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교종敎宗을 닦는다면, 반드시 경전에 대한 원만한 해오解悟가 크게 열려야 하고, 만약 선종禪宗을 닦는다면 (화두를 깨치고 자성을 보는 등) 첩첩관문을 곧장 꿰뚫어야 한다. 그런 다음에야 비로소 도 닦는 것을 논할 수 있다. 그렇지 마소하면, 눈 먼 봉사가 문고리를 잡는 격이니, 담장에 부딪치고 벽에 머리 찧다가 마침내 구덩이에 떨어지고 늪에 빠지는 꼴을 면할 수 없다. 그러나 정토법문 하나만큼은 그렇지 않다. 여기서 십 만억 국토를 지나서 극락이 있고, 아미타불이라는 부처님이 현재 설법하고 계신다.
단지 그곳에 왕생하기를 발원하고 그 부처님 명호만 지송하면 된다. 이는 석가모니부처님께서 마음과 눈으로 친히 아시고 보신 경계로서, 보살이나 벽지불이나 성문의 삼승三乘 성현들이 지견知見으로 알 수 있는 바가 아니다. 우리는 단지 그곳에 왕생하길 발원하며, 부처님 명호만 지송하면 곧장 그곳에 왕생할 수 있다. 이는 곧 부처님의 지견을 우리 자신의 지견으로 삼는 것이며, 그 밖의 다른 지견知見이나 깨달음의 법문을 구할 필요가 없다.
다른 법문은 반드시 깨달은 뒤에 법에 따라 갈고 닦아 익히며 마음을 다잡아 선정禪定을 이루고, 선정으로 말미암아 지혜가 터지고, 지혜로 말미암아 미혹迷惑을 끊어야 한다. 터진 지혜에는 우열이 있게 마련이고, 끊은 미혹에도 깊이의 차이는 있는 법이니, 그런 것을 모두 따진 다음에야 바야흐로 후퇴할지 안 할지가 판가름 난다. 그러나 이 정토법문은 다만 믿음과 발원으로 부처님 명호만 지송하고 한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는 경지에만 이르면 된다. 또, 다른 법문은 먼저 현재의 업장을 깨끗이 참회하여야 하나, 정토 법문을 닦는 이는 업장을 지닌 채 왕생할 수 있고, 염불 한 번에 팔십 억겁 동안 태어나고 죽으면서 지은 중죄가 모두 소멸한다. 다른 법문은 번뇌를 죄다 끊어야 한다.
견혹見惑과 사혹思惑이 조금이라도 남아 있으면 육신의 윤회가 끝없이 이어지며, 성현과 범부중생이 함께 사는 동거국토를 결코 벗어나지 못한다. 오직 정토법문만이 가로로 삼계를 벗어나며, 번뇌를 죄다 끊지 않아도 여기 사바세계의 동거국토로부터 저기 극락정토의 동거국토로 왕생할 수 있다.
-철오선사
* 정공법사는 「‘업장참회’ 는 불법수행에 있어 관건(關鍵)이요, 중추(中樞)인 것입니다. 따라서 모든 수행법은 모두 업장참회로부터 시작됩니다. 그러나 이 업장을 끊기란 쉽지가 않습니다. 업장이 있으면 수행은 절대로 성취할 수 없습니다. 한량없고 끝이 없는 법문 가운데 오직 정토법문만이 특이합니다. 정토 법문에서는 설사 우리가 지중한 업장을 지었거나, 심지어 오역죄의 중죄를 지어 아비지옥에 떨어질 때까지 그 업장이 소멸되지 않았다 해도
진정으로 원을 세워 참회하고, ‘아미타불’을 염송하여 왕생 정토하기를 서원한다면, 업장이 소멸되어 바로 성불을 이루어 자신의 주인이 된다고 설합니다. 그런 까닭에 자운(慈雲)대사가, “아미타불, 이 한 구절이 모든 경문과 다라니가 소멸시키지 못한 업장을 소멸시킨다.” 고 한 것입니다. 이 말은 함부로 한 말이 아닙니다. 진실로 그러하기 때문에 무량수경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라고 하였다.
