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강심론/본연스님의 금강심론 읽기

제16장 第十六章 만다라曼茶羅

  제16장 第十六章  만다라曼茶羅


  만다라曼茶羅란 예전 번역舊譯에는 단이라 또는 도량道場이라 번역하니 이는 본체에 취한 바른 뜻正意이요 새로운 번역新譯에는 윤원구족輪圓具足이라 또는 취집聚集(모임)이라 번역하니 이는 뜻에 취한 본래의 뜻本義이라

  곧 네모나고 둥근方圓 흙단土壇을 쌓고 제존諸尊을 이에 안치安置하여 음식을 공양齋供함은 이 만다라曼茶羅의 본체本體로써 단 가운데에 제존諸尊의 모든 덕을 모아서聚集 일대법문大法門을 이루니 수레바퀴통ㆍ바퀴테ㆍ바퀴살의 세 가지가  원만히 구족具足圓滿하여 수레바퀴車輪를 이룸과 같으니 곧 만다라曼茶羅의 뜻으로서 항상 불리는常稱 만다라曼茶羅란 이를 그림으로 그린圖畵 것이니 사종만다라四種曼茶羅 가운데 대만다라大曼茶羅에 해당該當한 대만다라大曼茶羅니라

  1.에 대만다라大曼茶羅란 제존諸尊을 모두 모아總集 단장壇場함과 그及其 제존諸尊의 형체形體와 함께 단장竝其壇場의 전체全體 또는 제존諸尊을 한분 한분을 그린圖畵이니 곧 만다라曼茶羅의 총체總體일새 대요, 대란 오대五大1)의 뜻이요 또 광대廣大의 뜻이라 다른 삼종三種도 오대五大에 매어 이루어진所成 것이지만 특히 총체總體인 광대廣大의 의변義邊(義理의 변방)을 취하여 대라 이름함이오

  2.에 삼매야만다라三昧耶曼茶羅란 제존諸尊의 손이 잡은執持 기장器杖2)과 인계印契3)를 그린繪畫이니 삼매야三昧耶란 본서本誓4)의 뜻으서 제존諸尊의 본서本誓를 표치標幟하여 천마天魔는 물론勿論이오 제존諸尊 자신自身도 이를 어기지違越 않는다는不能 서약誓約의 표치標幟임으로 써요

  3.에 법만다라法曼茶羅란 제존諸尊의 종자種子를 글씨와 그림으로 그린書畵 진언眞言과 모든 경전一切經의 문자文字와 뜻과 이치임으로 써요

  4.에 갈마만다라羯磨曼茶羅란 갈마羯磨는 작업作業의 뜻으로서 곧 쇠를 녹여 기물을 만드는鑄造 형상形像이니 제존諸尊의 위의威儀와 작업作業을 진흙ㆍ찰흙泥塑으로 주조鑄造함이니, 이 사만四曼 가운데 처음의 일은 총체總體요 뒤의 삼은 별덕別德이라

  「비장기초秘藏記鈔」2에 「이 사만四曼을 사의 지인智印」이라 했고 「제부요목諸部要目5)」에 「일체一切의 인계印契는 일체一切 진리의 본질法要이니 사지인四智印6)으로 거두어 들攝盡 일새 대지인大智印이란 다섯 가지 모양五相으로 본존本尊을 이룸이  유가瑜伽7)이고 삼매야인三昧耶印이란  두 손二手으로써 화합和合하여 금강박金剛縛8)을 발생發生한 인을 이룸成印이오 법지인法智印이란 본존本尊의 종자種子인 법신法身의 삼마지三摩地인 일체계경一切契經9)의 글이요 갈마인羯磨印이란  이 금강권金剛拳10)으로써 잡고 있는執持 기장器杖같은 표치標幟니 몸과 같은如身 위의형威儀形」이라 하였고 「비장기본秘藏記本」에 「사종만다라四種曼茶羅의 1.인 대만다라大曼茶羅는 오대五大이니  형체形體회상繪像(그림으로 그린 불상) 을 말함이요 2.인 삼매야만다라三昧耶曼茶羅는 제존諸尊이 잡고 있는所執持 기장器杖과 인계印契요 3.인 법만다라法曼茶羅는 종자種子11)이요 4.인 갈마만다라羯磨曼茶羅는 위의이다威儀也」라 했으니  유가사瑜伽師12)는 마땅히 참작參酌할지어다

