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절第二節 부화음게父和音偈 모애음게母愛音偈
부화음게父和音偈
ㅏ란 시선視線주어 아我를
표시表示하는 안식眼識이오
ㅓ란 청각聽覺을 표시表示한
반反의 상대相對이식耳識이며
ㅗ란 수긍首肯비식鼻識이고
ㅜ란 설식舌識방패方牌인양
함성喊聲의 웃소리 같고
ㅡ란 신어身語신식身識이며
ㅣ란 견인牽引의식意識이라
융화融和식근識根본음本音일새
부성父性을 상징象徵함이어
모애음게母愛音偈
ㄱ은 횡재橫材한 만상萬像을
분별分別하는 안근眼根이오
ㄴ은 성진聲塵분별分別하는
대상對象의 일이근一耳根이며
ㄷ은 향진香塵분별分別하는
비근鼻根인 내포장內包障이요
ㄹ은 미진味塵에 촉감觸感된
설근舌根의 경상境相으로서
곧 감촉感觸의 신근身根이라
한열寒熱동감同感의 말초末梢며
ㅁ은 전사前四근방각近方角을
함축含蓄함이 신근身根일새
함상含相의 ㅂ 이 즉시卽時며
∧은 쌍지雙支의근意根이오
ㆁ은 환화幻華색진色塵이며
ㅈ 은 의생意生염기厭棄일새
성진聲塵의 장본음障本音이고
ㅎ 은 견등犬等탐향貪香에서
발견發見할 향진香塵으로서
ㅇ 는 무표애음無表愛音인져
제삼절第三節 관음자륜觀音字輪
일一, 십칠자모十七字母 (리취회理趣會십칠존위수十七尊位數)
a, 육식六識부음父音
b, 십일색十一色 모음母音
이二, 자륜화字輪化의 기수자基數字
삼三, 87자륜字輪(증보정음增補正音 관음자륜觀音字輪 87)
⟨개자箇字(낱자)의 약칭略稱임⟩
a. 46 근음根音
⑴ 6 식음識音 ㅏ(아) ㅓ(어) ㅗ (오) ㅜ(우) ㅡ (으)ㅣ(이)
⑵ 6 의주음意主音 ㅑ(야) ㅕ(여) ㅛ(요) ㅠ(유) 、(**) ? (에)
⑶ 1 안주음眼主音 ㅐ(애)
⑷ 1 이주음耳主音 ㅔ(에)
⑸ 3 비주음鼻主音 ㅚ(외) ㅘ(와) **(**)
⑹ 3 설주음舌主音 ㅟ(위) **(**) ㅝ(워)
⑺ 20 신주음身主音 사진참조
⑻ 6 호용음互用音 사진참조
b. 41 경음境音
⑴ 11 색음色音 ㄱ(긱) ㄴ(닌) ㄷ(딛) **(**)ㅁ(밈)ㅂ(빕)∧(싯)ㆁ(잉)(젼前) ㅇ음과 같음ㅈ(짖) **(**)ㅇ(잉)(무표음無表音)임
⑵ 5 탐음貪音 사진참조
⑶ 4 진음嗔音 사진참조
⑷ 8 치음痴音 **(**)(ㄱ의 반음半音인 반아음半牙音의 일(日)「ガ」행음行音 **(**)(⊂의 반음半音인 경설음輕舌音인 일(日)「ダ」행음行音) **(**)(**의 반음인 반반설음半半舌音의 영(英)「R」음(音) ** (**) ㅂ의 반음半音인 경순음輕脣音인 영「V」음(音) △(**) ∧의 반음인 반치음半齒音의 일(日)「ザ」행음行音 **(**)ㅈ의 반음半音인 정치음正齒音의 영(英)반半G음(音) **(**) (*)의 반음인 후음喉音인 영(英)「F」음(音) Z(**)∧ㅈ의 간음間音인 정치음의 영(英)「Z」음音)임
사진참조
⑸ 5 탐종음貪終音: **(ㄲ) ** (ㄸ) **(ㅃ) **(ㅆ) **(ㅉ)
⑹ 7 중종음重終音: **(ㄺ) **(**)**(ㄻ)**(ㄼ)**(ㅄ)**(ㄵ)**(ㄶ)
⑺ 1 병종음竝終音: 사진참조
'* 금강심론 > 태안사 금강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장 석존일대의 경개 (0) | 2017.09.13 |
---|---|
4절 기수묘게 5절 문서왕래 (0) | 2017.09.09 |
제3장 관음문자 제일절 관음문자공포 취지문 (0) | 2017.08.31 |
제12절 관음자륜송 (0) | 2017.08.28 |
제11절 삼륜단공송 (0) | 2017.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