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무주당 청화(淸華)큰스님/1. 청화 큰스님의 행화

정통불법의 재천명 제5차 세미나(2)

제 1발표


달마어록에 나타난 염불선

   


조준호

한국외대 남아시아연구소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염불선의 연원과 위상

Ⅲ. 보리달마와 염불선

1. 보리달마의 불교사적 위상

2. 달마어록과 달마선

3. 『이입사행론(二入四行論)』과 실상염불

4. 후대 선불교에 있어 이입사행의 사상적 전개

5. 염불선의 의의

Ⅳ. 마치는 말


Ⅰ. 들어가는 말


불교는 오랜 역사만큼이나 그리고 수많은 학파와 종파만큼이나 다양한 수행법이 전개되어 왔다. 이는 중생의 근기와 성향에 따른 석가모니붓다의 대기설법(對機說法)과 차제설법(次第說法)의 정신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근현대 한국수행전통에 있어서는 간화선만이 전부이고 정통수행법인 것처럼 여겨져 왔다. 이처럼 특정한 한 수행법만이 주류이고 전통수행법처럼 강조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특정한 한 수행법에 다른 불교수행법들이 매몰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현재 우리는 불교경전에 붓다가 중생의 근기와 성향에 맞게 제시한 다양한 종류와 다양한 단계의 수행법이 있지만 대부분 사장되거나 제대로 시행되지 못한 현실에 있다. 안타깝게도 많은 수행전통들이 단절되었다. 되레 그러한 수행을 이질적으로 느끼기까지 한다. 하지만 현재 우리가 처한 현실은 과거처럼 획일적인 하나가 용인되거나 강조될 수 없는 다양성과 다원화된 시대에 살고 있다. 이와함께 수행법 또한 다양성이 요청되는 시대를 살고 있다. 과거에서처럼 어느 특정 수행법만이 전부이고 정통이라는 일변도의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대중들의 다양한 근기와 성향에 걸맞게 다양한 수행법이 제시되는 친절한 불교가 되어야한다. 이러한 점에서 오랜 불교 역사 속에 전개되어 왔던 다양한 수행전통의 복원이 시급하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금타화상과 청화선사의 염불선은 큰 의미를 갖고 있다. 다행스럽게 하나의 수행법만이 강조되는 시대에도 불구하고 착실하게 잘 계승해왔기 때문이다. 우리시대에 있어 청화선사의 염불선은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수행풍토를 벗어나 근기와 성향에 맞게 불교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불선에 대한 학문적인 조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일찍이 20여 년 전에 발표된 염불선에 관한 국내논문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그 논문에 의하면 염불선은 불교역사 속에 “실제로 널리 수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론적인 정립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이다”라고 고백하고 있다. 이후 10년 뒤 염불선을 제창했던 청화는 입적(2003)하고 그리고 다시 10주기를 맞이하고 있다. 물론 중간에 몇 편의 논문이 나왔지만 다른 불교수행법에 비하면 매우 미비한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청화의 염불선이 불교전문연구자에 다루어진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고의 주제와 관련하여 간략하게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국내에 있어 염불선의 본격적인 연구논문은 1993년에 발표된 보광의 「念佛禪이란 무엇인가?」이다. 여기에서 일본학계의 연구성과와 경향을 잘 소개해 주고 있다. 이후 정광균(법상)의 「念佛에 내재한 禪的요인에 대한 고찰」과 안준영, 「念佛禪에서의 깨달음의 문제」등의 좋은 논문이 나왔다. 이러한 가운데 특히 금타와 청화의 수행맥락에 있는 염불선을 보리달마의 가르침과 관련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 것은 박건주이다. 또한 달마어록이 몇 가지의 한글역과 외국어 번역이 있지만 최근에는 조사선 전공자에게 번역되기도 하였다.


동아시아 불교사에 있어 순선(純禪)시대는 달마대사로부터 육조혜능에 이르는 초기선종시기를 말한다. 본고는 이러한 시기에 있어 조사들의 가르침에서 염불선 사상의 전개에 대한 논의를 시도해본다. 특히 조사선의 초조라 일컫는 달마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우리의 근현대 불교역사에서 염불선을 펼쳤던 청화선사(淸華禪師 : 1923-2003)의 사상과 관련하여 또한 논의해 보고자한다.


Ⅱ. 염불선의 연원과 위상

 

달마를 초조로 전개된 선종 전통에서 간화선이나 염불선 그리고 묵조선 등이 행법의 차이는 있다하더라도 모두 그 뿌리는 같다. 즉 초조 달마대사로부터 육조혜능에 이르는 시기에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이를 ‘순선(純禪) 시대’라 일컫는다. 때문에 간화선이나 묵조선 그리고 염불선 모두가 조사선의 흐름 안에 있는 것이다. 순선시대는 육조혜능 이후의 시대와 대비된다.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 선불교 전통에 있어 혜능 이후 차츰 시간이 지나면서 특정한 행법과 선사와 그리고 어록을 중심으로 종파화(宗派化)하는 단계에 이른다. 이러한 과정에서 종파의 입장에 따라 수행법이 갈수록 전문화되고 특정한 한 행법만을 강조하게 된다. 달리 말하면 순선시대의 넓은 폭이 좁혀져 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먼저 간략하게 염불선의 연원에 대해 살펴본다. 앞서 언급하였듯 염불선의 본격적은 논문은 1993년에 발표된 보광의 「念佛禪이란 무엇인가?」이다. 여기에서 일본학자 가운데 宇井伯壽가 사종염불 가운데 칭명염불을 제외한 삼종의 염불만을 염불선의 범위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藤吉慈海는 “지금 염불하는 자가 누구인가?”를 공안화한 선(禪)을 염불선이라고 하고 있음을 소개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최초로 염불선이라는 말은 5조 홍인의 문하에서 찾을 수 있음을 전거를 들어 증명하고 있다고 한다. 이때 ‘南山念佛門禪宗’이라는 말인데 이는 대승경전인 『화엄경』에서 염불수행을 ‘염불문'(念佛門: buddhānusmrti-mukha)이라 했던 경전적 용례로서 염불선의 연원을 살펴볼 수 있다.

 

좀 더 염불선의 정의와 연원을 살펴보자. 염불선의 선(禪 : dhyāna)은 바로 선정(禪定)이나 삼매(三昧: samādhi)라는 말과 동의어로 쓰인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경론 가운데 『염불삼매경』이나 『염불보왕삼매론』등의 경명은 물론 많은 경전의 내용에서 ‘염불삼매’나 ‘염불정(念佛定)’이라는 말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는 염불선에 대한 동의어로 ‘삼매 또는 선정에 들어 염불하는 행법’을 일컫는다. 또는 buddhānussati는 ‘염불’이나 ‘염불삼매’ 로 옮겨졌다. 나아가 ‘사증상심(四增上心)의 염법(念法) 수행’에는 염불선에 거의 근접한 내용을 보여준다. 즉 사증상심이란 ‘네 가지 뛰어난 마음’을 성취해야 하는 것으로서 삼보의 염(念 : anussati)과 계(戒)의 염을 더한 것이다. 여기서 삼보의 염이란 다름 아닌 불․법․승의 성질과 가치 그리고 덕성 등을 ‘깊이 되새겨 내면화하는 행법’을 말한다. 일종의 관상법(觀想法)에 가까운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신 중심의 종교가 입으로 신의 이름을 반복적으로 불러 기도하고 숭배하는 것과는 사뭇 다른 신앙의 차원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보에 있어 “여래는 세존(世尊)이시며, 아라한(阿羅漢)이시며,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하신 분이시며(正遍知), 지혜와 덕행을 잘 갖추신 분이시며(明行足), 잘 가신 분이시며(善逝), 세상을 잘 아시는 분이시며(世間解), 위없는 분이시며(無上士), 인간을 잘 이끄시는 분이시며(調御丈夫), 신들과 인간들의 스승이시며(天人師), 깨달으신 분(佛世尊)입니다”라고 하는 것처럼 붓다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성질을 되새겨 내면화하고 체화시키는 신행법이다. 여기서 증상심(增上心)은 초기불교경전에서 삼학 가운데 정학(定學)의 다른 말로 달리 심학(心學 : cittasampadā)이나 증상심학(增上心學 : adhicittasampadā)으로 쓰여지기도 한다. 정학이란 수심(修心) 즉, ‘마음 닦는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을 의미하며 adhicitta 즉 증상심란 ‘진리 통찰을 위한 탁월하고 뛰어난 마음’이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점에서 청화는 일찍이 염불선을 부처님 당시의 초기불교로부터 구한다. 그에 있어 “염불은 부처님 당시부터서 염불(念佛) · 염법(念法) · 염승(念僧)이라고 무슨 경전에나 다 나와 있고 원래, 우리가 부처이기 때문에, 또, 부처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염불은 따지고 보면 내가 참 나를 생각하는 것입니다”라고 하여 불심(佛心) 또는 불성(佛性)의 내면화하고 체화하는 행법임을 분명히 밝힌다. 그리고 다음 문구로 “본래부처가 부처를 생각하기 때문에 역시 선(禪)이 됩니다”라는 구절은 염불법이 또는 염불행위가 바로 선(禪)으로 나아갈 때 염불선임을 천명한다. 이는 이미 초기불교에서 붓다가 증상심이 곧 심학이며 선정수행이라는 가르침과 일치한다. ‘본래부처가 부처를 생각’한다는 ‘불불상념(佛佛相念)’은 ‘불(佛)과 불(佛)이 서로 염한다’다는 뜻으로 원래 초기불교에 내장된 염불의 선적 이해를 잘 보여준다.