  그리고 이체理體(萬有의 본체)의 태장계胎藏界만다라曼茶羅13)와 지덕智德의 금강계金剛界만다라曼茶羅14)와 태ㆍ금 양부兩部의 이중만다라二重曼茶羅15)와 세존世尊의 일체지분一切支分이 모두 다皆悉 여래의如來을 출현出現한다 하신 지분생만다라支分生曼茶羅16)와 사바세계娑婆가 곧 적광토寂光土인 정토만다라淨土曼茶羅17)와 십법계十法界의 십계만다라十界曼茶羅18)의 경계境界를 스스로 깨달아自證 구별할了別 지어다.

  뿐만 아니라 성자聖者의 법호法號나 또는 경전의 제목經題과 어떠한 삼매三昧이름이라도 한 번 들으면一聞 문득 깨달으리라便了.


          수능엄삼매도결首楞嚴三昧圖訣


 병술년丙戌(1946년) 운문암雲門庵에서벽산한인碧山閒人




 

번역 하는데 인용한 책

국어大辭典 민중서림 1998년

中韓辭典 고려대학교 2003년

漢韓辭典 금성교과서주식회사 1994년

佛敎大辭典 명문당 1999년

佛敎大辭典 홍법원 2003년

佛敎辭典 동국역경원 2001년

佛光大辭典 불광출판사 1995년

密敎辭典 홍법원 1998년

圓通佛法의 要諦 성륜각 2000년

네이버 국어사전


 「금강심론金剛心論」에 나오는 경전經典과 논


*금광명경金光明經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

*수릉엄삼매경首楞嚴三昧經  *문수반야경하文殊般若經下

*수릉엄경首楞嚴經 *무량수경無量壽經 *사익경思益經.

*승천왕반야경勝天王般若經 *인왕반야경仁王般若經

*승만경勝鬘經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密多心經

*법화경法華經. *지장십륜경地藏十輪經

*보요경普曜經 *미륵상생경彌勒上生經

*법화경의소法華經義疏 *인왕경仁王經.

