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차교정. 地塵世界(지진세계)와 地球(지구)(교정).pdf
제2第二. 지진세계地塵世界와 지구地球
37. 지하地下의 6급층六級層과 지상地上의 6륜권六輪圈
⒜ 6(지장심주地藏心珠의 반경半徑) + 6(지각地殼 제1중第一重의 두께) + 6(지각地殼 제2중第二重의 두께)+ 6(지각地殼 제3중第三重의 두께) + 6(지각地殼 제4중第四重의 두께) + 6(지각地殼 제5중第五重의 두께 곧 지표각地表殼의 두께) = 36 지구地球의 반경半徑
⒝ 6(지상地上 제1륜권第一輪圈의 두께) + 6(지상地上제2륜권第二輪圈의 두께)+ 6(지상地上 제3륜권第三輪圈의 두께) + 6(지상地上 제4륜권第四輪圈의 두께) + 6(지상地上 제5륜권第五輪圈의 두께) + 6(지상地上 제6第六륜권輪圈 즉卽 지륜계地輪界 말권末圈의 두께) = 36지상地上 6륜권六輪圈의 두께 즉卽 지면地面에서 지륜계地輪界까지의 거리距離로서 지구地球 반경半徑과 등等함
38. 지구地球의 해체解體
⒜ 6(지장심주地藏心珠의 반경半徑)3 × (구형입체율球形立體率) = 지장심주地藏心珠의 체적體積으로서 지구地球 체적體積의 에 상당相當함.
⒝ × = 6336 지각地殼 제1중第一重의 체적體積
⒞ × = 지각地殼 제2중第二重의 체적體積
⒟ × = 지각地殼 제3중第三重의 체적體積
⒠ × = 지각地殼 제4중第四重의 체적體積
⒡ × = 지각地殼 제5중第五重의 체적體積
⒢ 363 × = 지심地心과 지신地身이 일체一體가 된 지구地球의 전체적全體積
⒣ = 지각地殼 제5중第五重에 속屬한 지표地表의 체적體積
⒤ = 지각地殼 제5중第五重에 속屬한 내지표內地表의 체적體積
39. 지상地上 6륜권六輪圈의 체적體積
⒜ (423 - 363) × = 지상地上 제1륜권第一輪圈의 체적體積
⒝ (483 - 423) × = 지상地上 제2륜권第二輪圈의 체적體積
⒞ (543 - 483) × = 지상地上 제3륜권第三輪圈의 체적體積
⒟ (603 - 543) × = 지상地上 제4륜권第四輪圈의 체적體積
⒠ (663 - 603) × = 지상地上 제5륜권第五輪圈의 체적體積
⒡ (723 - 663) × = 지상地上 제6륜권第六輪圈의 체적體積
⒢ 723 × = 이것이 지구地球를 포함包含한 지륜계地輪界의 전체적全體積으로서 지구地球 체적體積의 8배倍에 상당相當함.
⒣ (지륜계地輪界의 전체적全體積) - (지구地球의 체적體積) = 1368576 지상地上 6륜권六輪圈의 전체적全體積
⒤ 지상地上 제1륜권第一輪圈에 속屬한 성층권成層圈 체적體積
⒥ 지상地上 제1륜권第一輪圈에 속屬한 제2성층권第二成層圈 체적體積
※ 1368576 지상地上 6륜권六輪圈의 체적體積으로서 지구地球의 7배倍에 상당相當한 등체적等體積의 지진地塵이 충전充塡된 구역區域이다.