여기서 본고의 주제와 관련하여 더 흥미로운 것은 보리달마의 벽관(壁觀)의 의미이다. 달마에 있어 실천의 기본교설은 벽관으로 설명되는데 벽관은 ‘벽이 본다’라는 뜻이다. 흔히 달마가 9년 동안 벽을 바라보며 좌선했다는 면벽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하지만 달마를 ‘벽관 바라문’이라 할 때 벽관의 의미가 문법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여러 의미해석이 있는데 예를 들면, 벽관의 벽이란 ‘객진위망(客塵僞妄)이 들어가지 못하는 것’으로 모든 번뇌와 망상이 일어나지 않는 심불기(心不起)의 상태로 이해하는 것이 그것이다. 보리달마 연구자의 권위자인 야나기다 세이잔은 달마의 벽관은 서역에 산재하는 천불동내에 마주 보며 조성되어 있는 불상과 관련한 상상력을 펼친다. 그는 “달마의 벽관은 석굴사의 벽면을 장식하는 부처가 부처를 본다는 ‘불불상념(佛佛相念)’이라는 느낌을 떨칠 수 없다”라고 한다. 세이잔은 더 많은 설명을 생략하고 있지만 달마의 벽관은 불불상념의 상징적 의미를 나타내는 말 일 수 있다.


Ⅲ. 보리달마와 염불선

 

1. 보리달마의 불교사적 위상

 

인류 역사상 인도문화권과 동아시아 문화권의 장대한 교류사는 바로 불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 가운데 현재까지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람은 바로 보리달마와 현장이다. 보리달마(菩提達摩 : Bodhidharma)의 중요성은 바로 동아시아 선불교의 역사를 그로부터 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생존기간은 대략 5~6세기로 보면 정확하다. 그는 남인도에서 뱃길을 이용하여 중국남쪽의 광주(廣州)에 도착했다고 전한다. 이후 양무제(梁武帝)와 재시공덕에 관한 대담을 하였다한다. 다시 숭산(嵩山) 소림사에서 찾아 온 혜가에 심법(心法)을 전해주어 장구한 동아시아 선불교의 장을 열었다. 그와 관련한 모든 것은 이후 불교사상과 문화 그리고 실천의 문제에 있어 끊임없는 창조력의 원천이었고 동력이었다. 그의 위상과 영향력은 선불교와 관련하여 회자되는 수많은 말들, 예를 들면, 달마서래(達磨西來), 달마안심(達磨安心), 달마일종(達磨一宗), 달마종(達磨宗)이나 달마선(達摩禪) 그리고 달마종지(達摩宗旨), 달마장벽(達磨牆壁) 등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때문에 달마는 동아시아에 있어 선종의 시조나 개조 또는 초조로 추앙받으며 그가 전한 선을 조사선(祖師禪)이라한다. 혜능 또한『육조단경』에서 제1조로 달마를 여러 차례 언급하며 자신의 정통성을 구하고 있을 정도이다. 하지만 “달마는 이국의 승려로서 많은 오해와 질투를 받으면서도 그것을 대치가 아닌 포용과 순응으로 극복하였다”라고 평가된다. 나아가 "달마가 전한 심법은 기존 불교풍토에 환영받지 못하고 오히려 박해에 가까운 취급을 받았다”라고 한다. 이는 그의 위대한 후계자인 혜능도 시작은 마찬가지이다. 달마와 혜능은 모두 당시의 주류불교의 그늘에 가려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다가 후대로 갈수록 시대를 풍미했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달마의 진정한 모습은 무엇일까를 생각해본다. 인도불교사에서 과연 후대 중국 선종 전통에서 보여주는 보리달마처럼 단계를 뛰어넘는 단도직입적이고 과묵하며 과격한 모습의 인물을 찾을 수 있을까를 생각해본다. 어쩌면 그 같은 모습은 후대 중국선불교가 그려낸 가공의 인물상이 아닐까한다. 그의 진작으로 인정되는 『이입사행론』을 통해 보아도 역사적인 달마는 매우 자비스럽고 친절하고 인내심 깊은 성품의 소유자였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2. 달마어록과 달마선

 

동아시아 불교사에 있어 보리달마의 저술로 알려져 왔던 것은 『이종입(二種入)』 이외에 『심경송(心經頌)』, 『안심법문(安心法門)』, 『혈맥론(血脈論)』,『오성론(悟性論)』,『파상론(破相論)』등이다. 뒤의『혈맥론』등은 달마삼론(達磨三論)이라 불려지기도 했다. 조선 때의 『선문촬요(禪門撮要)』에는 『혈맥론』ㆍ『오성론』ㆍ『사행론(四行論)』등이 들어있다. 이로 보아도 달마의 저술이 한국불교에 오랫동안 미친 영향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현대문헌학적 연구결과에 따르면 『파상론』은 『관심론(觀心論)』과 중복되고 있고 북종의 신수(神秀)의 저술로 주장된다. 이외에도 달마의 저작으로 내려오는 것이 많은데 현대문헌학은 그 가운데 『이입사행론(二入四行論)』은 분명 달마의 가르침으로 증명하고 있다. 이는 돈황에서도 출토되어 더욱 달마의 친설로 간주되고 있다. 『이입사행론』은 『이종입』또는『사행론』으로도 불린다. 『이입사행론』은 대단히 짧은 기록이지만 학자들은 달마가 초조로 인정받을 만큼의 중국선상의 단초가 이미 여기에 모두 내포되어있다고 한다.


염불선과 관련하여 박건주는 금타와 청화의 염불선의 교리적 바탕이 바로 달마의 『이입사행론』가운데 이입(理入)에 있음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염불선이라 할 수 있는 행이 되려면 달마대사의 가르침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이입(理入)이 되어야 한다. 불심(佛心)이 곧 이심(理心 : 理가 그대로 心임)인 까닭이다.『금강심론』에 「먼저 相似覺을 얻어야 한다」고 함도 같은 뜻이다.


이입사행(二入四行)의 이(理)와 행(行)이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은 8세기경의 『전법보기(傳法寶紀)』이다. 여기서 달마의 이입사행은 혜가(慧可) ・ 승찬(僧粲)에 계승됨을 “理로는 眞如를 얻고, 行에는 자취가 없었으며”라는 서술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어 『전법보기』는 도신(道信)과 홍인(弘忍)과 신수(神秀)등이 계속해서 언급된다. 하지만 이때는 ‘眞如法身의 心地법문’인 달마의 이입 행법이 대중에게 제대로 펼쳐지지 못하고 단지 칭명염불(稱名念佛)로 정심(淨心)하는 방편법문으로 본래 달마선법이 방편문과 뒤섞이게 된 현실을 탄식하는 구절을 접할 수 있다. 이에 관해 Alan Cole의 『전법보기』의 연구를 바탕으로 안준영은 “정통선(正統禪)의 정의를 염불과 정심(淨心)에서 찾는다”고 놀라워하며, 계속해서 “ 柳田聖山씨가 벌써 38년 전에 그리고 로바트 샤프(Robert Sharf)가 또 최근에 다시 지적했듯이 初期禪宗하고 관계가 있는 여러 저서에서 念佛을 전면적으로 부정한 증거는 없다. 오히려 이 시기에 念佛이 크게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고 하여 염불선을 ‘정통선’이라고 한다. 안준영은 캐나다 토론토대학교의 종교학과 교수로서 외국의 여러 연구를 바탕으로 ‘정통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그리고 달마 이래 초기선종은 정통선으로서 오히려 염불과 정심이 결합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이는 국내의 청화 또한 염불과 관련한 초기선종의 시대를 ‘순선(純禪)시대’로서 ‘정통선’이라는 말을 빈번하게 강조적으로 사용하고 있음과 일치한다.


염불수행을 초기선종맥락에 입각하여 해석할 때, 선정 속에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달마로부터 시작하는 초기선종의 시대에는 타방정토에 왕생을 위해 입으로 염불하는 칭명의 범주로는 결코 이해할 수 없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초기선종의 염불수행은 당연히 불교와 선불교의 보편적 수행전통인 선정에 바탕하고 있다. 그러던 것이 차츰 시간이 지나면서 정토종(淨土宗)과 차별성을 갖기 위한 종파성에서 염불자체를 선종은 스스로 멀리했는지 모른다. 즉 염불에 대한 초기선불교의 태도는 후대선종과 사뭇 달랐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선불교의 궁극적 목표는 견성성불(見性成佛)이다. 그렇다면 그 중심에는 이미 ‘부처’라는 기본개념이 전제되어 있다고 보아야한다. 그런데 선불교 역사에서 이같은 기본전제는 언제 어디에서부터 시작했을까? 이는 달마의 가르침으로 시작하는 초기선종 시대부터 이미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달마의 『이입사행론』의 시작에서 “심신함생(深信含生)이 동일진성(同一眞性)”과 6조 혜능에 있어 “여금당신(汝今當信)하라, 불지견자(佛知見者)는 지여자심(只汝自心)이요 갱무별불(更無別佛)이다”라는 문구를 통해서도 드러난다. 평상심(平常心)으로 유명한 마조 또한 “각신자신시불(各信自心是佛)이라는 말로 반복한다. 즉 ‘자심(自心)이 곧 불심(佛心)’이라는 선종과 염불선 사상이 계승되고 있는 것이다. 모든 선종은 예외없이 염불과 염불선의 기본전제인 ‘시심시불(是心是佛)’을 관통하고 있다. 때문에 스스로의 마음이 곧 불심 또는 불성임을 심신(深信)하고, 당신(當信)해야 하는 것은 청화에 이르러 ‘신해(信解)’라는 말로 나타난다. 즉 ‘시심시불’이라는 ‘심지법문’이 서로간의 먼 시차에도 불구하고 달마와 혜능 그리고 청화에 이르기까지 같은 의미의 다른 말로 사용되고 있다.