*불공견색심주왕경不空羂索心呪王經 *범망경梵網經

*범망경하梵網經下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  

*열반경涅槃經

*화엄경華嚴經 *화엄대소초華嚴大疏秒

*해심밀경解深密經. *영락본업경瓔珞本業經

*유마경維摩經 

*묘법연화삼매비밀삼마야경妙法蓮花三昧秘密三摩耶經

*육조단경六祖檀經 *최승왕경最勝王經 *예참경禮懺經

*대집지장십륜경大集地藏十輪經 *정법염경正法念經

*대일경大日經 *대일경소大日經疏

*정명소淨名疎 *석마하연론釋摩河衍論 *유식론唯識論

*유가론瑜伽論 *기신론起信論 *기신론소起信論疏

*지도론智度論

*정리론正理論 *관심론觀心論 *섭론攝論 *법화론法華論

*구사론俱舍論 *현응음의玄應音義 *법화현의法華玄義

*삼장법수三藏法數 *불지론仏地論 *가상소嘉祥疏

*화엄현담華嚴玄談 *화엄연의초華嚴演義秒

*종경록宗鏡錄 *탐현기探玄記 *대승지관大乘止觀

*비장기秘藏記. *제부요목諸部要目

*서역기西域記 *광기光記 *증도가證道歌

*분별성위경게分別聖位經偈 *오륜구자명비석五輪九字明秘釋

*묘종초妙鍾訬 *사명교행록四明敎行錄 *잡집론雜集論

*대승의장大乘義章 *승만보굴중본勝鬘寶窟中本

*혜림음의慧琳音義





1) 오대(五大) : ①만물의 구성요소인 지․수․화․풍․공을 말함. 지․수․화․풍(四大)에 공(空)을 더한 5가지의 원소. 5가지의 주요한 원소의 뜻으로, 오대종(五大種)이라고도 함. 그것 자체가 물질인 동시에 모든 물질을 형성하는 작용이 있는 지대(地大)와 수대(水大)와 화대(火大)와 풍대(風大)와 공대(空大). 공대(空大)는 물질적인 것으로서의 허공을 말함. ②밀교에서는 지대(地大)는 방형(方形)으로 황색, 수대(水大)는 원형으로 백색, 화대(火大)는 삼각으로 적색, 풍대(風大)는 반월형(半月形)으로 흑색, 공대(空大)는 보주형(寶珠形)으로 청색임. 이 오대(五大)에 오색(五色)․오불(五佛)․오명(五明)․오지(五智)등을 배(配)함. 대일여래(大日如來)의 삼매야형(三昧耶形)인 오륜탑파(五輪塔婆)는 이 5가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음. 오륜(五輪)과 같음.→오륜


2) 기장(器杖) : 무기를 총칭함. 惡知와 惡覺을 퇴치하는 기구.


3) 인상(印相) : 상인(相印)․밀인(密印)․계인(契印)․수인(手印)․인계(印契)․인(印)이라고도 함. 모다라(母陀羅).(半陀羅)라고 음역된다. 인장(印章)을 누르는 것에서 밀교에서는 표식(標識)의 뜻으로 읽고, 또한 제존(諸尊)의 내증(內證)․본서(本誓)를 나타내는 외상(外相)으로 하고 있다. 불․보살의 내면적인 깨달음을 나타내는 형태. 이것에는 유상(有相)과 무상(無相)의 구별이 있어, 무상(無相)은 손에 연결되지 않아도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다고 하고, 유상(有相)의 인(印)은 손의 형태와 조합된 것 외에 막대기․칼․연(蓮)등의 소지물로도 표현한다. 밀교(密敎)에서 특히 중시되고 행자가 인(印)을 맺고, 진언(眞言)을 외우고, 뜻으로 본존(本尊)을 관(觀)하면, 법신(法身)에 합성(合成)할 수 있다고 한다.


4) 본서(本誓) : 불보살의 중생을 구제하려고 하는 서원. 부처님과 보살이 과거세상에서 부처가 되려고 뜻을 두었던 수행시대에 발원한 근본서원.


5) 제부요목(諸部要目) : 陀羅尼門諸部要目의 약칭. 일권. 당 不空 번역. 諸部要目이라 약칭함. 眞言諸部에서 그 要義를 列記한것.


6) 사지인(四智印) : 일체의 인계(印契)와 일체의 법요(法要)가 사지인(四智印)에 모두 총섭되어 있다는 뜻. (1)대지인(大智印).다섯 가지 상(相)으로 이루어진 부처님을 말함. (2)삼매야인(三昧耶印).제존(諸尊)이 가지고 있는 삼매야형으로 5고도(五鈷刀)와 연화의 종류이며, 제존(諸尊)의 손으로 맺는 인계(印契)를 말하는 것. (3)법지인(法智印).본존의 종자를 말하는 것으로 또는 법신의 삼마지(三摩地)이며, 현밀(顯密) 일체의 계경(契經)과 다라니를 말함. (4)갈마지인(鞨摩智印). 제존의 위의(威儀) 작업을 말하는 것. 또는 4종 만다라를 말함. 인(印)은 결정하여 고치지 못한다는 뜻이며, 지(智)는 결단하여 여럿 가운데서 골라 택한다는 뜻이다. 4종 만다라는 부처님의 내덕(內德 )을 표시하여 결정하며 고치지 않는다는 뜻이며, 또한 각각 그 덕을 지켜서 결단 선택하므로 지인(智印)이라 부른다.


7) 유가(瑜伽) : 연결한다는 뜻의 어원 유지에서 나온 말. ①마음을 다 잡는 것. 어떤 목적을 위해 마음을 다잡고 힘을 집중한다는 뜻. 마음의 통일. 명상 뜻을 제어하여, 마음의 통일을 도모하는 수행법. 요가의 목적은 명상에 의해 적정(寂靜)의 신비경(神秘境)에 들어가 절대자와의 합일(合一)을 실현하는데 있음. ②상응하는 것. 진언행자(眞言行者)의 신(身)․구(口)․의(意)의 작용이 부처님의 신(身)․구(口)․의(意)의 작용과 합치하는 것.


