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청화 큰스님 서적/4. 금강심론

제4장 석존일대의 경개

第 四 章  釋尊 一代의 梗槪(석존 일대의 경개)


第一節  룸비니 園(원)에서 誕生(탄생)하심


  印度國(인도국) 가비라성城(성)에 룸비니 園(원)이라는 別宮(별궁)이 있었는데 園(원)에는 蓮溏(연당)이 있어 白蓮(백련)과 靑蓮(청련)이 交香(교향)하여 널리 芳香(방향)하니 花間(화간)에는 淨美(정미)한 白禽(백금)이 來舞(내무)하여 淸興(청흥)을 發(발)하고 香岡(향강)에는 無憂樹花(무우수화)가 滿開(만개)하야 豊富(풍부)한 花房(화방)을 垂(수)할새 樹間(수간)을 飛翔(비상)하는 奇禽(기금)의 異聲(이성)이 浪藉(낭자)한 中(중)에 淸趣幽雅(청취유아)한 內苑(내원)에서 侍女衆(시녀중)의 看護(간호)를 받으며 一步(일보) 二步(이보)를 愼重(신중)히 옮기시는 貴婦人(귀부인)이 나투시니 곧 가비라 城(성)의 淨飯王后(정반왕후)이신 마야夫人(부인)으로서 王子(왕자)의 誕生(탄생)이 迫近(박근)하신 重身(중신)을 安保(안보)하시기 爲(위)하사 이 宮(궁)에서 靜養(정양)하시니라

  却說(각설) 天地(천지)에 芳香(방향)이 馥郁(복욱)한 今春(금춘) 四月(사월) 八日(팔일)의 慶事(경사)로다 天氣(천기)가 隱和(은화)한 이 룸비니園(원)에 不可思議(불가사의)한 瑞光(서광)이 照應(조응)함에 따라 異香(이향)이 遠聞(원문)하는지라 雪山(설산)(히말라야 山)에서 閒寂(한적)히 冥想(명상)의 生活(생활)을 계속하던 아사다 仙人(선인)은 如斯(여사)히 奇瑞(기서)가 間有(간유)함에 驚異(경이)하는 同時(동시)에 반다시 聖太子誕生(성태자탄생)의 兆朕(조짐)인 줄 心點(심점)하고 仙弟(선제) 나라다를 帶同(대동)하야 王宮(왕궁)에 來訪(내방)하니 果然(과연)이라 太子(태자)이신 悉達多(실달다)는 이제 出世(출세)하셨도다

  仙人(선인)은 仰日(앙일)의 炯顔(형안)이신 太子(태자)의 聖相(성상)을 보고는 含淚(함루)하여 王(왕)께 告(고)하되 太子(태자)게서 王位(왕위)에 오르시면 全世界(전세계)를 統治(통치)하실 聖主(성주)가 되실 터이나 太子(태자)께서는 반다시 出家(출가)하사 成佛(성불)하신 후 廣度衆生(광도중생)하실 것임을 言上(언상)하면서 自己(자기)는 年老(연노)하야 이렇듯 거룩하신 尊敎(존교)를 奉聞(봉문)할 수 없음을 悲感(비감)하니라

  其(기) 後(후) 太子(태자)께서는 仙人(선인)의 豫言(예언)과 같이 世間(세간)의 太陽(태양)으로 出興(출흥)하사 全世界(전세계)를 照了(조료)하시니 滅後(멸후) 二千五百餘年(이천오백여년)의 歲月(세월)이 지난 今日(금일)에도 오히려 崇仰(숭앙)하야 맞이 않는 三界(삼계)의 導師(도사)이신 釋迦牟尼佛(석가모니불)이 되셨으니 每年(매년) 四月(사월) 八日(파일)에는 世界(세계)를 通(통)하야 太子(태자)의 誕生(탄생)을 祝賀(축하)하느니라