3. 『이입사행론(二入四行論)』과 실상염불


청화의 달마 이해는 먼저 안심법문에 있다. 마음을 본래의 청정심으로 안립하는 것은 6조에 이르기까지의 가르침이라며 그의 염불선 또한 그러한 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여러 곳에서 밝힌다. 그는 염불선의 시대적 요청으로 “분열 투쟁의 역사적 위기에 직면한 불안한 현세대에 가장 알맞은 시기상응(時機相應)한 안락법문(安樂法門)”이라고 설명한다. 나아가 염불선이야말로 안심법문이라 한다. 그 이유는 “본래 부처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일체의 번뇌와 때 묻지 않은 모든 공덕을 원만히 갖추어 있다’고 믿을 때에 이른바 안심법문이 되는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청화의 염불선 법문은 특별하게『이입사행론』에 크게 비중을 두고 많은 곳에서 인용하며 설명하고 있다. 이는 달마의 선법(禪法)이 청화의 염불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게끔 해준다.


그는 이입(二入) 법문이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등에 근거함을 말하며 기존에 달마의 저술로 알려졌던 법문들이 현대학문에서 이론(異論)이 있음을 언급하면서, 그렇지만 “『이입사행론』만은 달마 스님께서 역설한 소중한 법문이라고 전해지고” 있다고 하여 많은 설명을 더한다. 때문에 『이입사행론』에 내포된 염불선 사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이입사행론』은 짧은 분량이지만 시작에 그 대요를 모두 설하고 있다. 즉 이입사행(二入四行)은 수행의 두 문으로 이치로 들어가는 ‘이입(理入)’과 실천행으로 들어가는 ‘행입(行入)’으로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도에 들어가는 데는 많은 길이 있지만 요약하면 두 가지를 벗어나지 않는다. 첫째는 이입(理入)이고, 두 번째는 행입(行入)이다. 이입이란 교(敎)에 의거해서 종(宗)을 깨닫는 것(藉敎悟宗)으로 중생은 모두 동일한 진성(眞性)을 지니고 있음을 ‘깊이 믿는 것[深信]’이다. 단지 중생은 객진망상(客塵妄想)에 덮여 있어 이것을 분명히 알지 못한다. 만약 망상을 버리고 진성으로 돌아가려면 응주벽관(凝住壁觀)하여 나와 남이 없고 범부와 성인이 하나로 평등하다는 사실에 굳게 머물러 움직이지 않는다. 다시는 문교(文敎)에 따르지 않고 바로 도와 함께하여 깨달아 분별하지 않고 고요하고 작위가 없다(寂然無爲). 이를 이입(理入)이라 한다. 행입(行入)이란 네 가지 행을 말한다. 기타 모든 행이 다 여기에 들어간다. 네 가지 행이란 보원행(報寃行), 수연행(隨緣行), 무소구행(無所求行), 칭법행(稱法行)이 그것이다.

 

전체적으로 『이입사행론』에 담긴 사상적 연원은 주로 대승경전과 관련하여 찾아진다. 『유마경』, 『금강삼매경』, 『대반열반경』『화엄경』등이 그것이다. 이는 달마선의 배경이 바로 대승불교의 대표적 경전들에 바탕하고 있음을 말한다. 이들 경전은 모두 일체중생이 불성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불성을 깨닫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지혜로써 6바라밀과 같은 중생구제의 보살도를 설하고 있다. 이는 왜 선불교 또는 선종이 붓다와 조사들과 똑같은 성품으로서 불성을 깨닫는 것을 그토록 강조하는지 그 역사적 실천적 배경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달마의 이입(理入)은 경전의 가르침에 의거하여 종을 세운다는 ‘자교오종(藉敎悟宗)’이라는 말로 표현된다. 이입의 이(理)는 이치나 이론 또는 원리를 의미하는 말로 해석된다. 또한 뒤의 자교오종과 관련하여 이입의 이는 교리(敎理)라는 말로도 이해한다. 또한 자교오종에서 교는 경전과 교법(敎法)을 의미한다. 종(宗)은 궁극의 진리, 대본(大本) 또는 종지(宗旨)로 해석한다. 달리 심(心)이나 선(禪)을 의미한다고 해석되기도 한다. 이는 많은 대승경전에서 한결같이 강조하고 있는 심법(心法)을 말한다. 일체만법의 근원이 각자의 마음에 있으므로 마음을 깨닫게 되면 만법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마음은 『화엄경』에서 “마음과 부처 및 중생은, 이 셋은 차별이 없다(心佛及衆生 是三無差別)나 『관무량수경』에서 중생의 마음이 곧 부처의 마음(是心是佛)이라는 그래서 마음이 곧 부처를 만든다(是心作佛) 사상이 그것이다. 나아가 즉심시불(卽心是佛)이나 즉심즉불(卽心卽佛) 등의 수많은 비슷한 말들이 많은 선사들에 의해 역설된다. 이러한 마음은 곧 불성(佛性) 또는 여래장(如來藏)으로 『열반경』등에서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으로 강조한다. 선불교에서 각자의 불성을 깨닫는 견성(見性) 즉 견성성불(見性成佛)의 사상적 배경인 것이다. 달마는 이러한 불성을 진성(眞性)으로 달리 표현한다. 그리고 일체중생실유불성은 ‘함생동일진성(含生同一眞性)’으로 중생은 모두 동일한 진성(眞性)을 지니고 있다고 했다. 따라서 달마로부터 유래하는 조사선은 염불선 ․묵조선 그리고 간화선이 모두 같은 뿌리를 가졌으며 모두 불성과 여래장 사상이 바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달마는 이러한 동일진성을 깊이 믿어야하는 되는 문제[深信含生同一眞性]로 설명한다. 염불선에서도 기본전제는 이같은 진성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청화 또한 그의 행법이 바로 달마의『이입사행론』에 바탕하고 있음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달마(達磨) 스님께서 하신 법문 가운데서 중요한 핵심이 무엇인가 하면은 이입행입(理入行入)이라, 다스릴 리(理)자, 행할 행(行)자, 들 입(入)자, 수행에 들어간다, 먼저 원리(原理)로 들어간 다음에 그 원리에 입각해서 실천으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꼭 그리해야 하는 것이지 원리에 대한 바른 인식도 없이 그냥 바로 닦아서는 우리 생명을 낭비하면서도 합니다. 공부가 잘 될 수가 없습니다. ...... 이입행입(理入行入)이라. 먼저 분명히 바른 인식을 이론적인 체계를 다 세워 놓고서 그때그때 이론적인 체계에 맞게 공부를 해야 생명의 낭비를 않고서 공부가 속도가 빠른 것입니다.


계속해서 달마의 동일진성과 이입은 청화에 있어 일상삼매의 내용으로 전개된다.


일상삼매는 한 말로 말씀드리면 천지 우주가 오직 조금도 차이 없는 하나의 진리 자리가 이른바 일상삼매입니다. 내가 있고 네가 있고 천차만별로 있다고 생각할 때는 일상삼매가 못 됩니다. 모든 존재를 진여불성 하나의 자리로, 만법을 귀일 (歸一)을 시켜버려야 이른바 일상삼매가 됩니다.

 

'또한 만약 일체처에, 다니나 머무르나 또는 앉으나 누우나 간에 순일직심(純一直心)이 부동도량(不動道場)이면 진실로 정토(淨土)를 이루니라, 이것을 일행삼매라고 말한다.'


그의 많은 법문집에서 불성을 의미하는 ‘동일진성’은 달리 표현되어 설명된다. “표현은 비록 다르더라도 근본은 같은 말”로 불성(佛性)의 다른 말로 법성, 실상, 도, 열반, 여래장 등이 나열된다. 그리고 불성에 대한 표현으로 “광명 찬란한 불성이 이 우주에 충만해 있습니다”라고 한다. 나아가 “그렇게 정진할 때 비로소 우주본체의 진여불성 자리가 훤히 앞에 나오게 된다”라고 하여 “훤히 빛나는 자리”가 반복적으로 시설된다. 또한 “그러면 자기 마음과 몸이 온전히 그 광명과 하나가 돼 버린다”라든가 ‘불성광명’이나 ‘자성광명’, ‘본래면목 자리’그리고 ‘헤아릴 수 없는 부사의한 부처님 광명이 충만한 경계’나 ‘우리 마음은 바로 우주의 생명자체’라는 등의 말도 사용된다. 더 쉽고 구체적으로 청화는 ‘함생동일진성’의 이입(理入)을 다음의 자상한 법문으로 제시된다.


실상염불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나 염불선이 되려면 그와 같이 자기가 부처님의 실상, 곧 진리를 상상하면서 해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실제로 공부할 때는 항시 그러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우선 관념상 ‘내 본바탕도 역시 부처고, 우주가 모두 다 부처뿐이구나’ 이렇게 생각하면서 그냥 이름만 불러도 그때는 실상염불이 되는 것입니다.......철학적으로 생각하려고 하면 너무 어려워지니까 그냥 쉽게 ‘내 몸의 본질도 역시 부처고, 산이나 내(川)나 천지우주 모두가 다 부처 아님이 없다. 부처뿐이구나!’ 이렇게 생각하면서 하는 염불이면 이것이 실상염불이 되는 것이요, 동시에 염불선이 됩니다.