40. 륜권별輪圈別 지진地塵의 분포分布
⒜ (지장심주地藏心珠의 체적體積) × 7 = 6336 제6륜권第六輪圈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6336(지각地殼 제1중第一重의 체적體積) × 7 = 44352 제5륜권第五輪圈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지각地殼 제2중第二重의 체적體積) × 7 = 120384 제4륜권第四輪圈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지각地殼 제3중第三重의 체적體積) × 7 = 234432 제3륜권第三輪圈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지각地殼 제4중第四重의 체적體積) × 7 = 제2륜권第二輪圈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지각地殼 제5중第五重의 체적體積) × 7 = 제1륜권第一輪圈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지구地球의 체적體積) ×7 = 1368576 6개六個륜권輪圈의 전지진全地塵 체적體積
⒣ (지표地表의 체적體積) × 7 = 성층권成層圈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성층권成層圈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지장심주地藏心珠의 체적體積과 등等한 성층권내成層圈內의 단체량單體量) =
이것이 성층권내成層圈內 전지진全地塵 체적體積이며 개벽開闢 당시當時 지장심주地藏心珠의 체적體積과 등等한 단체單體의 질質이 그 법력점法力點인 에 상당相當한 성층권成層圈의 두께를 한도限度로 하여 가중加重 분포分布된 것이다.
⒥ (내지표內地表의 체적體積) × 7 = 제2급第二級 성층권成層圈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41. 륜권輪圈 별別 지진地塵 체적體積의 비율比率
⒜ (성층권成層圈 내內의 가중加重 분포分布된 단체량單體量) ÷ (제1륜권第一輪圈의 체적體積) = 5.3136 제일륜第一輪 내內 지진地塵 체적體積의 비율比率
⒝ (제2륜권第二輪圈 내內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동권同圈의 체적體積) = 2.34393 제2륜권第二輪圈 내內 지진地塵 체적體積의 비율比率
⒞ 234432(제3륜권第三輪圈 내內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동권同圈의 체적體積) = 1.20958 제3륜권第三輪圈 내內 지진地塵 체적體積의 비율比率
⒟ 120384(제4륜권第四輪圈 내內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동권同圈의 체적體積) = 0.49077 제4륜권第四輪圈 내內 지진地塵 체적體積의 비율比率
⒠ 44532(제5륜권第五輪圈 내內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동권同圈의 체적體積) = 0.14804 제5륜권第五輪圈 내內 지진地塵 체적體積의 비율比率
⒡ 6336(제6륜권第六輪圈 내內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동권同圈의 체적體積) = 0.01763 제6륜권第六輪圈 내內 지진地塵 체적體積의 비율比率
⒢ (지륜계地輪界의 총總 지진地塵 체적體積) ÷ (지륜계地輪界의 총체적總體積) = 1 이와 같이 지륜계地輪界와 동일비율同一比率이 되나. 지성地性이 체體를 성成하여 차별差別의 륜층輪層이 생生함에 따라, 6개六個 륜층輪層이 평균平均 0.6에 가까운 과량過量의 숫자數字를 보임으로써 제2성第二性을 현現한다. 이러한 제2성第二性이 나타남이 성겁후成劫後의 주상住相으로서 이것이 자멸自滅함을 괴겁壞劫의 멸상滅相이라 운云한다. 그리고 공겁空劫에는 오로지 1이 된다.
⒣ ÷ (동권同圈의 체적體積) = 7.26728 성층권成層圈 내內 지진地塵 체적體積의 평균平均비율比率
⒤ (제2성층권第二成層圈 내內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동권同圈의 체적體積) = 6.80823 제2성층권第二成層圈 내內 지진地塵 체적體積의 평균平均 비율比率
⒥ 7.26728(성층권成層圈의 비율比率) - 6.80823(차급次級의 비율比率) = 0.45905 이것이 성층권成層圈 내외內外 밀도密度의 차差인데 숫자數字의 차差보다도 단체單體 유무有無가 중대重大한 차差이다.
