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차교정 水塵(수진) 世界(세계)와 日球(일구)(교정).pdf
제3第三 수진水塵 세계世界와 일구日球
46. 일신日身의 8급八級 분개分開
⒜ 216(우주宇宙의 극중極中인 일심日心의 반경半徑으로서 극변極邊의 구우區宇인 진공계眞空界의 후厚와 등等함) + 108(일신日身 8중八重의 등차거리等差距離로서 가공계假空界 4급四級의 구우區宇와 수성계水星界 4급四級 구우區宇의 등차거리等差距離 등等과 등等함) = 324 일심日心에서 일신日身의 제1중第一重까지의 거리距離로서 극변제極邊際에서 가공계假空界의 제4급第四級 구우區宇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324 + 108 = 432 일심日心에서 일신日身의 제2중第二重까지의 거리距離로서 극변제極邊際에서 가공계假空界의 제3급第三級 구우區宇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432 + 108 = 540 일심日心에서 일신日身의 제3중第三重까지의 거리距離로서 극변제極邊際에서 가공계假空界의 제2급第二級 구우區宇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540 + 108 = 648 일심日心에서 일신日身의 제4중第四重까지의 거리距離로서 극변제極邊際에서 가공계假空界의 제1급第一級 구우區宇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648 + 108 = 756 일심日心에서 일신日身의 제5중第五重까지의 거리距離로서 극변제極邊際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4급第四級 구우區宇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756 + 108 = 864 일심日心에서 일신日身의 제6중第六重까지의 거리距離로서 극변제極邊際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3급第三級 구우區宇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864 + 108 = 972 일심日心에서 일신日身의 제7중第七重까지의 거리距離로서 극변제極邊際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2급第二級 구우區宇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972 + 108 = 1080 일심日心에서 일신日身의 제8중第八重의 계한界限인 일면日面까지의 거리距離 즉卽 일구日球의 반경半徑으로서 극변제極邊際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1급第一級 구우區宇 내주內周까지의 거리距離이므로 이것이 전성무계全星霧系의 두께(厚후)와 등等함.
47. 일심日心에서 지궤地軌까지의 경유經由 구우區宇
⒜ 1080(일구日球의 반경半徑) × 2 = 2160 일심日心에서 일륜계선日輪界線까지의 거리距離로서 극변제極邊際에서 허무계虛無界의 중단中段 내주內周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2160 + (일륜계日輪界에 연沿한 사대금성四大金星의 두께(厚후)로서 허무계虛無界 하단下段의 후厚와 등等함) = 일심日心에서 사대四大금성계金星界의 외주外周 또는 유성遊星 내계內界의 외주外周까지의 거리距離로서, 극변제極邊際에서 허무계虛無界의 내주內周 또는 유성遊星 외계外界의 외주外周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 7560(유성遊星 내계內界의 외주外周에서 일日 월月 간間 최근最近으로 되었을 경우의 월심月心까지의 거리距離로서, 이것이 유성계遊星界의 반경半徑이므로, 유성遊星 외계外界의 외주外周에서 일日 월月 간間 최원最遠으로 되었을 경우의 월심月心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일日 월심月心 간間 최근最近으로 되었을 경우의 거리距離로서 최원最遠으로 되었을 경우의 월심月心에서 극변제極邊際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 (월심月心에서 역점力點까지의 거리距離) = 최근最近으로 되었을 경우의 일심日心에서 월月의 역점力點까지의 거리距離로서, 최원最遠의 경우 극변제極邊際에서 월月의 역점力點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 (지궤地軌의 중심中心인 지심地心에서 월月의 역점力點까지의 거리距離) = 이것이 일구日球의 중심中心에서 지궤地軌 즉卽 지구地球 중심中心까지의 거리距離로서 극변제極邊際에서 지심地心까지의 거리距離와 상등相等하므로 지궤地軌가 우주宇宙의 극중極中과 극변極邊과의 간間 절반切半인 내주內宙 외주外宙의 계선界線이다.