이입(理入)의 확립여부는 불교수행의 출발이면서 동시에 근본생명이다. 달리 말하면, 달마와 청화가 그렇듯 세계가 ‘한생명의 존재’임을 파악하고 이해하고 터득해가는 것을 지혜라 한다. 앞에서 인용한 청화의 이입 설명처럼 “먼저 원리(原理)로 들어간 다음에 그 원리에 입각해서 실천으로 들어가는 것”이 “생명의 낭비를 않고서 공부가 속도가 빠른 것”이다. 요즘 표현으로 바꾸면 올바른 세계관 정립을 의미한다. 달마와 청화는 먼저 그러한 ‘한 생명’ 사상을 정립한 후 구체적인 실천행으로 나아갈 것을 권한다. 하지만 이같은 공부법은 비단 달마와 청화에서 유래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붓다가 시설한 8정도의 시작이 올바른 관점의 확립으로 먼저 정견(正見)이 배치되어 정견이 확립을 공부에 있어 출발로 강조하는 맥락과 일치한다. 그러한 연후에 부단한 염염상속의 실천행은 바로 8정도의 마지막에 위치해 있는 정념(正念)과 정정(正定)에 그대로 해당된다. 때문에 붓다 또한 8정도를 설하는데 있어 정견에서 정정까지 차제적으로 나아가는 수행으로 설명하는 이유가 된다. 청화는 선종전통에서 이러한 공부법의 정로(正路)를 분명히 파악하고 염불선이 가장 잘 계승하고 있음을 말한다. 그래서 그는 4조 도신에 있어 달마의 이입(二入)의 도리와 똑같은 내용이 달리 표현되어 나오고 5조 홍인(弘忍)이나 6조 혜능(慧能) 또한 일상삼매(一相三昧)와 일행삼매(一行三昧)로 설해진다고 한다. 나아가 염불선의 공부바탕인 일상삼매(一相三昧)와 일행삼매(一行三昧)는 이미 『문수반야경(文殊般若經)』에 바탕하고 있는 것으로 염불선을 대승경전에 근거하고 있음을 또한 말한다. 청화는 달마의 이입사행을 인용하여 염불이든 간화이든 묵조이든 간에 어떠한 종류의 불교수행이라 하더라도 경전에 근거한 이입이 될 때만이 비로소 합당한 행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한다. 다시말해, 자교오종의 이입에 근거하지 않는 한 그 어떤 불교행법도 정법이라 할 수 없음을 말한다.


계속해서 달마는 ‘함생동일진성’이라는 이입(理入)의 확립 후 구체적 실천의 장으로 ‘응주벽관(凝住壁觀)’과 ‘사행‘이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달마의 선법으로 ‘안심법문(安心法門)’이 유명한데 이입(理入)의 내용 자체가 바로 안심(安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왜냐하면, 혜가와의 문답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어떠한 번뇌망상과 불안도 그 실체는 찾을 수 없다. 단지 객진에 불과하며 본래면목 자리는 항상 적연무위(寂然無爲)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심이란 진성의 벽관(壁觀)으로 생각생각에 객진망상(客塵妄想)이 끼어들지 못하게 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벽관은 객진망상이 끼어들지 않은 순일한 상태의 지속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벽관이란 완성되고 완전한 진성의 자리를 지키는 행법이 된다. 이러한 벽관은 이입 이후에 부단한 염염상속의 전념(專念) 수행으로 일행삼매(一行三昧)로 설명된다. 그렇다면 염불선에서는 이러한 벽관이 어떻게 나타나는가? 염불선 또한 벽관처럼 완성되고 완전한 진성의 자리를 지키는 행이 마찬가지로 강조된다.


예를 들면, “마음으로는 부처님, 즉 본체를 지향하는 마음을 놓지 않는 것”, “우리 생각을 부처님 마음에다 딱 머물게 해서 간단없이 밀어붙인다. 그렇게 정진할 때 비로소 우주본체의 진여불성 자리가 훤히 앞에 나오게 된다”, 그리고 “우리 마음은 나다 너다 좋다 궂다 시비를 천지우주의 순수 에너지인 부처님만을 생각하는 것이 참선하는 마음 자세이다”등의 표현이 그것이다. 즉 “모든 것이 본래로 오직 하나인 생명”이라는 실상 또는 일상(一相)에 부단히 염염상속 지속시키는 일행삼매가 바로 그것이다. 이를 달리 “불심 곧 중도실상(中道實相)의 본체를 참구하는 것”이나 ‘근본체성’을 떠나지 않은 진공묘유(眞空妙有)의 경계를 관찰하고 상념하는, 본래면목을 참구하는 것으로 실상염불이며 염불선이라 한다. 결국 달마의 동일진성(同一眞性)은 청화의 ‘하나의 생명’ 사상과 상통한다. 청화 또한 법문의 여러 곳에서 “우주가 하나의 생명이라고 보는 것”이 실상관(實相觀)이고, 실상염불(實相念佛) 그리고 염불선(念佛禪)이라고 한다. 이는 청화의 염불선이 기본적으로 달마의 선사상을 바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달마의 『이입사행론』은 행입(行入)으로 네 가지 행을 말한다. 보원행(報怨行), 수연행(隨緣行), 무소구행(無所求行), 칭법행(稱法行)이 그것이다. 모든 행이 다 사행(四行)에 들어간다고 한다. 청화의 설명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보원행(報怨行): 본문에 있어 ‘本(본)을 捨(사)하고’를 근본 또는 본체 즉 진여불성자리를 여윈 때문에 원망은 있는 것이므로 보원행은 본체로 돌아가 어떠한 일에도 원망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고 자기반성하는 공부라고 청화는 해석한다.


수연행(隨緣行): 팔풍(八風)이 흔들리지 않고 인연에 따르는 초연한 삶을 말한다.


무소구행(無所求行): 진정한 도행(道行)으로 바라거나 다시 구하는 것이 작위적이지 않는 삶을 말한다. 청화는 이러한 경지를 무원삼매(無願三昧)와 같은 의미로 본다.


칭법행(稱法行): 진리[自性淸淨의 理]에 합일된 행으로 육바라밀의 삶을 말한다.


내용적으로 사행은 구체적인 실천의 장에 있어 동체자비행이라 할 수 있다. 즉 이입의 확립에 따른 구체적인 실천이다. 이입의 확립이 먼저 이어야하는 이유는 행(行) 즉 실천 또는 삶의 방향과 내용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삶은 세계존재 또는 인간존재에 대한 올바른 안목과 신념의 표현이다. 즉 이입은 삶을 행복한 방향과 길로 안내하는 동력이다. 동일진성의 지혜가 확립될 때 사행(四行)이라는 동체대비행으로 나아간다는 뜻이다. 즉 사행은 이입의 결과이고 사행으로 나아가지 않은 이입의 지혜가 아니라 할 수 있다. 청화는 이입을 설명하는 인용문에서 볼 수 있듯이 “생명의 낭비를 않고서 공부가 속도가 빠른 것”은 이입의 확립으로 공부하는 것이라 한다. 이는 달마의 이입사행을 들어 공부의 옳고 그름 그리고 빠르고 더딤을 판단하는 근거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입은 실천의 장에서 동체자비의 사행으로 귀결된다는 것이 이입사행의 가르침이며 청화 또한 계승하여 강조하고 있다. 나아가 6조 혜능의 일상삼매와 일행삼매는 바로 달마의 이러한 이입사행으로부터 연원한다고 청화는 밝힌다. 결국 염불선의 근거는 달마의『이입사행론』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청화는 달마어록에 관한 현대 불교문헌적인 연구결과를 섭렵하고서 여러 곳에서 염불선과 관련한 달마와 달마의 어록들에 대한 법문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4. 후대 선불교에 있어 이입사행의 사상적 전개


금타와 청화의 염불선은 궁극적으로 ‘아미타불’을 자성불(自性佛)로 관조(觀照)하는 선(禪)이다. 이법(理法)으로서 아미타불을 관념(觀念)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아미타불은 실상적 의미로서 우주에 충만한 찬란한 빛, 무한광명 그 자체를 의미한다. 무량광불(無量光佛 Amitabha)로 진여광명(眞如光明)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동시에 온 우주가 하나의 무한생명이라는 무량수(無量壽: Amitayus)이다. 일상(一相)은 무한광명이면서 동시에 무한생명인 하나의 실상을 말한다. 그리고 이를 일상으로 우리의 마음에 간단(間斷)없이 빛으로 비추어 지속시키는 것이 염불선인 것이다. 이를 설명하는 청화의 친필노트는 다음과 같다. “염불선은 시방삼세에 두루한 자성불(自性佛)의 광명을 관조하면서 닦는 선”이며 “일행삼매는, 우주가 하나의 생명이라는 그 자리를 생각생각에 간단(間斷)없이 그대로 지속시킨다는 것”이다. 다시 “일상삼매는 우주가 오직 하나의 생명의 실상이란 말입니다. 거기다가 마음을 두어야하는데 ․ ․ ․ 그런 마음을 끊임없이 지속시키는, 이른 바 염염상속(念念相續)이 일행삼매입니다”라고 많은 법문에서 반복된다.


이처럼 실상염불의 염불선은 일상삼매와 일행삼매가 충족요건이자 필수요건이다. 여기서 일상은 방편적이냐 실상적이냐 하는 수준과 입장차이가 있을 수 있다. 청화염불선은 두 가지 입장을 모두 아우르고 차제(次第)적으로 설한다. 방편과 실상 두 가지 모두 인정되고 있다. 다만 중요한 것은 실상염불의 염불선으로 나아가야 함이 강조될 뿐이다. 즉 방편적 일상이라 하더라도 결국 실상으로 전환된다는 것이다. 달리 성인의 입장에서 보면 방편적인 일상 그대로가 실상의 일상이라는 것이다. 경전에서 말하는 것처럼 일상은 분별과 차별을 떠난 무이상(無二相)이다. 그렇기에 일상은 실상인 것이다. 때문에 실상은 일상이고, 일상은 실상인 것이다.


비유적으로 말하면, 여름철 짙푸른 땡감이 시절인연에 홍시감이 되는 이치이다. 여기서 땡감과 홍시감의 체(體)는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같은 몸에서 일어지는 질적전환이다. 달리 수증(修增)의 문제에 있어 길[道]과 목적지[實相]는 바로 한 몸으로 연결되어 있는 불이(不二)이다. 청화염불선에 있어 실상염불을 위한 방편적 또는 가관적(假觀的) 일상이라 하더라도, 일상은 궁극적으로 본질적으로 실상이라는 것이다. 길에 들어선 수도는 목적지에서 성취되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최상승선의 근거가 되는 것이다.


