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탈십육지료간解脫十六地料簡
갑신하甲申夏 벽산碧山한인閒人찬撰
해탈십육지解脫十六地 목차目次
초初 삼귀지三歸地
이二 신원지信願地
삼三 습인지習忍地
사四 가행지加行地
오五 금강지金剛地
육六 희락지喜樂地
칠七 리구지離垢地, 팔八 발광지發光地
구九 정진지精進地
십十 선정지禪定地, 십일十一 현전지現前地
십이十二 나한지羅漢地, 십삼十三 지불지支佛地
십사十四 보살지菩薩地
십오十五 유여지有餘地
십육十六 무여지無餘地
해탈십육지解脫十六地
초初삼귀지三歸地 일체一切의 불타佛陀는 불보佛寶, 불타佛陀께옵서 설說하신 교법敎法은 법보法寶, 기其 교법敎法에 의依하야 수업修業하는 자者는 승보僧寶라 운云하니 불佛이란 각지覺知의 의義요 법法이란 법궤法軌의 의義요 승僧이란 화합和合의 의義며 보寶란 기성其性의 명정明淨함과 세력勢力의 위대偉大함이 최상最上무비無比하야 능能히 세간世間을 장엄莊嚴하되 영구불변永久不變하야 세世에 희유希有한 고故라
삼보三寶에 육종六種 의義가 유有하야
일一에 동체삼보同體三寶를 일체삼보一體三寶 우又는 동상삼보同相三寶라도 운云하니 삼보三寶 일一일一의 체體에 삼보三寶의 의義가 유有하야 불佛의 체상體上에 각조覺照의 의義가 유有함은 불보佛寶, 궤칙軌則의 의義가 유有함은 법보法寶, 위쟁違諍의 과過가 무無함은 승보僧寶며 내지乃至 승僧에 관지觀智가 유有함은 불보佛寶, 궤칙軌則이 유有함은 법보法寶, 화합和合함은 승보僧寶일새요。
이二에 별상삼보別相三寶를 화상삼보化相三寶, 우又는 별체삼보別體三寶라도 운云하니 제불諸佛의 삼신三身을 불보佛寶, 육도六度를 법보法寶, 십성十聖을 승보僧寶라 운云함은 대승삼보大乘三寶며 장육丈六의 화신化身을 불보佛寶, 사제四諦 십이인연十二因緣의 법法을 법보法寶, 사과四果 연각緣覺을 승보僧寶라 운云함은 소승삼보小乘三寶요。
삼三에 일승삼보一乘三寶란 구경究竟의 법신法身을 불보佛寶, 일승一乘의 법法을 법보法寶, 일승一乘의 보살중菩薩衆을 승보僧寶라 운云하니 이는 승만경勝鬘經, 법화경法華經등等 의義요。
사四에 삼승삼보三乘三寶란 삼승자三乘者를 위爲하사 현現하신 불佛의 삼신三身을 불보佛寶, 삼승三乘의 법法을 법보法寶, 삼승三乘의 중衆을 승보僧寶라 운云함도 역시亦是 승만경勝鬘經과 섭론攝論등等의 의義요。
오五에 진실삼보眞實三寶란 삼신三身을 불보佛寶, 일체무루一切 無漏의 교리행과敎理行果를 법보法寶, 견체見諦 이상以上의 삼승성중三乘聖衆을 승보僧寶라 운云함이오。
육六에 주지삼보住持三寶란 불멸佛滅후後 세간世間에 주住하는 삼보三寶로서 목불木佛 화상畵像을 불보佛寶, 삼장三藏의 문구文句를 법보法寶, 체발염의剃髮染衣를 승보僧寶라 운云함이니 일一, 삼三, 오五의 삼종三種은 대승大乘에 국局하고 이二, 사四, 육六의 삼종三種은 대소승大小乘에 통通하니라
비록 삼귀계三歸戒를 초수初受할지라도 해탈解脫을 목적目的 할진댄 반다시 대승삼보大乘三寶에 귀의歸依할진뎌
계戒란 입도방편入道方便이라 불가결不可缺이니 계상戒相으론 율의律儀를 섭攝하고 계덕戒德으론 대도大道에 통通할새 오계五戒는 계경戒經의 수위首位로서 위선爲先 제일第一 불살생계不殺生戒에 있어 무생無生의 이理를 증證하면 대승大乘이오 불연不然하면 소승小乘이니라。
이二 신원지信願地 증전證前엔 미신迷信이오 증후證後엔 정신正信이니 원願도 미신迷信에 근거根據하면 속인俗人의 원願이오 정신正信에 입각立脚하면 도인道人의 원願이며 비록 정신正信의 발원發願이라도 소법小法에 지止하면 소승小乘이오 다시 대원大願을 발發하야 동요動搖가 무無하면 대승大乘이니 신信과 원願에 있어 기其 의宜를 득得하야 거듭 성취成就할지니라
성문십지聲聞十地에 있어 초수삼귀지初受三歸地가 곳 초初삼귀지三歸地며 이二 신지信地와 삼三 신법지信法地가 곳 신원지信願地중中 신지信地에 등等하나 신법信法에 있어 생멸사체生滅四諦나 무생사체無生四諦에 국局하지 않고 무량사체無量四諦 우又는 무작사체無作四諦를 신信하야 장藏․통通․별別․원圓의 사교의四敎義를 회통會通하야 발서 차지此地에서 회삼귀일會三歸一의 리理를 달達하고 구경성취究竟成就를 목적目的하야 먼저 신심信心과 원력願力을 성취成就함