※ 주註 : 유성계遊星界의 반경半徑 : -7560
일구日球 반경半徑의 7배倍
월세계月世界 반경半徑의 7배倍
목성木星 구우區宇 후厚의 7배倍
48. 일심日心에서 허무계虛無界까지의 거리距離
⒜ (일日 지심地心 간間의 거리距離) + 2462(지地 월심간月心間)의 거리距離) + 7560(월심月心에서 유성遊星 외계外界까지의 거리距離) = 일심日心에서 유성遊星 외계外界의 외주外周 즉卽 허무계虛無界의 내주內周까지의 거리距離
⒝ + (허무계虛無界 하단下段의 후厚로서 사대금성계四大金星界의 후厚와 등等함) = 일심日心에서 허무계虛無界 하단下段까지의 거리距離
⒞ + 540(허무계虛無界 중단中段의 후厚로서 일륜日輪의 후厚와 과 등等) = 일심日心에서 허무계虛無界 중단中段까지의 거리距離
⒟ + 540(허무계虛無界 상단上段의 후厚로서 중단中段과 등等함)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내주內周 즉卽 허무계虛無界 외주外周까지의 거리距離
⒠ ÷ 1 = 허무계虛無界 하단下段의 단층거리單層距離
⒡ 540 ÷ 2 = 270 허무계虛無界 중단中段 2개층二個層의 등차거리等差距離
⒢ 540 ÷ 3 = 180 허무계虛無界 상단上段 3개층三個層의 등차거리等差距離.
49.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까지의 거리距離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내주內周까지의 거리距離) + 36(수성계水星界 4개급중四個級中 제1第一 하단下段 3개계三個階의 등차거리等差距離)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 4개급四個級 18계十八階 중中 제1第一 하계下階까지의 거리距離
⒝ + 36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2계第二階까지의 거리距離
⒞ + 36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3계第三階까지의 거리距離
⒟ + 27(제2급第二級 4개계四個階의 등차거리等差距離)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4계第四階까지의 거리距離
⒠ + 27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5계第度階까지의 거리距離
⒡ + 27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6계第六階까지의 거리距離
⒢ + 27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7계第七階까지의 거리距離
⒣ + (제3급第三級 5개계五個階의 등차等差 거리距離)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8계第八階까지의 거리距離
⒤ +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9계第九階까지의 거리距離
⒥ +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10계第十階까지의 거리距離
⒦ +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11계第十一階까지의 거리距離
⒧ +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12계第十二階까지의 거리距離
⒨ + 18(제4급第四級 6개계六個階의 등차거리等差距離)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13계第十三階까지의 거리距離
⒩ + 18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14계第十四階까지의 거리距離
⒪ + 18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15계第十五階까지의 거리距離
⒫ + 18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16계第十六階까지의 거리距離
⒬ + 18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17계第十七階까지의 거리距離
⒭ + 18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의 제18계第十八階까지의 거리距離
50. 일심日心에서 가공계假空界까지의 거리距離
⒜ (일심日心에서 수성계水星界까지의 거리距離) + 108(가공계假空界의 4개급四個級의 등차等差 거리距離) = 일심日心에서 가공계假空界의 제1第一 하단下段까지의 거리距離