이는 간화선의 경우에서도 비슷하다. 화두를 ‘방편’으로 보아야 하느냐 아니면 ‘본질’로 보아야하는 문제이다. 김호귀는 양면 모두로 보아야한다고 한다. 그는 화두를 방편적인 기능과 본질적인 정기능으로서 나누어 설명한다. 다시 본질적인 정기능으로 “화두가 깨침의 작용으로 드러나는 경우”로서 제2의 화두는 없기에 “방편적 기능과 본질적 화두는 본래 하나이다. 하나의 화두가 지니고 있는 양면적 기능일 뿐“이라 한다. 최근 종호 또한 비슷한 주장을 한다. 그는 『대승무상방편품』을 인용하여 “法界의 一相은 여래의 법신이다”라고 하면서 “간화선에서는 이 실상의 파악에 화두를 사용한다. 화두라는 매개체를 이용해 실상의 깨달음을 얻도록 한다”고 강조한다. 그리하여 화두는 “깨닫지 못했을 때에는 과제이고 도구이지만 이미 실상이며, 깨달음은 그 실상의 체현이다”라고 하여 화두를 도구이면서 실상 그 자체라고 한다.


이처럼 염불선에서도 간화선처럼 또한 일상은 실상인 것이다. 다만 청화의 염불선에서는 화두 대신 ‘무량광명의 생명으로서 아미타불’을 바로 일상이며 실상이라고 간주한다는 점에서 간화선과 차이가 있다.


그런데 여기서 염불선의 일상은 단순히 무상(無相)의 실상이라는 의미가 아니다. 일상이 무상인 이유는 분별과 차별의 대립을 떠난 무이상(無二相)이기에 일상이며 무상인 것이다. 그렇기에 진리당체로서의 법상(法相)이 되고 실상이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일상은 곧 무상(無相)이며 실상이다.


방편적 차원의 일상은 언어와 지견(知見)을 떠나있지 않다. 금타와 청화의 가관적(假觀的) 일상과 상사각(相似覺)은 바로 그것을 말한다. 청화는 더욱 자상하게도 일상을 ‘생각하고’ ‘느끼고’ ‘상상하는’ 등의 친절한 방편적 언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염불선을 지도하고 있다. 듣는 이로 하여금 자칫 현애감(懸崖感)에 떨어지지 않도록 지극한 배려를 아끼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체계적 제시는 그의 육즉불(六卽佛) 설명에서도 잘 보여준다. 육즉불은 원래 천태의 가르침이다. ‘여섯 단계가 바로 부처’에서 다섯 번째 분진즉불(分眞卽佛)의 전단계인 관행즉불(觀行卽佛)과 상사즉불(相似卽佛)을 염불선 맥락으로 설하는 것에서도 잘 알 수 있다.


‘무량광명의 생명으로서, 아미타불’로서 청화의 일상은 ‘절대긍정의 세계’이다. 여기에 상대적인 분별과 차별이, 부정이 개입될 소지가 없다. 그 절대긍정의 일상을 ‘참되게 그렇게’[眞如] 지속시키고 유지시키는 것이 바로 진여삼매인 것이다. 그리고 일행삼매가 확립된 것이다. 일상은 일행에 의해 체화(體化)되고 끝내 완성된다. 너와 나 모두가 광명당(光明堂)이 되고, 또한 광명당(光明幢)으로 찬란한 대광명의 깃발이 된다.


일행의 무량광명을 부단한 염염상속이라는 일행으로 온 생명을 모두 광명화 또는 불성화라는 질적전환을 이루는 것이다. 이것이 그의 심지법문(心地法門)이며 안심법문이다. 때문에 청화의 일상은 그 자체로서 수청주(水淸珠)이며 기쁨과 행복으로 충만하게 하는 기능과 작용을 쉬지 않는다. 염불선이 쉽고 편하고 빠른 길일 수 있는 이유는 바로 그렇게 자리 잡은 일상이 이끄는 삶으로써 일행(一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상은 실상이고 동시에 무상이다. 실상과 일상 그리고 무상(無相)의 관계를 어떻게 설하는가에 대하여 몇 몇 경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4조 도신이 인용했던『문수사리소설반야바라밀경(文殊師利所說般若婆羅蜜經』(대정장 8권 732)에서 “일체 법계와 부처님의 경계는 실로 있는 바가 없습니까?” 라는 질문에 “있는 것도 없고 있지 않은 것도 없다. 왜냐하면 있는 것과 있지 않은 것은 일상(一相)이거나 상이 없고, 하나도 없고 둘도 없기 때문이다.”라는 데에서 일상의 개념을 알 수 있다. 다시 같은 경전에 “여래께서 만약 생하였다면 법계도 또한 마땅히 생길 것이다. 왜냐하면 법계와 여래는 일상(一相)이요, 이상(二相)이 없으며, 이상을 얻지 못하는 까닭이다” 에 이어 붓다는 문수사리에게 다시 다음과 같이 묻는다. “실상(實相)과 같은 법의 성품[性]ㆍ법의 머묾[住]ㆍ법의 자리[位]는 실제 가운데에서 부처와 범부의 차별이 있느냐?” 이에 문수사리는 “없다”라고 답하자, 붓다는 결국에 “부처와 범부는 둘이 없고, 차별도 없고, 일상이요 무상[一相無相] 때문이다”라고 한다. 이 경전은 실상과 일상 그리고 무상의 교리적 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다음은 『방광반야경』에서 “상대가 없으니 일상(一相)이고 무상(無相)이며, 무색(無色)이 무색과 함께 합하는 것도 아니며, 또한 흩어지는 것도 아니다”나 “금강삼매에서 일상(一相)의 지혜로 아뇩다라삼야삼보리를 얻음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차제(次第)를 씀으로써 이름하여 여래라 하는 것이며, 모든 법에서 자재함을 얻는 것이다.”라는 가르침도 일상과 함께 염불선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인왕경』에서도 “일상(一相)과 무상(無相)이 평등하여 둘이 아니며 제 십일의 일체지지(一切智地)가 되나니, 있는 것도 아니요 없는 것도 아니며, 맑고 청정하여 오는 것도 없고 가는 것도 없으며”라는 표현과 『금강삼매경론』 또한 “‘마음의 동요가 없이 여여한, 결정된 참 성품’이라 함은 이 지위에서 금강삼매(金剛三昧)에 들어가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다. ‘대반열반이어서 그 성품이 공하고 크다’ 함은 적멸무위(寂滅無爲)이며, 일상(一相)이자 무상(無相) 때문이다.”라고 한다.


이상의 경구는 청화 염불선에서 금강삼매를 실상관으로 보는 경전 전거가 된다. 마찬가지로 실상과 일상 그리고 무상이 같은 말이며 나아가 일상의 내용으로 ‘부처와 범부는 둘이 차별도 없기 때문이라는 일상무상(一相無相)이라는 달마와 청화 염불선과도 일치한다. 또한 금강삼매에서 “일상(一相)의 지혜로 아뇩다라삼야삼보리를 얻음”은 곧바로 일상삼매를 반야지혜로 설명하는 금타와 청화의 염불선을 그대로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염불선이 되기 위해서는, 염불선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달마의 이입(理入)과 행입(行入)이, 대승경전과 도신의 반야(般若)와 일행(一行), 혜능과 『금강심론』의 일상(一相)과 일행(一行) 그리고 관(觀)과 염(念)이 쌍수(雙修) 또는 쌍운(雙運)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금타와 청화 그리고 도신 그리고 대승경전과 초기경전으로 거꾸로 거슬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금강심론』: 관(觀)과 염(念) / 일상(一相)과 일행(一行)

 

 

4조 도신 : 반야(般若)와 일행(一行)

초조 달마 : 이입(理入)과 응주벽관(凝住壁觀) / 행입(行入)

대승불교 : 일상(一相)과 일행(一行)

초기불교 : 혜학(慧學)과 정학(定學)

 

정견(正見) ․ 정사유(正思惟)와 정정진(正精進) ․ 정념(正念) ․ 정정(正定)

다시 달마의 『이입사행론』을 시작으로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초조달마 4조 도신 대승불교 초기불교 금타의 『금강심론』

 

이입(理入) → 반야(般若) → 일상(一相) → 혜학(慧學) → 관(觀) / 일상(一相)

 

행입(行入) → 일행(一行) → 일행(一行) → 정학(定學) → 염(念) / 일행(一行)

 

놀라운 것은 청화는 이와 같은 사상적인 그리고 실천적인 계통을 너무도 분명히 파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는 일상삼매와 일행삼매가 “달마스님으로부터 6조 혜능스님까지의 순선시대에 일관되게 말씀한 내용”으로 “일상삼매는 혜(慧)에 해당하고 일행삼매는 정(定)에 해당한다”고 하면서 정혜쌍수와 똑같은 뜻이라고 한다. 다만 여기서 청화는 도신 또한 일상삼매를 언급했던 것으로 설명하지만 정확히는 일상삼매에 상응하는 ‘반야바라밀’이다. 4조 도신은 ������文殊說般若經������을 인용하여 “일행삼매에 들어가고자 한다면, 응당 먼저 반야바라밀을 듣고 설한대로 수학(修學)한 뒤에 一行三昧에 들어갈 수가 있다”고 한다. 도신의 반야바라밀은 일상삼매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청화염불선은 금타의 『금강심론』을 기초해 염불선을 설명하지만 법문의 곳곳에서 일상(一相)과 일행(一行)을 주로 많이 언급하며 염불선을 설명한다. 그렇지만 많은 곳에서 일상(一相)과 일행(一行)에 상응하는 가르침으로 달마의 이입(理入)과 행입(行入)과 반야(般若)와 일행(一行) 그리고 관(觀)과 염(念)이 비교적으로 제시된다.