  特(특)히 我邦(아방)에서는 觀燈會(관등회)라 이름하야 家家(가가)에 八角(팔각)의 燈籠(등롱)을 달고 永久(영구) 不滅(불멸)을 象徵(상징)하는 光明(광명)을 仰見(앙견)하면서 聖誕(성탄)을 祝賀(축하)함이 恒例(항례)가 되었느니라


第二節  道(도)를 求(구)하사 仙林(선림)에 入(입)하심


  誕生(탄생)하신 지 七日(칠일)만에 母后(모후) 마야夫人(부인)이 入寂(입적)하시니 姨母(이모) 바사바제가 代育(대육)하신 바 太子(태자)께서는 天資(천자) 聰明(총명)하사 成長(성장)하신 지 七歲(칠세)에 言語(언어)를 能通(능통)하실 뿐 않이라 算術(산술) 天文(천문) 弓術(궁술) 또는 馬術(마술)을 各其(각기) 優師(우사)에게서 受學(수학)하시되 때때로 人不及(인불급)의 質問(질문)에는 師授(사수)로도 勘當(감당)하지 못하였느니라

  父王(부왕)께서는 太子(태자)의 聰明(총명)을 기뻐하면서도 일찍이 아사다 仙人(선인)의 觀相說(관상설)이 憶想(억상)될 때에는 將來(장래)를 念慮(염려)하사 種種(종종)의 對策(대책)을 講究(강구)하시나니 美(미)와 才德(재덕)을 兼備(겸비)한 야수다라王女(왕녀)를 納妃(납비)하야 華麗(화려)한 殿堂(전당)에 住(주)하시게 하는 한편 國政(국정) 干涉(간섭)을 許與(허여)하야 出家心(출가심)을 抑制(억제)하고자 했다

  그러나 太子(태자)는 城外(성외)에 出遊(출유)하실 때마다 혹은 老衰屈腰(노쇠굴요)의 人(인) 혹은 病苦難堪(병고난감)의 人(인) 혹은 葬送(장송)의 死人(사인)을 目睹(목도)하신 印象(인상)이 湮滅(인멸)하지 않고 人皆老(인개노) 人皆病(인개병) 人皆死(인개사)라 이를 免(면)할 수가 없을까 하는 痛感(통감)이 深化(심화)함에 따라 마음이 鬱鬱(울울)하신 그대로 歸宮(귀궁)하심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其(기) 後(후) 또 다시 城門(성문)을 나갔을 때 路上(노상)에서 一人(일인)의 修道行者(수도행자)를 보시고 그의 非凡(비범)함에 感心(감심)하사 出家(출가)의 理由(이유)를 물으시니 老病死(노병사)를 免(면)한 自由(자유)를 얻을 수 있고 慈悲心(자비심)을 일으켜 生類(생류)를 救(구)한다는 答(답)이 儼然(엄연)함에 太子(태자)께서는 深感(심감)하여 心言(심언)하사되 이에 人間(인간)의 眞實(진실)한 道(도)가 있다고 自信(자신)하시고 宮中(궁중)에 喜歸(희귀)하시니 王孫(왕손)인 라후라의 生慶(생경)이 있어 殿中(전중)의 喜風(희풍)이 溢庭(일정)하는지라 世嗣(세사)를 얻으신 太子(태자)께서는 出家(출가)의 決心(결심)이 더욱 堅固(견고)하시니라

  때는 마츰 初夏(초하)의 月夜(월야)였다 出家(출가)의 時節(시절)은 正(정)히 只今(지금)이라 생각하시고 安眠(안면)하는 라우라와 야수다라妃(비)를 남기시고 홀로 愛馬(애마) 건척을 旅笻(여공)삼아 疾風(질풍)과 같이 城門(성문)을 나가시어 雪山(설산)을 向(향)하실 따름이었다 太子(태자)는 途中(도중)에서 下馬(하마)하시고 착용하신 衣冠(의관)은 父王(부왕)과 妃(비)에 對(대)한 信標(신표)로 御者(어자) 차익에게 벗어 주시고 自手(자수)로 削髮(삭발)하신 후 仙人(선인)들이 多留(다유)하는 森林(삼림) 內(내)의 諸(제) 學者(학자)들을 歷訪(역방)하사 學道(학도)에 努力(노력)하시니라


