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염불수행자료/ 나무아미타불

광덕(廣德)과 엄장(嚴莊)

 광덕(廣德)과 엄장(嚴莊)


 문무왕 대에 광덕․엄장이라는 이름의 두 사문(沙門)이 있었는데, 사이가 좋아서 밤낮으로 약속하기를, “먼저 극락으로 가는 자는 모름지기 알리자.”라고 하였다. 광덕은 분황사 서쪽 마을에 은거하여[혹은 황룡사의 서거방(西去房)이라고도 하는데 어느 것이 옳은지 모르겠음] 신발 엮는 것을 업으로 삼으면서 처자를 데리고 살았으며, 엄장은 남악(南岳)에 암자를 짓고 경작에 힘쓰면서 살았다. 하루는 해 그림자가 붉은빛을 띠고 소나무 그늘에 어둠이 깔릴 무렵에 엄장의 창 밖에서 소리가 나 알리기를, “나는 이미 서방으로 가네. 자네는 잘 있다가 나를 따라오게.”라고 하였다. 엄장이 문을 밀치고 나와 바라보니, 구름 밖에서 천악(天樂) 소리가 들리고 광명이 땅에 뻗쳐 있었다.

 

 이튿날 그가 광덕의 거처로 찾아가 보니 광덕이 과연 죽어 있었다. 이에 그의 아내와 함께 유해를 수습하여 장사를 지냈는데, 그 일을 마치자 엄장이 광덕의 부인에게 말하기를, “남편이 죽었으니 나와 더불어 함께 사는 것이 어떻겠소.”라고 하자, 부인이 좋다고 하였다. 이에 머물러 있다가 밤이 되어서 정을 통하려고 하니, 부인이 응하지 않으면서 말하기를, “대사가 정토(淨土)를 구하는 것은 나무 위에 올라가 물고기를 잡으려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엄장이 놀라고 괴이하여 묻기를, “광덕이 이미 그러하였는데 나라고 해서 안 될 게 무엇인가?”라고 하니, 부인이 말하기를, “남편과 나는 10여 년 동안 살았지만 일찍이 하루 저녁도 같은 침상에서 잔 적이 없는데 하물며 그 몸을 더럽혔겠습니까? 그분은 다만 매일 밤이면 단정하게 앉아서 한결같이 아미타불을 외우고, 혹은 16관(十六觀)을 지음으로써 관(觀)이 이미 익숙해져 명월(明月)이 창으로 들어오면 때때로 그 빛을 타고 가부좌(跏趺坐)를 하였습니다. 이처럼 정성을 다하였으니 비록 서방으로 가고자 하지 않는다 한들 어디로 가겠습니까? 대저 천 리를 가고자 하는 자는 한 걸음으로 알 수가 있는데, 지금 대사의 관은 동방으로 갈 수는 있을지 몰라도 서방은 알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엄장이 부끄러워서 얼굴을 붉히고 물러나와 급히 원효법사(元曉法師)에게 가서 왕생하는 법을 물으니, 원효가 쟁관법(錚觀法)을 지어서 일러 주었다. 엄장이 이에 뉘우치고 스스로를 꾸짖어 한결같은 마음으로 관을 닦고 또한 극락으로 갔다.

 쟁관법은 《원효법사 본전(元曉法師本傳)》과 《해동승전》 가운데 실려 있다. 그 부인은 바로 분황사의 노비로서 19응신(應身)의 하나이다. 광덕이 일찍이 다음과 같은 노래를 지었다.


 달님이여, 이제 서방까지 가시나이까

 무량수불 앞에 말씀(향언에는 보언이라고 하였음) 아뢰소서.

 맹세 깊으신 무량수불전에 우러러 두 손 모아 사뢰소서.

 원왕생(願往生), 원왕생이라고

 그리워하는 사람 있다고 사뢰어 주소서.

 아아, 이 몸 버려두고 48대원(大願)이 모두 성취될까?



'염불수행자료 > 나무아미타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징스님의 만일염불회  (0) 2009.03.07
수월스님의 천수주력  (0) 2009.03.02
모다라니  (0) 2009.02.27
무제대사 심약방  (0) 2009.02.22
나무아미타불  (0) 2008.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