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강심론/본연스님의 금강심론 읽기

제2절第二節 부화음게父和音偈 모애음게母愛音偈

제2절第二節 부화음게父和音偈  모애음게母愛音偈


一, 부화음게父和音偈

(아)란 시선視線주어 아

표시表示하는 안식眼識이요

(어)란 청각聽覺을 표시表示

 반의 상대相對이식耳識이며

(오)란 수긍首肯1)비식鼻識이고

(우)란 설식舌識방패方牌인양

함성喊聲의 웃소리 같고

(으)란 신어身語신식身識이며

(이)란 견인牽引의식意識이라

융화融和식근識根본음本音일새

부성父性2)을 상징象徵함이여

 

二, 모애음게母愛音偈

(기역)은 횡재橫在3)한 만상萬象

분별分別하는 안근眼根이오

(니은)은 성진聲塵분별分別하는

대상對象의 일이근耳根이며

(디귿)은 향진香塵분별分別하는

비근鼻根인 내포장包障이요

(리을)은 미진味塵에 촉감觸感

설근舌根의 경상境相4)으로서

곧 감촉感觸의 신근身根이라

한열寒熱동감同感의 끄트머리末梢

(미음)은 전사근四近방각方角

함축含蓄함이 신근身根일새

함상含相(비읍)이 즉시卽時

(시옷)은 쌍지雙支의근意根이오

(이응)은 환화幻華색진色塵이며

(지읒)은 의생意生5)염기厭棄6)일새

성진聲塵의 장본음障本音이고

(히읗)은 견탐향貪香에서

발견發見할 향진香塵으로서

(이응)은 무표無表애음愛音인져


제3절第三節  관음자륜觀音字輪


一, 십칠자모十七字母7)(리취회理趣會십칠존十七尊8)위수位數)

a, 육식六識 부음父音

 사진참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b, 십일색十一色 모음母音


二, 자륜화字輪化의 기수자基數字


三, 87자륜字輪(증보정음增補正音 관음자륜觀音字輪 87)

        〔 () () (낱자)의  略稱 (약칭) 임〕

a, 46근음根音

(1) 6 식음識音: (아) (어) (오) (으)(이)

(2) 6 의주음意主音: (야) (여) (요) (유) 、(**)(에)

(3) 1 안주음眼主音:(애)

(4) 1 이주음耳主音:(에)

(5) 3 비주음鼻主音:(외) (와) ᅿ(**)

(6) 3 설주음舌主音:(위) ᆉ(**)(워)

(7) 20 신주음身主音: 사진참조

(8) 6 호용음互用音: 사진참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b, 41경음境音

(1) 11색음色音: (긱) (닌) (딛) **(릴)(밈)(빕)(싯)ㆁ(잉)(前ㅇ음과 같음) (짖) **(힣)(잉)(무표음無表音임)

(2) 5 탐음貪音: 사진참조

(3) 4 진음嗔音: 사진참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 8 치음痴音: **(**)(의 반음半音이며 반아음牙音9)인 일어日語(가)」행음行音)) **(**)(의 반음半音이며 경설음輕舌音인 일어日語(다)」행음行音) **(**)(**의 반음인 반반半半설음舌音10))인 로마자「R(아르)」음)** (의 반음半音이며 경순음輕脣音11)인 로마자V(브이)」음) (**) (의 반음이며 반치음半齒音12)인 일어日語(자)」행음行音 **(**)(의 반음半音이며 정치음正齒音인 로마자반G(지)) **(**)(⌛의 반음半音이며 후음喉音13)인 로마자「F(에프)」음) Z(**)(∧ㆍ 의 간음間音이며 정치음正齒音인 로마자「Z(제트)」음)

사진참조

(5) 5 탐종음貪終音: **(ㄲ쌍기역) ** (ㄸ쌍디귿)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읒)

(6) 7 중종음重終音: **(ㄺ) **(ᄘ)**(ㄻ)**(ㄼ)**(ㅄ)**(ㄵ)**(ㄶ) 

(7) 1 병종음竝終音: 사진참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수긍(首肯): 옳다고 인정함. ‘옳게 여김’으로 순화.


2) 부성(父性): 아버지로서 가지는 성질.


3) 횡재(橫在): 가로 놓임.


4) 경상(境相): 능견상(能見相)이 일어나는 것과 동시에 망현(妄現)하는 인식대상(客觀.)


5) 의생(意生): 마음으로 사량(思量)하는 것.


6) 염기(厭棄): 싫어서 버림.


7) 자모(字母): 한 개의 음절을 자음과 모음으로 갈라서 적을 수 있는 낱낱의 글자.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 쌍자모와 복자모 따위가 있다. ≒낱자(―字)·모자(母字).


8) 17존(尊): 이취경(理趣經)에서 설한 근본 진언 17자구(字句). 즉 17존의 종자를 말함.

* 이취경(理趣經): 1권 당나라 불공(不空)번역. 자세히는 대락금강불공진실삼매야경. 내제(內題)는 반야바라밀다이취품. 대반야경10회 반야이취분의 다른 번역. 금강살타의 내증(內證)인 대탐염(大貪染)삼매를 설한 것.


9) 아음(牙音): 훈민정음에서 ‘ㄱ’, ‘ㄲ’, ‘ㆁ’, ‘ㅋ’을 이르는 말. ≒아성(牙聲)·어금닛소리.


10) 설음(舌音): 혀끝과 잇몸의 사이에서 나는 소리. ‘ㄴ’, ‘ㄷ’, ‘ㅌ’ 따위가 있다. ≒설성(舌聲)·혓소리.


11) 경순음(輕脣音): 순경음. 고어에서, 입술을 거쳐 나오는 가벼운 소리. 《훈민정음》에서 순음 아래 ‘ㅇ’을 연서(連書)하여 표시한 음인 ‘ㅱ’, ‘ㅸ’, ‘ㅹ’, ‘ㆄ’ 따위이다. ≒가벼운입술소리·입술가벼운소리· 경순음. 


12) 치음(齒音): 혀끝과 윗니 또는 잇몸 사이에서 나는 소리. 국어의 ‘ㅅ’, ‘ㅆ’, ‘ㅈ’, ‘ㅉ’, ‘ㅊ’ 따위가 있다. ≒잇소리·치리음·치성.


13) 후음(喉音):목구멍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