42. 지륜계地輪界의 사대진四大塵과 냉열량冷熱量
⒜ (지구地球의 체적體積) × 8 = 지륜계地輪界의 총總 지진地塵 체적體積
⒝ (지륜계地輪界의 총總 지진地塵 체적體積) × = 수진水塵 계통系統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지륜계地輪界의 총總 지진地塵 체적體積) × = 화진火塵 계통系統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지륜계地輪界의 수진水塵 체적體積) ×7 × 3 = 동계同界 냉량冷量
⒠ (지륜계地輪界의 화진火塵 체적體積) ×49 × 5 = 76640256 동계同界 열량熱量
⒡ 76640256 (동계同界 열량熱量) - (동계同界 냉량冷量) = 지륜계地輪界의 우선右旋 풍진량風塵量
⒢ (지륜계地輪界의 총總 지진地塵체적體積) × 343(73) = 536481792 동계同界의 총總 지진량地塵量
⒣ 536481792(동계同界의 총總 지진량地塵量) × = 동계同界 수진水塵 계통系統의 지진량地塵量
⒤ 536481792(동계同界의 총總 지진량地塵量) × = 동계同界 화진火塵 계통系統의 지진량地塵量
43. 월月 하下 십계十界의 상거相距와 지구地球 목성木星 간間의 연락선連絡線
⒜ 36(지심地心에서 지면地面까지의 거리距離) × 2 = 72 지심地心에서 지륜계선地輪界線까지의 거리距離로서 지장심주地藏心珠의 반경半徑인 6의 12배倍다.
⒝ 72(지심地心에서 지륜계선地輪界線까지의 거리距離) + 10(47四七성수계星宿界와의 간격間隔 거리距離) = 82 지심地心에서 제1第一 4성계四星界의 내주內周까지의 거리距離
⒞ 82 + {36 ×3(제1第一 4성계四星界의 두께)} = 190 지심地心에서 제1第一 4성계四星界 외주外周까지의 거리距離
⒟ 190 + 5(간격거리間隔距離) = 195 지심地心에서 제2第二 4성계四星界 내주內周까지의 거리距離
⒠ 195 + 36 × 4 = 339 지심地心에서 제2第二 4성계四星界 외주外周까지의 거리距離
⒡ 339 + 5 = 344 지심地心에서 제3第三 4성계四星界 내주內周까지의 거리距離
⒢ 344 + 36 × 5 = 524 지심地心에서 제3第三 4성계四星界 외주外周까지의 거리距離
⒣ 524 + 5 = 529 지심地心에서 제4第四 4성계四星界 내주內周까지의 거리距離
⒤ 529 + 36 × 6 = 745 지심地心에서 제4第四 4성계四星界 외주外周까지의 거리距離
⒥ 745 + 5 = 750 지심地心에서 제5第五 4성계四星界 내주內周까지의 거리距離
⒦ 750 + 36 × 7 = 1002 지심地心에서 제5第五 4성계四星界 외주外周까지의 거리距離
⒧ 1002 + 5 = 1007 지심地心에서 제6第六 4성계四星界 내주內周까지의 거리距離
⒨ 1007 + 36 × 8 = 1295 지심地心에서 제6第六 4성계四星界 외주外周까지의 거리距離
⒩ 1295 + 5 = 1300 지심地心에서 제7第七 4성계四星界 내주內周까지의 거리距離
⒪ 1300 + 36 × 9 = 1624 지심地心에서 제7第七 4성계四星界 외주外周까지의 거리距離
⒫ 1624 + 10(8위八位 금성계金星界와의 간격間隔 거리距離) = 1634 지심地心에서 8위八位 금성계金星界 내주內周까지의 거리距離
⒬ 1634 + 36 × 10 = 1994 지심地心에서 8위八位 금성계金星界 외주外周까지의 거리距離
⒭ 1994 + 108(월구月區와의 간격間隔 거리距離) = 2102 지심地心에서 월면月面까지의 거리距離
⒮ 2102 + (월면月面 요처凹處의 최심처最深處) = 지심地心에서 월면月面의 최심처最深處까지의 거리距離
⒯ + (월면月面 심처深處에서 역점力點까지의 거리距離) = 지地의 중심中心에서 월月의 역점力點까지의 거리距離로서, 월月에 대對한 지구地球 인력引力의 촛점焦點이다.