8) 금강박(金剛縛) : 양손을 합쳐 손가락을 각각 끼는 인(印)의 이름.


9) 계경(契經) : 수다라(修多羅). 석존께서 말씀하신 가르침을 기술한 경전(經典).경문(經文)은 사람들의 소질에 들어맞고, 이(理)에 합당하기 때문에 계(契)라 함. 진리를 모아서 기술하고 있기 때문에 경(經)이라고함. 또는 경전의 총칭.


10) 금강권(金剛拳) : 4종권(拳 )․6종권(拳)의 하나.①엄지손가락을 안으로 쥐고 주먹을 만든 것.<「大日經疏」13권<「演密鈔」9권>②또 분노권(忿怒拳)이라고도 함. 엄지손가락을 쥐고, 주먹을 만들고, 둘 째 손가락 끝을 마디에 대고 세우는 것.


11) 종자(種子) : 밀교에서 상징적 의의를 갖는 것으로서 해석된 하나하나의 문자. 불ㆍ보살내지 각종사항을 표시하는 산스크리트 문자를 말함.


12) 유가사(瑜伽師) : ①요가를 행하는 사람. 관행자(觀行者) ②밀교의 行者. 三密 瑜伽를 행하기 때문.


13) 태장계만다라(胎藏界曼茶羅) : 구명(舊名)은 대비태장생만다라(大悲胎藏生曼茶羅).「대일경」에 기초하여 부처님의 보리심이 어머니의 태내 같은 대비심의 도움에 의해 교화 활동하는 의미를 표시한 것.그림은 위를 동쪽으로 하고, (1)중태팔엽원을 중심으로 4중으로 나란히 12원으로 구획함. 중앙에 대일여래, 그 별덕(別德)을 사불(四佛)․사보살(四菩薩)에 상징하여 주위로 배열함. (2)편지원(遍知院). (3)연화부원(蓮華部院:관음원)은 관음이 주존(主尊). (4)금강수원(金剛手院:살타원(薩埵院)은 금강살타가 주체. (5)지명원(持明院:오대원(五大院)․분노원(忿怒院). (6)석가원(釋迦院)은 석가를 주체. (7)지장원(地藏院)은 지장보살이 주존. (8)허공장원(虛空藏院)은 허공장보살이 중심. (9)제개장원(除蓋障院)은 제개장보살이 주체. (10)문수원은 문수보살을 중심. (11)소실지원(蘇悉地院). (12)외금강부원(外金剛部院:最外院). 합계 4백 14존을 그림으로 표시함.<「胎藏界曼茶羅鈔」>


14) 금강계만다라(金剛界曼茶羅) : 양부(兩部)만다라의 하나. 현도(現圖)만다라에는 9회로 조직되었으므로 9회 만다라 또는 9종 만다라라고 한다. 법신여래의 깊은 지혜의 세계를 금강에 비유하여 상징화한 것이 이 만다라 .9회를 설명하는 데 종인향과(從因向果)의 차례와 중생 교화 곧 종과향인(從果向因)의 차례가 있다. 종과향인의 차례: (1)갈마회(鞨磨會).(2)삼마야회(三摩耶會).(3)미세회(微細會).(4)대공양회(大供養會).(5)4인회(印會).(6)1인회.(7)이취회(理趣會).(8)항삼세갈마회(降三世鞨磨會).(9)항삼세삼마야회(降三世三摩耶會).「금강정경」에 근거함.