第三節  正覺(정각)을 大成(대성)함


  太子(태자)께서는 雪山(설산)의 山麓(산록)과 우루빈라林(림)에서 六年間(육년간)이나 難行苦行(난행고행)을 體驗(체험)하시면서 오직 一心(일심)으로 道(도)를 求(구)하셨다

  그로 因(인)하여 色身(색신)이 瘦衰(수쇠)하고 眼深骨露(안심골로)가 그 極(극)에 達(달)하여 人(인)의 一見(일견)에 垂淚(수루)를 禁(금)할 수 없을 地境(지경)이었다 그러나 아직도 覺(각)의 光明(광명)은 나투지 않았다

  어느 날 近村(근촌)의 處女(처녀)가

  「줄(絃 현)이 너무 팽팽하면 끊어지고

                줄이 너무 느슨하면 안 울린다」

  라고 노래하는 소리를 들으셨다 太子(태자)께서는 「아! 그렇다 나는 光明(광명)의 世界(세계)를 求(구)하고자 먼저 五慾(오욕)의 家(가)를 捨離(사리)하야 仙林(선림)에 入(입)하였다 그러나 煩惱(번뇌)는 아직도 斷盡(단진)하지 못한 채 求道(구도)의 決心(결심)만은 不斷(부단)히 계속되지만 色身(색신)의 苦惱(고뇌)가 그 極(극)에 達(달)함에 따라 心絃(심현)이 斷絶(단절)될 地境(지경)이다 이래서야 眞實(진실)한 道(도)를 求(구)할 수가 없다 五慾(오욕)에 捕捉(포착)된 享樂(향락)의 生活(생활)도 理體(리체)에 不當(부당)하려니와 이렇게 自强(자강)하야 色身(색신)을 損(손)하고 精神(정신)을 괴롭히는 極端(극단)한 苦行(고행)도 理體(리체)에 不當(부당)하다 迷(미)를 떠나고 覺(각)에 進(진)하는 道(도)는 二(이)의 極端(극단 : 享樂과 苦行)이 아닌 中道(중도)라야 된다」고 思惟(사유)하시고 「이제는 다만 色身(색신)을 早養(조양)하고 心身(심신)을 靜穩(정온)히 하야 中道(중도)를 發見(발견)할 만한 實眼(실안)을 開(개)할 따름이라」生覺(생각)하셨다

  그리하야 太子(태자)께서는 먼저 尼連禪河(니련선하)에 入(입)하사 色身(색신)부터 淸洗(청세)하시고 須闍多少女(수자다소녀)가 捧上(봉상)하는 乳糜(유미)를 受(수)하사 元氣(원기)를 回復(회복)하신 後(후) 부다가야의 大菩提樹下(대보리수하)에 수바사제少年(소년)이 捧上(봉상)하는 吉祥草(길상초)를 敷座(부좌)하시고 「내 萬一(만일) 覺(각)을 얻지 못하는 限(한)에는 斷然(단연)코 此座(차좌)를 不起(불기)하리라」自誓(자서)하사 一心正念(일심정념)으로 凝心靜慮(응심정려)하셨다

  이것을 본 欲界(욕계)의 大魔王(대마왕)은 이제야 말로 魔界(마계)에 큰 危機(위기)가 왔으니 끝까지 太子(태자)의 成道(성도)를 妨害(방해)해야 한다고 벼르며 먼저 三人(삼인)의 魔女(마녀)를 보내어 太子(태자)의 마음을 迷亂(미란)케 하였으나 太子(태자)는 心少不動(심소부동)이라 驚愕(경악)한 魔王(마왕)은 雷電風雨(뇌전풍우)로써 大地(대지)를 搖動(요동)하며 一億八千(일억팔천)의 軍勢(군세)를 叱咤(질타)하야 前後(전후) 左右(좌우)에서 突進(돌진)하면서 接近(접근)하되 이미 覺(각)의 座(좌)는 微動(미동)을 發見(발견)할 수 없는지라 하릴없이 座(좌)를 中心(중심)하야 光輪(광륜)의 漸增(점증)으로써 輝煌(휘황)케 할 따름이었다