⒝ + 108 = 일심日心에서 가공계假空界의 제2급第二級까지의 거리距離
⒞ + 108 = 일심日心에서 가공계假空界의 제3급第三級까지의 거리距離
⒟ + 108 = 일심日心에서 가공계假空界의 제4급第四級까지의 거리距離
⒠ 108 ÷ 7 = 제1급第一級 7개계七個階의 등차等差 거리距離
⒡ 108 ÷ 8 = 제2급第二級 8개계八個階의 등차等差 거리距離
⒢ 108 ÷ 9 = 12 제3급第三級 9개계九個階의 등차等差 거리距離
⒣ 108 ÷ 10 = 제4급第四級 10개계十個階의 등차等差 거리距離
51. 우주宇宙의 극중極中에서 극변極邊까지의 거리距離
⒜ (일日 지심간地心間의 거리距離) + 10022(지심地心에서 유성遊星 내외계內外界 공共 외주外周까지의 거리距離) + (허무계虛無界의 후厚로서, 일구日球를 제除한 일륜계日輪界의 후厚와 사대금성계四大金星塵界의 후厚를 합合한 것과 등等함) + 432(수성水星의 후厚) + 432(가공계假空界의 후厚) = 일심日心에서 가공계假空界까지의 거리距離로서 극변제極邊際에서 일신日身 내계內界까지의 거리距離와 등等함
⒝ + 216(진공계眞空界의 후厚로서 일심日心의 반경半徑과 등等함) = 우주宇宙의 극중極中인 일구日球의 중심中心에서 극변極邊인 진공계眞空界의 단제斷際까지의 거리距離로서 이것이 아我 우주宇宙의 반경半徑임은 전술前述과 여如함
⒞ - (내주內宙의 반경半徑) = 외우外宇의 후厚
52. 일구日球의 해체解體
⒜ 일구日球의 공심량空心量으로서 월月의 체적體積과 등等함
⒝ 일신日身 제1중第一重의 체적體積으로서 가공계假空界 제4급第四級 수진水塵의
⒞ 일신日身 제2중第二重의 체적體積으로서 가공계假空界 제3급第三級 수진水塵의
⒟ 일신日身 제3중第三重의 체적體積으로서 가공계假空界 제2급第二級 수진水塵의
⒠ 일신日身 제4중第四重의 체적體積으로서 가공계假空界 제1급第一級 수진水塵의
⒡ 일신日身 제5중第五重의 체적體積으로서 수성계水星界 제4급성第四級星 전체적全體積의
⒢ 일신日身 제6중第六重의 체적體積으로서 수성계水星界 제3급성第三級星 전체적全體積의
⒣ 일신日身 제7중第七重의 체적體積으로서 수성계水星界 제2급성第二級星 전체적全體積의
⒤ 일신日身 제8중第八重의 체적體積으로서 수성계水星界 제1급성第一級星 전체적全體積의
⒥ 일구日球의 전체적全體積으로서 성무계星霧系 전全 수진水塵 체적體積의 임.
53. 수성계水星界 18개계十八個階의 구우區宇에 있는 전全 수성水星의 위수位數
⒜ 2088960(제1계第一階의 성수星數) + 1392640(제2계第二階의 성수星數) + 696320(제3계第三階의 성수星數로서 제1급第一級 3개계三個階의 급차수級差數) = 4177920 제1급第一級 3개계三個階의 전성수全星數로서 411 - 47한 것에 상당相當함.
⒝ 417792(제4계第四階의 성수星數) + 313344(제5계第五階의 성수星數> + 208896(제6계第六階의 성수星數) + 104448(제7계第七階의 성수星數로서 제2급第二級 4개계四個階 성수星數의 등차급수等差級數) = 1044480 제2급第二級 4개계四個階 구우區宇의 전성수全星數로서 410 - 46한 것과 등等함.
⒞ 87040(제8계第八階의 성수星數) + 69632(제9계第九階의 성수星數) + 5224(제10계第十階의 성수星數) + 34816(제11계第十一階의 성수星數) + 17408(제12계第十二階의 성수星數로서 제3급第三級 5개계五個階의 등차급수等差級數) = 261120 제3급第三級 5개계五個階 구우區宇의 전성수全星數로서 49 - 45한 것과 등等함.
⒟ 18648(제13계第十三階의 성수星數) + 15540(제14계第十四階의 성수星數) + 12432(제15계第十五階의 성수星數) + 9324(제16계第十六階의 성수星數) + 6216(제17계第十七階의 성수星數) + 3108(제18계第十八階의 성수星數로서 제4급第四級 6개계六個階 성수星數의 등차급수等差級數) = 65268 제4급第四級 6개계六個階의 전성수全星數로서 48 - 44 - 12와 등等함
⒠ 4177920(제1급第一級 3개계三個階 구우區宇의 전성수全星數) + 1044480(제2급第二級 4개계四個階 구우區宇의 전성수全星數) + 261120(제3급第三級 5개계五個階 구우區宇의 전성수全星數) + 65268(제4급第四級 6개계六個階 구우區宇의 전성수全星數) = 5548788 수성계水星界 4개급四個級 18개계十八個階 구우區宇의 총성수總星數로서 (48 + 49 + 410 + 411) - (44 + 45 + 46 + 47) - 12 한 것과 상당相當함. 44은 가공계假空界의 제4급第四級, 45은 제3급第三級, 46은 제2급第二級, 47은 제1급第一級 등等의 배분配分이나 당체當體가 없으므로 이를 공제控除하며, 12十二는 4급성四級星의 배위配位임과 동시同時에 목성木星 구우區宇 주성主星 외外의 종성從星 12위十二位의 분分이므로 이것 또한 공제控除함.