⒰ + (월月의 역점力點에서 중심中心까지의 거리距離) = 2462 지地·월심月心 간間의 거리距離.
⒱ 2462 + 360(월月의 반고半高) = 2822 지심地心에서 월두月頭의 끝까지의 거리距離
⒲ 2822 + 720(월상月上 구호九皥의 거리距離에서 월月의 반고半高를 감減한 거리距離) = 3542 지심地心에서 월세계月世界의 외곽外廓 즉卽 목성구우木星區宇의 내주內周 변제邊際까지의 거리距離
44. 47四七 성수계星宿界의 질량質量
⒜ (지구地球의 체적體積으로서 제1第一 4성계四星界 일위一位의 토성土星 체적體積과 등等함) × 4 = 제1第一 4성四星의 체적體積
⒝ (제1성第一星의 체적體積) × 2 = 제2성第二星의 체적體積
⒞ (제2성第二星의 체적體積) × 4 = 제2第二 4개성四個星의 체적體積
⒟ × 3 = 제3성第三星의 체적體積
⒠ (제3성第三星의 체적體積) × 4 = 제3第三 4개성四個星의 체적體積
⒡ × 4 = 제4성第四星의 체적體積
⒢ × 4 = 제4第四 4개성四個星의 체적體積
⒣ × 5 = 제5성第五星의 체적體積
⒤ × 4 = 제5第五 4개성四個星의 체적體積
⒥ × 6 = 제6성第六星의 체적體積
⒦ × 4 = 제6第六 4개성四個星의 체적體積
⒧ × 7 = 1368576 제7성第七星의 체적體積으로서 지륜계地輪界의 윤회輪廻의 전지진全地塵 체적體積과 상등相等함
⒨ 1368576(제7성第七星의 체적體積) × 4 = 5474304 제7第七 4개성四個星의 체적體積
⒩ × 112 = 21897216 28수二十八宿의 전체적全體積
⒪ 21897216 × 7 = 153280512 28수二十八宿 륜계내輪界內의 지진地塵 체적體積
⒫ × 48 = 전全토성계土星界 유통流通 지진地塵 체적體積
⒬ 21897216(28수二十八宿의 전체적全體積) + 153280512(동성同星륜계내輪界內의 전지진全地塵 체적體積) + (유통流通 지진地塵이 체적體積) = 47四七 성수계星宿界의 전全 지진地塵 체적體積
45. 사칠四七 성수계星宿界 질량質量의 차별差別
⒜ (47四七 성수계星宿界의 전全 지진地塵 체적體積) × = 47四七 성수계星宿界의 수진水塵체적體積
⒝ (47四七 성수계星宿界의 전全 지진地塵 체적體積) × = 47四七 성수계星宿界의 화진火塵체적體積
⒞ × 7 = 동계同界 수진량水塵量
⒟ × 49 = 동계同界 화진량火塵量
⒠ × 3 = 동계同界 냉량冷量
⒡ × 5 = 9043550028 동계同界 열량熱量
⒢ 9043550028 - = 동계同界의 우선右旋 풍진량風塵量
⒣ × 343(73) = 63304851456 동계同界의 지진地塵 총량總量
⒤ 63304851456 × = 동계同界 수진水塵 계통系統의 지진량地塵量
⒥ 63304851456 × = 동계同界 화진火塵 계통系統의 지진량地塵量
'* 금강심론 > 태안사 금강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 화진세계와 월요 (0) | 2017.12.14 |
---|---|
제3 수진세계와 일구 (0) | 2017.12.13 |
제1 월요의 형태와 비량(2) (0) | 2017.12.09 |
1.월요의 형태와 비량(1) (0) | 2017.12.09 |
우주의 본질과 형량(목차) (0) | 2017.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