삼三 습인지習忍地 복인伏忍․신인信忍․순인順忍․무생인無生忍․적멸인寂滅忍 등等 오인五忍 중中 전前 사인四忍에 각유各有 상上 중中 하下 삼품三品하고 후後 일인一忍에 유有 상上 하下 이품二品하니 특特히 복인伏忍에 있어 상上을 도종인道種忍, 중中을 성인性忍, 하下를 습인習忍이라 칭稱하는 바 성문승聲聞乘의 사내범부지四內凡夫地(오정심관五停心觀을 수修하는 위位)나 오학五學 신계지信戒地(삼학三學 성취成就의 위位)에 속屬하고 연각승緣覺乘의 일一 고행구족지苦行具足地(계행戒行을 수修하는 위位) 이二 자각심심십이인연지自覺甚深十二因緣地(십이인연十二因緣의 관법觀法을 수修하는 위位) 삼三 각료사성체지覺了四聖諦地(사체관四諦觀을 수修하는 위位) 등等에 속屬하나 삼三 습인지習忍地란 소승小乘의 수법修法에 국局하지 않고 무량법문無量法門으로써 수기응량隨機應量하야 수습안인修習安忍을 성취成就함
사四 가행지加行地 어느 수법修法이든지 득정得正하면 가可하니 습인習忍을 성취成就한 후后 의법依法 결제結制하고「동안거冬安居가 절호絶好함」 경험자經驗者의 외호지도하外護指導下에서 일심불란一心不亂하야 삼밀三密을 수守하며 용맹정진勇猛精進으로써 간단間斷없이 가행加行하면 반다시 난위煖位에서 명득정明得定, 정위頂位에서 명증정明增定, 인위忍位에서 인순정印順定, 세제일법위世第一法位에서 무간정無間定을 차제성취次第成就하나니
이를 오상성신위五相成身位에 배配하면 명득정明得定은 통달심通達心의 전상前相이오。명증정明增定은 곳 제일第一 통달보리심위通達菩提心位며。인순정印順定은 제이第二 수보리심위修菩提心位며。무간정無間定은 제삼第三 성금강심위成金剛心位니 곳 사선四禪을 통관通貫한 일심지一心支로서 그 극점極點이 멸진정滅盡定일새 무간도無間道의 직후直後가 해탈도解脫道니라
그리고 명득정明得定과 명증정明增定에서 성인性忍을 성취成就하나니 이가 공십지共十地의 제이第二 성지性地요。인순정印順定에서 도종인道種忍을 성취成就하나니 이가 공십지共十地의 제삼第三 팔인지八印地인 동시同時에 성문승聲聞乘의 육六 팔인지八印地(성문聲聞 견도見道의 위位)며。성인性忍과 도종인道種印이 아울너 연각승緣覺乘의 사四 심심이지지甚深利智地(심심甚深의 무상지無相地를 생生하는 위位)와 오五 팔성도지八聖道地(팔성도八聖道를 수修하는 위位)와 육六 각료법계허공계중생계지覺了法界虛空界衆生界地(이의 삼계三界를 각료覺了하는 위位)에 해당該當하니라
오五 금강지金剛地 보살菩薩이 장등정각將登正覺할새 개좌皆坐 금강좌金剛座라 설說하신 금강좌金剛座란 곳 금강지金剛地로서 오상성신위차五相成身位次의 제사第四 성금강신위成金剛身位니 해탈도解脫道에 제일보第一步를 인印한지라 공십지共十地의 제사第四 견지見地요 또 성문승聲聞乘의 칠第七 수다원지須陀洹地(예류과預流果의 위位)며。연각승緣覺乘의 칠第七 증적멸지證寂滅地(연각緣覺 견도見道의 위位)인 동시同時에 팔第八 육통지六通地(육신통六神通을 득得하는 위位)의 초보初步니
환언換言하면 오五 금강지金剛地란 지층地層의 최저最低인 금강륜金剛輪이 독로獨露한 경지境地로서 단철鍛鐵의 거청去錆함 같고 농조籠鳥의 탈출脫出함 같이 생사망生死網을 출리出離하야 중생신중衆生身中의 금강불성金剛佛性을 견증見證한 자者니 진실로 본격적本格的 육안肉眼을 성취成就할새 점차漸次하야 천안天眼․법안法眼․혜안慧眼․불안佛眼을 득得할지라 수자修者―차지此地를 성취成就하야사 비로소 금강살타金剛薩埵라 명名하니라
육六 희락지喜樂地 삼계三界를 구지九地로 구분區分할새 욕계欲界는 오취五趣가 부동不同하나 동일同一의 산지散地(욕계欲界의 과보果報에 정신定心이 무無함으로 써라)임으로 일지一地로 합合하고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를 각各 사지四地로 분分하야 일一에 욕계欲界오취지五趣地니 욕계欲界내內에 지옥地獄․아귀餓鬼․축생畜生․인人․천天의 오취五趣(아수라阿修羅는 천天에 섭攝함)가 유有한바 이를 합合하야 일지一地를 성成한 자者며。이二에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니 욕계欲界의 생生을 이離함에 인因하야 희수喜受와 낙수樂受가 생生하는 지地로서 안眼․이耳․신身․의意의 사식四識만이 유有하고 비鼻․설舌 이식二識이 무無함으로 무분별無分別의 낙수樂受가 상응相應하야 의식意識에 유분별有分別의 희수喜受가 상응相應하니 곳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이며。
