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 四 節 四相(사상)
「金剛般若波羅密經(금강반야바라밀경)」에 「何以故(하이고)오 須菩提(수보리)야 若菩薩(약보살)이 有我(유아)相(상)人相(인상)衆生相(중생상)壽者相(수자상)이면 卽非菩薩(즉비보살)이라」시고 又(우) 「須菩提(수보리)야 於意云何(어의운하)오 可以身相(가이신상)으로 見如來不(견여래부)아 不也(불야)니이다 世尊(세존)하, 不可以身相(불가이신상)으로 得見如來(득견여래)니 何以故(하이고)오 如來所說身相(여래소설신상)은 卽非身相(즉비신상)이니이다 佛告須菩提(불고수보리)하사대 凡所有相(범소유상)이 皆是虛妄(개시허망)이니 若見諸相非相(약견제상비상)이면 卽見如來(즉견여래)니라」
심의 「六祖解曰(육조해왈) 衆生(중생)과 佛性(불성)이 本無有異(본무유이)언만 緣有四相(연유사상)하야 不入(불입)無餘涅槃(무여열반)하나니 有四相(유사상)하면 卽是衆生(즉시중생)이오 無四相(무사상)하면 卽是佛(즉시불)이라 迷(미)하면 卽佛(즉불)이 是衆生(시중생)이오 悟(오)하면 卽衆生(즉중생)이 是佛(시불)이니라 迷人(미인)은 恃有(시유)財寶學問族姓(재보학문족성)하야 輕慢一切人(경만일체인)이 名我相(명아상)이오 雖行(수행)仁義禮智信(인의예지신)이나 而(이)意高(의고)自負(자부)하야 不行(불행)普敬(보경)하고 言我(언아)解行(해행)仁(인)義(의)禮(예)智(지)信(신)이니 不合敬爾(불합경이)라함이 名人相(명인상)이오 好事(호사)는 歸己(귀기)하고 惡事(악사)는 施人(시인)함이 名衆生相(명중생상)이오
對境(대경)하야 取捨分別(취사분별)함이 名壽者相(명수자상)이니 是謂凡夫四相(시위범부사상)이오 修行人(수행인)도 亦有四相(역유사상)할새 心有能所(심유능소)하야 輕慢衆生(경만중생)이 名我相(명아상)이오 自恃持戒(자시지계)하야 輕破戒者(경파계자)-名人相(명인상)이오 厭三途苦(염삼도고)하야 願生諸天(원생제천)이 是衆生相(시중생상)이오 心愛長年(심애장년)而勤修福業(이근수복업)하야 諸執不忘(제집불망)이 是壽者相(시수자상)이니 有四相(유사상)하면 卽是衆生(즉시중생)이오 無四相(무사상)하면 卽是佛(즉시불)」이랐고
又(우)「色身(색신)은 卽有相(즉유상)이오 法身(법신)은 卽無相(즉무상)이니 色身者(색신자)는 四大和合(사대화합)하야 父母所生(부모소생)이라 肉眼所見(육안소견)이어니와 法身者(법신자)는 無有形段(무유형단)하야 非有(비유)靑黃赤白(청황적백)일새 無一切相貌(무일체상모)하야 非肉眼能見(비육안능견)이오 慧眼(혜안)으로 乃能見之(내능견지)니 凡夫(범부)는 但見色身如來(단견색신여래)하고 不見法身如來(불견법신여래)하나니 法身(법신)은 量等虛空(양등허공)이라 是故(시고)로 佛(불)-問須菩提(문수보리)하사대 可以身相(가이신상)으로 見如來不(견여래부)아 하시니 須菩提(수보리)-知凡夫(지범부)의 但見(단견)色身如來(색신여래)하고 不見法身如來(불견법신여래)인
故(고)로 言不也(언불야)니이다 世尊(세존)하 不可以身相(불가이신상)으로 得見如來(득견여래)니이다 하니 色身(색신)은 是相(시상)이오 法身(법신)은 是性(시성)이라 一切善惡(일체선악)이 盡由法身(진유법신)이오 不由色身(불유색신)이니 法身(법신)이 若作惡(약작악)하면 色身(색신)이 不生善處(불생선처)요 法身(법신)이 作善(작선)하면 色身(색신)이 不墮惡處(불타악처)니 凡夫(범부)는 唯見色身(유견색신)하고 不見法身(불견법신)일새
不能行(불능행)無住相布施(무주상보시)며 不能於一切處(불능어일체처)에 行平等行(행평등행)하며 不能(불능)普敬一切衆生(보경일체중생)이어니와 見法身者(견법신자)는 卽能行(즉능행)無住相布施(무주상보시)하며 卽能(즉능)普敬一切衆生(보경일체중생)하며 卽能修般若波羅密行(즉능수반야바라밀행)하야 方信一切衆生(방신일체중생)의 同一眞性(동일진성)이 本來淸淨(본래청정)하야 無有垢穢(무유구예)할새 具足恒沙妙用(구족항사묘용)하나니라 如來(여래) 欲顯法身故(욕현법신고)로 說一切諸相(설일체제상)이 皆是虛妄(개시허망)이니 若悟一切諸相(약오일체제상)이 虛妄不實(허망부실)하면 卽見(즉견)如來無相之理也(여래무상지리야)라」하시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