 미망의 세계에서 벗어나 해탈에 들어가는 길을 설하였다」고 하는 두려움 없는 자신. ② 보살의 사무소외(四無所畏) ⑴ 능지무소외(能持無所畏): 설법을 잘 기억하여 잊지 않고 뜻을 설함에 두려움 없는 자신. ⑵지근무소외(知根無所畏): 중생의 근기를 알고 그에 맞춰 적절히 설법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없는 자신. ⑶결의무소외(決疑無所畏): 중생의 의문을 해결하는 데 두려움 없는 자신. ⑷답보무소외(答報無所畏): 모든 물음에 대해 자유자재로 대답할 수 있어 두려움 없는 자신.


20) 삼불호(三不護): 여래의 신(身)ㆍ구(口)ㆍ의(意)의 삼업은 청정하여 과실이 없기 때문에 다른 사람처럼 알지 못하게 감추어 지킬 필요가 없는 것을 말한다. 곧 신불호(身不護)ㆍ어불호(語不護)ㆍ의불호(意不護)요 이것을 여래의 삼불호라고 한다.


21) 사심(捨心): 사무량심(四無量心)의 하나. 무탐(無貪)을 체(體)로 하여 중생을 평등하게 보아 원(怨)ㆍ친(親)의 구별을 두지 않으려는 마음. 일체를 버리고 착념(着念)이 없는 것.


22) 삼념처(三念處): 훼(毁)ㆍ예(譽)(칭찬하고 헐뜯는 것)에 동요함이 없는 불타(佛陀)의 평정(平靜)을 세 가지로 나눈 것. 곧 초념처(初念處)(住)ㆍ제이념처(第二念處)(住)ㆍ제삼념처(第三念處)(住)다.


23) 표음(表音): 문자나 부호로 소리를 나타내는 일.


24) 표의(表意):  문자나 부호로 뜻을 나타내는 일.


25) 황찬(黃瓚): 요동(遼東)에 귀양 왔던 명(明)나라 초엽(初葉)의 한림학사(翰林學士)ㆍ음운학자(音韻學者). 조선(朝鮮) 시대(時代) 4대 세종(世宗)은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創製)할 때에 음운(音韻)을 묻기 위(爲)하여 신숙주(申叔舟)ㆍ성삼문(成三問) 등(等)으로 하여금 13차례(次例)나 방문하게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