삼三에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니 초선정初禪定의 희락喜樂을 인因으로 하고 갱更히 승묘勝妙의 희락喜樂이 생生하는 지地로서 차지此地 이상已上엔 총總히 오식五識을 이離하고 단但 의식意識만이 유有함으로 혹或은 희수喜受가 상응相應하고 혹或은 락수樂受가 상응相應하니 곳 이선천二禪天이며。 사四에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니 희수喜受 오히려 추심麤心임으로 이선二禪의 희喜를 이離하고 독獨히 정묘무분별靜妙無分別의 락樂에 주住하는 지地로서 곳 삼선천三禪天이며。오五에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니 낙수樂受 오히려 조심粗心임으로 이를 이離하고 청정무위淸淨無爲한 사수捨受의 념念에 주住하는 지地로서 곳 사선천四禪天이며 (이상以上 사지四地는 색계色界임) 육六에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니 색계色界의 색色을 염厭하야 공空을 사思하되 공空에 변제邊際가 무無한 관해觀解를 작作하는 자者가 생生하는 지地로서
즉卽 무색계無色界의 제일천第一天이며。칠七에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니 전前의 외공外空을 염厭하야 내식內識을 사思하되 식識 에 변제邊際가 무無한 관해觀解를 작作하는 자者가 생生하는 지地로서 즉卽 무색계無色界의 제이천第二天이며。팔八에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니 전前의 내식內識을 염厭하고 무소유無所有를 사思하야 무소유無所有의 관해觀解를 작作하는 자者가 생生하는 지地로서 즉卽 무색계無色界의 제삼천第三天이며。구九에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니 전지前地와 여如한 추상麤相이 무無(비상非想)하고 극極히 미세微細한 상념想念(비비상非非想)을 유有하는 지地라 즉卽 무색계無色界의 제사천第四天으로서 삼계三界 중中 제일第一의 과보果報니라.
개蓋 무색계無色界를 식계識界, 색계色界를 근계根界, 욕계欲界를 경境(진塵)계界로 구별區別할 수 있으나 각계各界가 각各 구具 삼계三界하야 횡橫으론 구분區分할 수 없고 종縱으로 분위分位한다면 욕경계欲境界를 추진삼계麤塵三界, 색근계色根界를 세진삼계細塵三界, 무색식계無色識界를 극미삼계極微三界라 칭稱할가 하여간何如間 삼계三界란 근根․경境․식識의 별칭別稱으로서 상적相的으론 경境이오 성적性的으론 근根이며 분별적分別的으론 식識일새 오온五蘊이 각各 구具 오온五蘊하야 구별區別키 난難하나 일여一如한 중中에 성상性相이 분명分明하니 요별了別이 불무不無니라
수자修者―금강좌金剛座에 좌坐하야 공무변처空無邊處를 관념觀念하면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에 도到하고 식무변처識無邊處를 관념觀念하면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에 무소유처無所有處를 관념觀念하면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에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에 주住하면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에 도到할새 육六 희락지喜樂地란 이생희락離生喜樂과 정생희락定生喜樂이 생生하는 지地니 성문승聲聞乘의 팔八 수다함지須陀含地(일래과一來果의 위位)와。공십지共十地의 제오第五 박지薄地에 해당該當하고。오五 금강지金剛地와 육六 희락지喜樂地를 합合해서 보살승菩薩乘의 초初 환희지歡喜地에 당當하니라
'* 금강심론 > 운문암 금강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리방편문,해탈16지 료간 파일 (0) | 2017.04.15 |
---|---|
3. 해탈16지료관(2) (0) | 2017.04.13 |
갑호 증보관음문자 (0) | 2017.04.02 |
2. 목판보리방편문(3) (0) | 2017.03.30 |
2. 목판보리방편문(2) (0) | 2017.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