 

염불선은 선이 붙어있지만 그 행에 있어 전적으로 일행삼매와 같은 선정위주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단순히 정학(定學)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다. 반드시 반야지혜와 함께해야 한다는 것이다. 혜학(慧學)과 함께해야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청화의 법문에서 달마의 혜학의 이입(理入)과 정학의 행입(行入)이 그리고 대승경전의 일상삼매와 일행삼매가 반복적으로 계속 강조되는 이유이다. 마찬가지로 일상과 일행은 혜와 정으로 대비된다. 초기불교로 돌아간 맥락은 8정도의 정념(正念)의 범위로서만 아니라 정념과 함께 정견(正見)과 정정(正定)이 함께 가동되는 행법이 바로 염불선이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염불선은 계(戒)․ 정(定) ․혜(慧)가 함께하는 지점에 있음을 의미한다.

 

5. 염불선의 의의

 

염불선은 동아시아 대승불교를 넘어 인도불교의 수많은 경론에서도 찾아 볼 수 있는 불교수행의 근본적이며 중심적이고 보편적인 신행법이다. 때문에 청화는 염불선을 “종파를 초월한 가장 보편적인 행법”임을 밝힌다. ‘선정수행으로서 염불’이 석가모니 붓다 재세 시부터 제시되었던 것은 바로 경론에 두루 나타난다. 예를 들면, Vandana나 여래 9호, 사념(四念)이나 육념에 이어 대승의 염불관 등이 ‘선정수행으로서 염불’이 이미 내재되어 있음을 증명할 수 있다. 이러한 불교 본래의 입장은 선종의 초조인 보리달마에 의해 동아시아에 충실하게 전해지고 있다. 『이입사행론』의 자교오종(藉敎悟宗)이 불법의 대의(大義) 또는 정로(正路)로 천명되는 것이 그것이다. 후대 선종은 교(敎)와 선(禪)을 대립적인 관계로 보아 또다시 애써 ‘선교일치’를 주장하기도한다. 하지만 염불선 전통은 보리달마로 시작하는 초기선종과 같이 교와 선을 대립적으로 보지 않는다. 자교오종의 정신은 염불선에서 가장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교는 시대에 따라 본질을 잊어갈 때마다 끊임없이 이를 극복하고자하는 시대적 요청이 있어왔다. 이러한 점에 있어 청화의 염불선은 ‘우리시대의 요청’의 불교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원통불교라고도 규명되는 그의 불교해석과 입장은 간화선 일변도로 치닫는 한국불교에 대한 비판과 반성이 깔려있다. 불교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대응안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염불선이었던 것이다. 염불선은 “모든 수법(修法)을 종합 포섭하였으며, 종파(宗派)를 초월한 가장 보편적인 행법(行法)”이라는 청화의 설명에서 원통과 순선이라는 용어사용의 배경이 나타나 있다.

 

왜 청화는 염불선인가? 다시 말해 그냥 염불이나 다른 불교수행법보다 깊은 선정의 염불선을 말하는가? 이는 염불선이라는 말에서 나타나듯이 선불교의 입장을 떠나지 않는다. 이유는 그의 오랜 수증(修證)체험에 바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거법어에서 그는 앎 자체로는 오랜 동안 습관성으로 된 집요한 업장을 녹일 수 없으며 이는 깊은 삼매 또는 깊은 선정으로 습관성의 집요한 업장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법문이 그것이다. 마찬가지로 장애와 번뇌단절의 힘과 함께 “우리가 깊은 삼매에 들어야 때묻지 않은 무루지(無漏智)가 나오는데 무루지를 얻으려고 할 때에는 삼매에 들어가야 하고 삼매에 들려면 계율이 청정하지 않으면 절대로 안 되는 것”이라 하여 깊은 삼매가 필요한 것은 무루지 발현임을 또한 들고 있다.


왜 청화는 칭명염불을 ‘실상염불의 염불선’ 범위로 설명을 하지 않았는가? 그렇다고 칭명염불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법문의 많은 곳에서 “가기 쉽고 닦기 쉽고 행하기 쉽지요 ... 오직 아미타불을 놓치지 않는단 말입니다. 그렇게 외워서 염불삼매에 드셔야 합니다”등으로 칭명염불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염불선 차원으로 설하지 않는 이유는 가까이는 근대한국불교 유신론을 쓴 만해에 있어 개혁불교로 ‘염불당 폐지’를 주장했던 맥락을 생각해 보면 이해가 간다. 만해는 당시에 지나치게 타력구원적인 염불에 머물러 반야지혜와 불교의 체계적 이해로 시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신행풍토를 안타깝게 생각했기 때문이다. 즉 달마의 이입(二入) 가운데 이입(理入)의 결여이다. 육조혜능과 청화염불선의 맥락으로 볼 때 일상삼매가 결여된 정혜쌍수와 같은 조화와 균형의 불교가 아니라는 점이다. 청화는 염불선이 되려면 달마의 이입(理入)과 혜능의 일상삼매과 일행삼매와 같은 정혜가 전제된 염불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왜 청화는 칭명염불을 염불선 범위로 적극적으로 설명하지 않나하는 문제는 이 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중생심은 기복으로 흐르기 쉽다. 타력구원에 매달리는 맹목적이고 맹신적 신앙에 대해 반야지혜를 제시하는 차원이다. 이는 마찬가지로 칭명염불도 일사불란한 삼매로 들 수 있는 행법이기에 염불선으로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청화와 역대 조사들의 적절한 답이 될 수 있다. 일사불란한 삼매는 일행삼매는 될 수 있어도 일상과 혜가 조화균형을 이룬 것으로는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다시, 염불선 이해와 관련하여 ‘참구염불법’이라는 말이 적합한지, ‘염불참구법’이 적합한지 재고가 필요하다. 현재 혼용해서 사용되고 있는 듯하다. 간화선전통에서 염불과 결합한 행법으로 “지금 염불하는 자가 누구인가[念佛是誰]?”를 공안화한 선(禪)이 있다. 이때는 ‘염불로 수용된 참구‘가 아니라 ’참구로 수용된 염불‘이 ’염불화두법‘이다. 이는 개념상의 주종관계, 무엇이 꾸미는 말이고 수식을 받는 말인지에 문제이다. 염불이면 ‘참구염불법’이 맞겠고, 간화참구이면 ‘염불참구법’이 적당할 것이다. 수식하는 말이 무엇인지에 따라 중심의미는 달라진다. 어찌되었건 염불선이 되려면 이입(理入)의 일상(一相)이 무엇이냐가 무엇인가가 관건이 될 것이다. 문제는 더러 이를 염불선이라고 포함시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염불화두법‘은 염불선이 아니라 간화선일 따름이다. 중심행법이 간화참구이지 일상(一相)의 염불이 아니기 때문이다.


혹자는 ‘관념염불(觀念念佛)을 염불선이 아닌 것으로 설명하는데 그 이유는 관념염불의 범위로 사종염불 가운데 칭명염불을 제외한 관상염불(觀相念佛)과 관상염불(觀想念佛)이 들어있기 때문이라 한다. 오직 실상염불만이 염불선이라는 것이다. 원래 관념염불은 칭념염불 또는 구칭염불(口稱念佛)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쓰인다. 이 점에 있어 청화는 칭명과 함께 두 관상은 모두 실상의 염불선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렇지만 『금강심론(金剛心論)』을 바탕한 그는 이를 아직 실상에는 이르지 못한 ‘가행공덕(加行功德)으로써 가관적(假觀的) 일상삼매’를 말하고 있다. 즉 두 관상염불은 이 범위에 포함시키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실상의 방편으로 염불선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이는 개념상의 구분[法相]이지 청화는 칭명과 두 관상 또한 모두 실상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그렇기에 원통불교라 칭한 것이다. 나아가 개념상에 있어 관념은 『금강심론』에도 나타나듯이 관(觀)과 염(念)으로 각각 일상과 일행을 나타내는 말이다. 청화 또한 이를 실상염불로 곳곳에서 설명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불교의 관념염불이 현재 일반에서 쓰는 ‘관념’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원래 불교의 전문용어인데 서양의 idea의 역어로서 차용된 말이다. 하지만 원래 이 말은 ‘관찰과 억념’의 염불을 의미하는데 사용되었다. 즉 관념은 ‘진리 또는 부처님을 관찰하고 억념하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관념염불이란 진리체로서 부처님을 마음속에 상념으로써 만이라도 떠올려 지속적으로 관찰 유지하는 것을 이른다. 또한 이러한 임시적 가관(假觀)이 실상과 별개로도 볼 수 없다. 달리 이야기하면 중생의 입장에서 실상염불은 관념염불을 통해 완성하는 것이라 봐야한다. 청화는 이러한 맥락을 그의 설법에서 자상하게 일러주고 있다.


그렇다고 청화는 실상삼매의 염불선으로 조건없이 사종염불을 모두 포함시키지는 않는다. 일부에서는 일사불란한 염불삼매만 들면 모두 염불선이라는 말을 적용할 수 있고 그렇지 못하면 염불선으로 말하기 곤란하다고 주장한다. 즉 염불선의 기준을 ‘일사불란한 삼매’로 보는 것이다. 이는 금타와 청화 염불선의 잣대는 물론 더 올라가서 초기선종시대의 달마와 도신 그리고 혜능의 가르침에도 맞지 않다. 이는 일상(一相)이, 반야바라밀이 전제되지 않은 정(定)의 일행삼매에만 치중한 행이기 때문이다. 사실 ‘염불’이 되었건 ‘주문’이 되었건 모든 행법에서 일사불란한 집중상태는 모두 가능하다. 그렇지만 왜 염불의 정토종 범위이고 선정의 선종 범위인지 그 차별상이 또한 고려되어야한다. 마찬가지로 또한 굳이 법상에 있어 왜 사종의 염불로 또는 이종의 염불로 구분하는지도 따져보아야 한다.