15)이중만다라(二重曼茶羅):胎金 양부만다라는 각각 천략(淺略)과 비밀의 兩重이 있다. 胎藏界에 있는 것은 대일경 具緣品에 설한 것으로 대일이 阿彌陀三摩地에 住하여 나타낸 加持境界다. 이는 三部中의 蓮華部曼茶羅로 淺略曼茶羅다. 疏六에 「靑色은 無量壽의 色이며 이미 金剛實際에 이르러 곧 方便으로 加持하여 大悲曼茶羅를 普現함이 淨虛空中에 萬德을 具含함과 같기 때문이다」 하였음. 또한 秘密品에서 說한 것은 毘盧遮那本地의 경계로 三部中의 佛部 만다라는 곧 비밀 만다라이며 금강계에 있는 것은 敎王經과 略出經에서 說한 大日이 阿閦의 三摩地에 住하여 흠(吽)字를 誦하여 阿閦佛을 성불하는 聖身會가 되는 것은 三部中의 金剛部 曼茶羅로 곧 淺略曼茶羅다. 또한 유지경(瑜祇經)序品에서 說한 曼茶羅는 三部中의 佛部 曼茶羅로 秘密 曼茶羅다. 그러므로 瑜祇經은 十八會에 攝되지 않고 經에서 自說한 本來金剛界에 있다고 한다. 大日如來가 衆生의 本有인 三摩地에 住하여 本有에 無作한 境界에 所現.하는 자성이 三十七尊을 所成하므로 그 種子의 三形등은 크게 常途의 說相과 相異하다. 곧 淺略이란 加持修生의 曼茶羅이며 秘密이란 本有인 本地 曼茶羅로 胎藏 本地의 理佛은 다시 西方 蓮華部에 現曼茶羅를 加持하고 또한 本有인 金剛의 智佛 이 다시 東方 金剛界에서 修生 曼茶羅를 示現하므로 深秘한 兩部를 佛部中에 建立하고 淺略한 兩部는 蓮華 ․金剛 二部가 體가 된다.(祕藏記)


16)지분생만다라(支分生曼茶羅): ①行者의 몸위에 五佛의 種子를 늘어놓고 自支分에서 諸尊을 流出하는 것, 大日經疏三에 「經에 이르기를 "世尊의 一切支分은 모두 여래의 몸을 出現한다“」하였음. 앞에 장엄이 나타났을 때 普門한 하나 하나의 몸이 各各 十方에 두루하여 緣을 따라 사물에 應한다. 지금 만다라 의(位)를 說하고자 하므로 불신의 上․中․下의 體를 通約하여 部類로써 나눈다면 배꼽 이하는 現生의 석가로 人法에서 보는 것과 같고,二乘 ․六趣의 갖가지 類形은 色像威儀와 言音檀座가 각각 다르며, 그 권속도 같지 않게 八方에 두루하여 曼茶羅의 本位次第와 같이 住한다.(이것은 第四重의 第三院임).배꼽 이상에서 목까지는 無曼한 十住의 諸菩薩이 出現하여 각각 三密의 몸과 無曼한 권속을 가지고 八方에 두루하여 曼茶羅의 本位次第와 같이 住한다. 그러나 이 가운데는 스스로 二重이 있는데 心藏 이하는 大悲萬行의 十佛刹 徵塵數의 諸大眷屬을 믿는다. (이는 第三重으로 곧 第二院임). 심장 이상은 金剛密慧를 가진 佛刹 徵塵數의 모든 內眷屬이다 (이는 第二重으로 곧 第一院임).이상 二重을 通하여 大心衆이라 하며 목 이상에서 如來의 頂上까지는 四智․四三味의 果德佛身을 낳는다. 이 四佛 ․四菩薩의 八身은 一切世界․徒衆․刹土에서 名業과 身業 모든 受用하는 일이 같지 않지만 또한 八方에서 만다라의 本位次第와 같이 住함(이것은 第一重으로 즉 中胎임). ②行者의 身上에 五佛의 種子를 布列하고 因하여 支分으로부터 諸尊을 流出함.


17)정토만다라(淨土曼茶羅): 觀經曼茶羅의 다른 이름. 淨土變相 가운데 阿彌陀佛의 淨土인 극락세계의 모양을 그린 만다라를 말함.


18)십계만다라(十界曼茶羅):十界大曼茶羅와 같음. 十界의 부처님 相을 그린 대만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