54. 수성군水星群의 총체적總體積과 별체적別體積
⒜ 10013870592(1급성一級星의 총체적總體積) ÷ 4177920(제1급성一第級星의 총수總數) = 1급성一級星 균별均別의 체적體積
⒝ 8018486784(2급성二級星의 총체적總體積) ÷ 1044480(2급성二級星의 총수總數) = 2급성二級星 균별均別의 체적體積
⒞ 6244812288(3급성三級星의 총체적總體積) ÷ 261120(3급성三級星의 총수總數) = 3급성三級星 균별均別의 체적體積
⒟ 4692847104(4급성四級星의 총체적總體積) ÷ 65268(4급성四級星의 총수總數) = 4급성四級星 균별均別의 체적體積
⒠ 10013870592(1급성一級星의 총체적總體積) + 8018486784(2급성二級星의 총체적總體積) + 6244812288(3급성三級星의 총체적總體積) + 4692847104(4급성四級星의 총체적總體積) = 28970016768 수성水星 4개급四個級의 총체적總體積
55. 가공계假空界 4개급四個級 34三十四개계個階 별別의 총總 수진량水塵量
⒜ 3362661232(제1급第一級 7개계七個階의 총總 수진水塵 체적體積) + 2253974672(제2급第二級 8개계八個階의 총總 수진水塵 체적體積) + 1367207424(제3급第三級 9개계九個階의 총總 수진水塵 체적體積) + 702079488(제4급第四級 10개계十個階의 총總 수진水塵 체적體積) = 7685922816 가공계假空界 4개급四個級 34개계三十四個階 구우區宇의 총總 수진水塵 체적體積으로서, 수진水塵의 계통系統인 오직 질質만 있을 뿐 하나도 성체星體는 없다고 할지라도 34三十四 계단階段 별別로 기괴氣塊의 자체孶體가 성신成身하여 우주宇宙 전구역全區域(일심日心과 진공계眞空界를 제외除外)을 유통流通하면서 외루外壘가 되므로, 이를 계단별階段別로 취급取扱하는 것이다.
⒝ 840665308(가공계假空界 제1계第一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720570264(제2계第二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600475220(제3계第三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4803880176(제4계第四階의 수진水塵체적體積> + 360285132(제5계第五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240190088(제6계第六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1200995044(제7계第七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으로서 제1급第一級 7개계七個階의 급차수級差數) = 3362661232 제1급第一級 7개계七個階 구우區宇의 전수진全水塵 체적體積
⒞ (제8계第八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9계第九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10계第十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11계第十一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12계第十二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13계第十三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14계第十四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15계第十五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으로서 제2급第二級 8개계八個階의 급차수級差數) = 2253974672 제2급第二級 8개계八個階의 전수진체적全水塵體積
⒟ (제16계第十六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17계第十七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18계第十八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19계第十九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20계第二十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21계第二十一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22계第二十二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23계第二十三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24계第二十四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으로서 제3급第三級 9개계九個階의 급차수級差數) = 1367207424 제3급第三級 9개계九個階의 전수진全水塵 체적體積
⒠ 127650816(제25계第二十五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26계第二十六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27계第二十七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89355571 (제28계第二十八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29계第二十九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63825408(제30계第三十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31계第三十一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제32계第三十二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25530163 (제33계第三十三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제34계第三十四階의 수진水塵 체적體積으로서 제4급第四級 10개계十個階의 급차수級差數) = 702079488 제4급第四級 10개계十個階 구우區宇의 전全 수진水塵 체적體積
56. 진공계眞空界의 수진량水塵量과 성무계星霧系의 총總 질량質量
⒜ (월月의 체적體積과 등等한 일구日球 표리表裡공간空間의 체적體積) × 7 = 295612416 진공계眞空界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295612416(진공계眞空界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7685922816(가공계假空界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28970016768(수성계水星界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 36951552000 성무계星霧系의 총總 수진水塵 체적體積
⒞ 36951552000 × 7 = 258660864000 성무계星霧系의 총總 수진량水塵量
⒟ 258660864000 × 3 = 775982592000 성무계星霧系의 총總 냉량冷量
⒠ 258660864000(성무계星霧系의 총總 수진량水塵量) + 775982592000(동냉량同冷量) = 1034643456000 성무계星霧系의 총總 질량質量
'* 금강심론 > 태안사 금강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 풍진세계와 목성 (0) | 2017.12.14 |
---|---|
제4 화진세계와 월요 (0) | 2017.12.14 |
제2 지진세계와 지구 (0) | 2017.12.12 |
제1 월요의 형태와 비량(2) (0) | 2017.12.09 |
1.월요의 형태와 비량(1) (0) | 2017.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