* 원영대사는 「요즘 세상 사람들은 모두 선종을 가장 뛰어난 수행법으로 받들고 있다. 선종은 돈교(頓敎)의 법문으로 문득 생사에서 벗어나지 않고 문득 깨달음의 경지에 오르는 것이다. 이 말 또한 틀리지 않다. 그러나 지혜가 날카로운 상근기라야 한 생에 불도(佛道)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 인광대사는 「선종은 깨달음을 얻는 것을 일로 삼고, 정종(淨宗 : 정토종)은 극락에 왕생함을 일로 삼소. 깨달음을 얻어도 극락에 왕생하지 못한 자는 백(百)에 구십(九十)이나 되지만, 극락에 왕생한 사람 중에서 깨다음을 얻지 못하는 사람은 만 명 중에 하나도 없다오.」 라고 하였다.
* 청화스님은 「깨달음은 해오(解悟)와 증오(證悟)가 있습니다. 해오란, 이론적으로 체(體)와 용(用)과 성(性)과 상(相)을 다 안다는 것이고, 증오는 염불을 하든 화두를 들든 마음을 오직 하나로 모아서 다른 생각 없이 부처님의 정견(正見)에 이른 것을 말합니다. 삼매에 들어서 증명이 되어야 증오입니다. 이에 이르러야 도인(道人)이고 성인이며 이치로 아는 것은 도인이 못된 현자(賢者)일 뿐입니다.」 라고 하였다.
* 지견(知見) : 지견이란 모든 사물의 참된 성질을 구명(究明)해서 아는 것이다. 제법실상(諸法實相)의 진리를 남김없이 깨달아 비추어보는 부처님의 지혜를 불지견(佛知見)이라 한다. 천태종에 삼제설(三諦說)이 있다. 삼제란 공제(空諦) ‧ 가제(假諦) ‧ 중제(中諦)를 말한다. 공제란 진리의 측면에서 보면 이 세상은 인연을 따라 생겨난 것이므로 공(空)이라고 보는 것이고, 가제란 이 세상의 고정불변한 듯한 모든 것이 실제는 헛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며, 중제는 제법(諸法)의 실상을 공(空)이나 가(假)의 일면으로 관찰할 것이 아니라 중도(中道)의 입장에서 진리를 관찰하는 것이다.
* 《법화경》에 「모든 부처님이 세간(世間)에 출현하시는 까닭은 중생으로 하여금 불지견(佛知見)을 깨닫게 하기 위함이니라.」 라는 말씀이 있다.
* 철오선사는 「오직 믿음은 깊은 것이 중요하고, 발원은 간절한 것이 중요하며, 명호를 부를 때에는 마음을 한 곳에 모으고 부지런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말로 깊은 믿음과 간절한 발원으로 마음을 집중하여 부지런히 부처님 명호를 부른다면, 바로 이것이 불지견(佛知見)으로 우리 지견을 삼는 것이며, 또한 바로 이것이 생각 생각마다 불지견으로 중생의 지견을 다스리는 것이 된다.」 라고 하였다.
* 철오선사는 「‘나’가 없어[無我] 신령스러운 것이 부처님의 지견이요, ‘나[我]’가 있어 몽매(蒙昧)한 것이 중생의 지견이다. 중생과 부처님의 지견(知見)은 다를 게 없지만, 단지 허망한 ‘나’ 하나가 끼어든 것이 다를 뿐이다. 무릇 큰 미혹의 근본은 ‘나’에 있으며, 나 가운데 가장 애착하는 대상은 몸보다 더한 게 없다. 진실로 신견(身見)이 사라지지 않고, 나에 대한 집착이 부서지지 않는다면, 생사윤회가 어찌 저절로 멈출 수 있겠는가.」 라고 하였다.
* 신견(신견)/ 변견(변견)/ 사견(사견)/ 견취견(견취견)/ 계금취견(계금취견)/ 탐(탐)/ 진(진)/ 치(치)/ 만(만)/ 의(의)를 열 가지 번뇌(미혹) 즉, 십사(十使)라고 하는데, 철오선사는 「이 열 가지 미혹을 총칭하여 중생의 지견이라고 한다.」 라고 하였다.
'염불수행자료 > 염불수행대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정토법문(119) (0) | 2017.06.08 |
---|---|
6.정토법문(118) (0) | 2017.06.04 |
6. 정토법문(116) (0) | 2017.05.18 |
6. 정토법문(115) (0) | 2017.05.11 |
6. 정토법문(114) (0) | 2017.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