청화염불선은 원통불법이다. 실상의 염불선이 아닌 것을 배제하거나 배격하자는 것이 아니다. 염불선 차원이 아닌 칭명염불도 근기와 성향에 따라 권장한다. 다만 어떠한 종류의 염불이라도 ‘실상염불’로 나아가는 염불선이 정로(正路)라는 것이다. 즉 ‘염불정로(念佛正路)’는 실상염불에 있다는 것이다. 염불이 선(禪)의 수식어가 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달마선에서 선이란 시심시불(是心是佛)이 강조되는 것처럼 ‘스스로 마음이 곧 진리체’이며, ‘스스로 마음이 그대로 진여불성’이라는 이치를 자증(自證)하고 머무는 것이 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염불선에서 염불은 그대로 중생이 부처라는 자증법인 동시에 중생이 부처 그대로 사는 행법이다.

 

불교는 흔히 지혜와 자비의 종교로 정의된다. 종교성의 수준은 바로 자비심의 발현과 실천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불교본래의 종교성이 망각되었다는 비판이 있는데 이는 자비심의 망각 또는 상실 정도가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자비심 발현과는 동떨어진 배타적이고 메마른 무자비한 행태까지 거론되기도 한다. 나아가 그러한 행태의 내재적인 요인이 행법의 문제와 관련하고 있음이 분석되기도 한다. 이에 반해 염불선은 가장 종교성이 발현될 수 있는 행법이라 한다. 그것은 너와 나 그리고 온 우주가 하나의 무량광명의 생명임을 늘 ‘생각하고’ ‘느끼고’ ‘사유하고’ 그리고 ‘상상하는’ 가운데 우주적 감수성과 타인과의 공감적 감수성인 자비가 발현되기 때문이다. 염불로 충만한 불심(佛心)은 설령 이 생에 최종의 궁극적 경지를 성취하지 못한다하더라도 그러한 행 자체로 기쁨과 행복 그리고 평온함과 충만한 삶이 된다. 염불선 자체가 이미 좋은 과보인 것이다. 때문에 청화는 이를 “우리 인간 심리의 모두인 지(知)와 정(情)과 의(意)를 모두 조화적으로 구하는 선법”으로 염불선을 다음과 같이 권장한다.


부처님은 하나의 원리나 이치가 아니라 일체 공덕을 다 갖춘 생명, 인격이기 때문에 부처님을 하나의 생명으로 구해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자기의 영원한 님도 구하고 또는 사랑도 구하듯이 말입니다. 부처님은 사랑 가운데 사랑이요, 님 가운데 님입니다. 일체 만유의 님이요, 평생 우리가 닦다가 종국에는 돌아가야 할 필경의 의지처, 이것이 부처님입니다. 그러나 부처님을 참다운 님의 님으로 한다는 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만 지(知)나 의(意)에 그치지 않고 우리 인간심리의 모두인 지와 정(情)과 의를 모두 조화적(調和的)으로 구하는 선법이 염불선입니다. 우리 마음으로 만족을 못 취하고 안심이 못 되면 공부를 오래 못합니다. 싫증나서 말입니다. 부처님을 자기 님으로 구하는 선법, 이것은 벌써 우리 감성이 만족한지라 구하면 구할수록 더 그립단 말입니다. 우리 사부대중께서 하는 이런저런 선법은 다 좋습니다. 해보면 그만큼 거기에 따른 재미가 있습니다. 도인들이 제시한 법이니까 말입니다. 그러나 현대와 같이 불안스러운 때 가정생활로 인해서 여러 가지 액난이 많은 때, 어느 때나 항시 누구나 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염불선은 매우 좋습니다.


다른 곳에서는 염불선은 지정의(知情意) 가운데에서도 “정서가 수승한 사람들”에 더 적합한 행법임을 말하기도 한다. 이 지점에서 앞서 설명한 달마의 사행(四行)인 보원행(報怨行), 수연행(隨緣行)등은 그야말로 종교성으로서 수승한 정서와 감성의 표현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감성은 다름아닌 이입(理入)과 행입(行入) 그리고 일상(一相)과 일행(一行) 또는 정(定)과 혜(慧)의 조화와 균형을 통해 갖추어진 품성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집중이나 몰입과 같은 일행삼매에만 전념(專念)하다보면 경우에 따라서는 대단히 예리한 품성의 소유자가 될 수 있다. 다가가면 그 차갑고 날카로운 기운에 금방이라도 베일 듯한. 때문에 염불선은 지정의(知情意)의 조화와 균형으로서 일상이 견인하는 일행을 말하는 이유이다.

 

염불선에 있어 감성은 불성을 염(念)하는 가운데 살아있다. 불성을 느끼고 생각하고 상상하는 가운데 감성, 마음의 고향은 추억된다. 추억의 감성은 잃어버린 마음자리를 되돌리는데 있다. 염불선은 (불성의) 감성불교이다. 마음고향을 추억하는 감성불교이다. 염불선은 가공할 한방을 기다리는 공부가 아니다. 대오선(待悟禪)이 아니다. 그렇다고 묵묵히 앉은 좌선으로 언어가 쉰 자리에서 불성 또는 자성만을 지킨다는 것도 아니다. 무사선(無事禪)도 아니다. 염불선은 지정의(知情意)라는 전인적인 훈습(薰習)으로 불성의 내면화와 체화의 행법이다. 이러한 점에서 종교성이 가장 살아있는 불교는 염불선이라 할 수 있다.


Ⅳ. 마치는 말


염불선의 효시 또는 연원을 4조 도신에게 구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하지만 본고를 통해 확인되는 바는 도신의 반야바라밀과과 일행은 이미 달마의 진작으로 증명되는 『이입사행론』에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신이나 달마 또한 『이입사행론』의 ‘자교오종(藉敎悟宗)’정신에 따라 『문수설반야경』등의 대승경전로 거슬러 올라간다. 따라서 염불선은 대승불교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다고도 주장될 수 있지만 더 거슬러 올라가서는 초기불교에 이미 함축되어 있다. 앞에서 염불선의 초기불교적 근거로서 논의했듯이 정학(定學)의 증상심 차원에서 말하는 염불을 들 수 있다. 눈앞에 생존에 있는 붓다의 성품과 공덕을 염하는 그래서 염하는 자 또한 붓다의 성품으로 질적전환하도록 이끄는 행법이 그것이다. 기본적으로 여래십호 등의 모든 염불법은 중생심을 불심으로 돌아가게 하는 염불선의 한 방법이이다.

 

동아시아 대승불교 역사에서 수많은 행법들이 대두되었고 계승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간화선, 묵조선, 염불, 주문 등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한국불교 전통에서는 간화선이 주류 또는 중심행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간화선은 조계종의 종지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간화선 일변도’ 또는 ‘간화선 지상주의’라는 말로 비판받기도 한다. 달리 말하면, 간화선이야말로 성불의 최상승선이라는 신념에 따라 여타 다른 행법을 낮추어 평가하여 왔다. 염불선 또한 잘못 평가된 대상 중의 하나였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드러나는 것은 염불선의 교리적 근거는 오히려 초기선종 시대는 물론 대승불교를 거슬러 초기불교로까지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동아시아 불교사에 있어 여러 종파로 지말분열(支末分裂)하기 이전의 순수하고 보편적인 행법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청화는 이 시기를 ‘순선시대’라는 용어를 수용하고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확실하게도 염불선은 간화선이나 묵조선이 일어나기 전에 초기선종시대의 보편적이고 기본적이며 중심적인 사상이고 행법이었다. 다시말해, 모든 선종의 역사에 걸친 종지(宗旨)는 바로 ‘직지인심(直指人心)과 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는 말로 표현되었는데 이 때 ‘자심(自心)이 곧 불심(佛心)’이라는 전제는 바로 이 시기에 완전히 확립되었기 때문이다. 염불선은 ‘자심(自心)이 곧 불심(佛心)’을 관념(觀念)하는 행법이다. 이는 단적으로 달마의 『이입사행론』에서 “심신함생(深信含生)이 동일진성(同一眞性)”은 6조 혜능에 있어 “여금당신(汝今當信)하라, 불지견자(佛知見者)는 지여자심(只汝自心)이요 갱무별불(更無別佛)이다”라는 표현에서도 잘 알 수 있다. 즉 모든 선종은 예외없이 염불과 염불선의 기본전제인 ‘시심시불(是心是佛)’을 그대로 물려받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스스로의 마음이 곧 불심 또는 불성임을 심신(深信)하고, 당신(當信)하는 것은 청화에 이르러 ‘신해(信解)’라는 말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文殊師利所說摩訶般若派羅蜜經������卷下, (『大正藏』 8권).

宗寶本, 『六祖壇經』(『대정장』, 48권).

청화 역, ������淨土三部經������, 한진출판사, 1980.

權奇悰著, 「한국불교에 있어서 선과 정토의 관계」, ������佛敎思想史硏究������ 上, 韓國佛敎硏究院, 2004.

김진일(묘경),「菩提達磨의 安心法門에 대한 一考」,『보조사상』 37집, 2011.

김호귀 편역, 『달마어록』, 서울: 정우서적, 2012.

김호귀,「간화선에서 화두의 양면적 기능」, 『한국선학』제8호, 2004.

藤吉慈海著, 韓普光譯, ������禪淨雙修의 展開������, 민족사, 1991.

 

박건주, 『달마선』, 서울 : 운주사, 2006 ; 박건주, 『(중국 초기 선종)능가선법 연구』서울 : 운주사, 2008.

 

박건주, 「念佛과 念佛禪의 구분 문제」. 광주: 한국종교간대화학회, 『宗敎學報』2006.