  모든 邪魔(사마)를 克服(극복)하시고 마음의 平和(평화)를 保持(보지)하신 太子(태자)의 마음에는 夜闇(야암)이 曉光(효광)에 代(대)함과 같이 迷雲(미운)이 奇麗(기려)하게 捲晴(권청)하고 慧光(혜광)이 朗然(낭연)히 照了(조료)하였다 그리하야 먼저 自己(자기)의 前世(전세)를 알으시고 나아가 一切生類(일체생류)의 生滅相(생멸상)을 周知(주지)하심에 따라 迷(미)의 根源(근원)과 惑(혹)의 斷除(단제)하는 方途(방도)를 大悟(대오)하사 光明(광명)이 輝曜(휘요)하는 大覺位(대각위)에 오르시고 圓淨(원정)하신 智慧(지혜)와 圓滿(원만)하신 慈悲(자비)를 具足(구족)하신 無上尊(무상존)의 佛陀(불타) 곧 釋迦牟尼佛(석가모니불)이 되셨나니라 그 때 釋尊(석존)의 寶齡(보령)이 滿三十歲(만삼십세 三十五歲說도 傳함)에 當(당)하신 十二月八日(십이월팔일) 曉晨(효신)의 事實(사실)이었다 現在(현재) 慶州(경주) 石窟庵(석굴암)에 奉安(봉안)한 新羅時代(신라시대)의 大石像(대석상)은 實(실)로 此晨(차신)의 聖姿(성자)시니라


第四節  五十年 敎化의 行脚(오십년 교화의 행각)


  釋尊(석존)께서는 數日間(수일간) 스스로 開明(개명)하신 大覺悟(대각오)의 歡喜(환희)를 自樂(자락)하시면서 어떻게 하면 이러한 道(도)를 傳(전)하야 迷惑(미혹)의 懊惱(오뇌)로 受苦(수고)하는 衆生(중생)을 濟度(제도)할까 하는 慈悲心(자비심)이 불길 같이 타오르셨다 그래서 다시 五週間(오주간)이나 菩提樹下(보리수하)에 그대로 앉아 계시며 이제 얻은 바 이 道(도)를 어떻게 說(설)하여야 衆生(중생)들이 解得(해득)할까 또는 이를 此世(차세)에 實行(실행)케 함에는 어이해야 될까 深思熟考(심사숙고)하시다가 畢竟(필경) 正覺(정각)하신 寶座(보좌)에서 뜨시사 敎化行脚(교화행각)을 始作(시작)하셨다

  劈頭(벽두)에 먼저 苦行(고행)의 同侔(동모)였던 五比丘(오비구)를를 베나레스의 郊外(교외)에 往訪(왕방)하사 「衆生(중생)은 밥을 爲(위)하야 業(업)을 作(작)하면서 老․病(노․병)의 苦(고)와 싸우다가 死厄(사액)이 當前(당전)할 뿐이다 그것은 歷劫(역겁)의 集因(집인)이 輪轉(윤전)하는 業力(업력) 때문이니 苦果(고과)의 集因(집인)인 迷惑(미혹)을 끊어 衆生(중생)의 四苦(사고 : 生老病死)를 離(이)한 自性佛(자성불)에 歸依(귀의)할지라 證理(증리)를 目的(목적)하고 斷惑(단혹)에 努力(노력)하는 것이 涅槃(열반)에 達(달)하는 道(도)니라」고 敎訓(교훈)하셨다

  이를 聽受(청수)한 五人(오인)은 仙人(선인)의 行法(행법)을 卽時(즉시)에 捨離(사리)하고 佛道(불도)에 入(입)하니 베나레스商人(상인)의 子(자) 야사야도 出家(출가)함에 따라 그 父母(부모)와 愛妻(애처)와 友人(우인) 五十四人(오십사인)도 同入信仰(동입신앙)하였나니라