박건주 「초기 선종기 禪法의 조류와 楞伽禪의 영향」, 서울: 한국불교학회, 『韓國佛敎學』. 2006.

釋 金陀 著, 淸華 編, <金剛心論>, 聖輪閣, 2000.

안준영, 「念佛禪에서의 깨달음의 문제」, 『정토학연구』제12집, 2009.

야나기다 세이잔(柳田聖山 주해 ; 楊氣峰 옮김) 『달마 어록』, 서울: 김영사, 1993.

 

야나기다 세이잔(柳田聖山 ; 김성환 옮김), 『달마』, 서울: 민족사, 1991.

印 鏡, 「禪淨一致에 관한 思想史的 考察」, ������大覺思想������ 3, 대각사상연구원, 2000.

정광균(법상)의 「念佛에 내재한 禪的요인에 대한 고찰」,『정토학연구』제11집, 2008.

조준호, 「붓다 당시의 재가자의 실천수행 사상」, 『(上月圓覺大祖師 탄신 100주년 기념)佛學論 叢 2, 믿음과 수행』, 서울: 원각불교사상연구원, 2011.

조준호,「초기불교중심교리와 선정수행의 제문제 - 화두선 전통과의 교두보 확보를 위하여」 『불교학연구』제8호 2004.

 

종호, 「看話禪과 天台의 연관성」, 동대 국제선썬터, 불교학술원 종학연구소, 제3회 간화선 국제학술대회Day2 <간화선과 불교교학>, 2012.

청화, 『마음의 고향』, 서울: 토방, 2002.

청화, 『안거법어』, 서울 : 광륜출판사, 2009,

청화, ������圓通佛法의 要諦������, 곡성 : 성륜각, 2003.출판공사, 1989.

청화, 『正統禪의 香薰』, 서울: 을지

한보광, 「念佛禪의 修行方法」 ������淨土學 硏究������ 제5집, 如來藏, 2002.

한보광, 「念佛禪이란 무엇인가?」, ������佛敎硏究������ 10호, 서울: 한국불교연구원, 1993.


토론


조준호 선생의 [달마어록에 나타난 염불선]에 대한 토론문


김호귀

동국대 불교학술원


본 논고는 청화의 실상염불선의 의의에 대하여 우선 그 연원을 달마의 어록에서 찾는다. 더욱더 멀리 초기불교에서까지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실상염불선의 개념을 선선의 시대에 출현한 조사선법과 같은 뿌리임을 설명한다.

또한 염불수행법이야말로 가장 보편적인 불교수행법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은 몇 가지 의의를 중심으로 청화의 저술을 통하여 그 근거를 제시하고, 또한 논자 자신도 그에 대한 확신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있다. 특히 이하의 다섯 가지 점을 구명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본 논고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는 것이라 생각한다.


1. 기존에 도신에게서 비롯되었다는 염불선의 전통이 사실은 달마의 이입사행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초기불교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가 있다.

   가령 [이러한 이입은 실천의 장에서 동체자비의 사행으로 나아가야한다는 것이 초조 달마의 이입 사생의 가르침이다. 그런데 청화는 6조 혜능의 일상삼매와 일행삼매가 바로 달마의 이입사행에 연원한다고 한다. 이처럼 청화는 염불선의 근거를 달마의 『이입사행론』에서 또한 찾는다.] 내지 [이러한 점에서 청화는 일찍이 염불선을 부처님 당시의 초기불교로부터 구한다. ···염불 · 염법 · 염불법 내지 염불행위가 바로 선(禪)으로 나아갈 때 염불선임을 천명한다. 이는 이미 초기불교에서 붓다가 증상심이 곧 심학이며 선정수행이라는 가르침과 일치한다] 내지 [청화는 염불선이 되려면 달마의 이입(理入)과 혜능이 강조한 일상삼매과 일행삼매 그리고 정혜가 전제된 염불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는 대목 및 기타 등이 그것이다.


2. 염불선에 대한 청화의 입장을 명백하게 정의하고 보여주고 있다.

   염불선은 ‘중생이 부처라는 자증법인 동시에 중생이 부처[佛心]그대로 사는 행법이다.’는 것이다. 가령 ‘염불선은 자심(自心)이 곧 불심(佛心)을 관념(觀念)하는 행법이다.’고 말한다.

3. 청화의 염불선은 실상염불선이다. “실상염불은 일상삼매와 일행삼매와 무상삼매이다.” 불심     곧 중도실상(中道實相)의 본체를 참구하는 것“이나 ‘근본체성’을 떠나지 않은 진공묘유(眞     空妙有)의 경계를 관찰하고 상념하는, 본래면목을 참구하는 것으로 실상염불이며 염불선이라 한다.


4. 同一眞性의 평등을 일삼삼매로 해석하고, 순일직심의 부동도량을 일행삼매로 해석하며, 분별과 차별의 대립을 떠난 무이상을 무상삼매로 해석한다.


5. 청화염불선은 원통불법이다. 실상의 염불선이 아닌 것을 배제하거나 배격하자는 것이 아니다. 염불선 차원이 아닌 칭명염불도 근기와 성향에 따라 권장한다. 다만 어떠한 종류의 염불이라고 ‘실상염불’로 나아가는 염불선이 정로(正路)라는 것이다. 즉 ‘염불정로(念佛正路)’는 실상염불에 있다는 것이다.


몇 가지 토론 사항:


구성:


✽전체적인 목차의 구성에서 청화의 염불선 대목을 독립설정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왜냐하면 달마의 어록에 보이는 사상을 청화가 어떻게 계승하고 재해석하였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 주제이기 때문이다.


✽달마의 사행에 대한 청화의 해석:

보원행(報怨行): 본문에 있어 ‘本(본)을 捨(사)하고’를 근본 또는 본체 즉 진여불성자리를 여윈 때문에 원망은 있는 것이므로 보원행은 본체로 돌아가 어떠한 일에도 원망하는 마을을 일으키지 않고 자기반성하는 공부라고 청화는 해석한다.

수연행(隨緣行): 팔풍(八風)이 흔들리지 않고 인연에 따르는 초연한 삶을 말한다.

무소구행(無所求行): 진정한 도행(道行)으로 바라거나 다시 구하는 것이 작위적이지 않는 삶을 말한다. 청화는 이러한 경지를 무원삼매(無願三昧)와 같은 의미로 본다.

칭법행(稱法行) : 진리에 합일된 행으로 육바라밀의 삶을 말한다.


개념 보충설명 필요 :

✽‘순선시대’에 대한 정의를 소개 내지 설명해주었으면 본 주제의 논지를 전개하는데 보다 설득력이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순선이라는 의미와 실상염불선의 의미가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지에서 선종의 순선과 염불의 실상염불이 풍겨주는 뉘앙스는 무시할 수가 없다. 논자가 서두에서 언급한 [달마를 초조로 (하여) 전개된 조사선 전통에서 간화선이나 염불선 그리고 묵조선 등이 행법의 차이는 있다 하더라도 모두 그 뿌리는 같다. 즉 초조 달마대사로부터 육조혜는에 이르는 시기에 연원을 두고 있다. 이를 조사선(祖師禪) 또는 ‘순선(純禪)시대’라 일컫는다.]라는 대목은 재고를 요한다. 이미 염불선을 조사선의 전통으로 전제하고, 또한 조사선과 순선을 동일시하며, 간화선과 묵조선과 염불선이 바로 이 시기에 연원한다고 말한다. 순선에 해당하는 시기를 언급했을 뿐이지 정작 순선의 본질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설명이 안보인다.


설명문제:

{전법보기}를 언급하는 대목에서 제2조 혜가, 제3조 승찬, 제4조 도신, 제5조 홍인 등의 언급은 각각 제3조 혜가, 제4조 승찬 등으로 표기해야 할 것이다. {전법보기}는 소위 북종의 전등사서로서 초조 – 구나발타라, 제2조 보리달마, 제3조 혜가, 제4조 승찬, 제5조 도신, 제6조 홍인··· 등으로 기록하기 때문이다.


개념문제:

✽즉 ‘마음을 종으로 삼는다’는 것은 마음을 궁극의 진리로 본다는 것이다.(예를 들면, 『마조어록』가운데 “부처님이 말씀하신 핵심을 종지로 삼는다.”

이런 점에서 이 내용을 들어서 시심시불, 즉심시불, 심불급중생시삼무차별 등과 동일한 내용으로 설명하는 것은 재고를 필요로 한다.


해석문제:

만약 객진망상을 버리고 진성으로 돌아가려면 응주벽관(凝住壁觀)하여 나와 남이 없고 범부와 성인이 하나로 평등하다는 사실에 굳게 머물러 움직이지 않는다. 다시는 문교(文敎)에 ᄄᆞ르지 않고 바로 도와 함께하여 깨달아 분별하지 않고 고요하고 작위가 없다.


주석 60) 해석문제:

여기서 한 가지 더한다면 4조 도신이 인용한 『文殊般若經』은 『문수사리소설반야바라밀경』이다. 그런데 이와 비슷한 또 다른 경전으로 『문수사리소설마하반야바라밀경』이 있는데 ‘마하’가 중간에 삽입되었는데 여기서 바로 일상(一相)이 같은 맥락에서 몇 번 나타난다. 문수사리가 붓다에게 “어떻게 수행하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습니까?”라는 질문에 ‘반야바라밀’과 다시 ‘일행삼매’로 답하낟. 이 때 다시 “무엇을 일행삼매라 하옵니까?”에 “법계는 일상(一相)이라 인연을 법계에 얽매는 것, 이것을 일행삼매라 한다”고 하여 일상은 일행삼매를 설명하는 가운데 나타난다.

인연을 법계에 얽매는 것→마음을 법계에 두루 두는 것, 곧 법계를 두루 관찰하는 것.





제 1발표.hwp

제 1발표.hwp
0.0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