  그리고 우루빈라村(촌)에 있는 迦葉波(가섭파) 三兄弟(삼형제)와 아울너 그의 千人(천인) 弟子(제자)도 敎化(교화)하시고 王舍城(왕사성)에서 마갈타國王(국왕)을 위하야 說法(설법)하시는 한편 舍利佛(사리불)과 目犍連(목건련) 等(등)을 化導(화도)하시며 다시 故鄕(고향)인 가비라바소도에 歸鄕(귀향)하사 父王(부왕)을 爲始(위시)하야 그 一族(일족)을 敎化(교화)하실새 妃(비) 야수다라와 子(자) 라후라와 姨弟(이제) 난타와 從弟(종제) 아난 等(등)도 다 弟子(제자)가 되었나니라

  그리하야 貴族(귀족)이나 賤民(천민)이나 沙門(사문)이나 惡漢(악한)이나 또는 學者(학자)나 農民(농민)이나 商人(상인)이나가 그 階級(계급)과 職業(직업)과 男女(남녀)의 差別(차별)이 없이 다 平等(평등)으로 同一敎訓(동일교훈)에 薰陶(훈도)되어 無上(무상)의 道(도)에 들었나니라

  釋尊(석존)께서는 每年(매년) 夏節(하절)의 長霖期(장림기)에는 一處所(일처소)에 弟子(제자)들을 會集(회집)하사 道(도)를 專修(전수)케 하시다가 過期解制(과기해제)하면 諸方(제방)에 遊行(유행)하야 敎勅(교칙)을 廣布(광포)하는 바 到處(도처)에 國王(국왕) 大臣(대신)으로부터 貧婦(빈부) 乞人(걸인)에 이르기까지 모두 다투어 歡迎(환영)할 뿐 아니라 精舍(정사)를 提供(제공)하고 衣食(의식)을 獻供(헌공)하면서 請敎願聞(청교원문)할새 驕者(교자)는 遜讓(손양)하고 悲者(비자)는 慰安(위안)하고 惱者(뇌자)는 得穩(득은)하며 狂者(광자)는 蘇醒(소성)하니 奉敎一聞(봉교일문)한 者(자)는 不死(불사)의 甘露(감로)를 得飮(득음)함 같이 新生命(신생명)을 蒙惠(몽혜)하야 永生(영생)의 涅槃(열반)에 向(향)케 되었나니라

  그리하야 戰國(전국)이 平和(평화)하고 不言(불언) 禽獸(금수)도 相愛(상애)하도다 이와 같이 傳道(전도)에 專心(전심)하사 最後(최후)의 一刻(일각)에 이르기까지 傳敎(전교) 아니심이 없었나니라


第五節  追想(추상)


  釋尊(석존)께서는 스스로 昏衢(혼구)의 燈燭(등촉)이 되셨으니 이제 回想(회상)하면 實(실)로 釋尊(석존)의 一生(일생)은 自心中(자심중)의 明淨(명정)하신 燈火(등화)를 大慈大悲(대자대비)하신 佛心(불심)으로써 世間(세간)의 人人(인인)에게 分與(분여)하셨나니 아니 只今(지금)도 오히려 行化(행화)하심이 分明(분명)하니라

  그래서 釋尊(석존)의 敎訓(교훈)을 信受奉行(신수봉행)하는 사람들이 이 智慧(지혜)의 燈火(등화)를 奉戴(봉대)하야 나날이 受用(수용)하는 바 「내 不死(불사)의 道(도)를 說(설)하리라」하심은 實(실)로 사람마다의 燈心(등심)에 點火(점화)하심이니라

  釋尊(석존)의 化身(화신)은 滅(멸)하신 지 이미 二千五百餘年(이천오백여년)의 歲月(세월)이 흘렀으나 釋尊(석존)의 智法身(지법신) 곧 永遠(영원)히 不滅(불멸)하는 그 智慧(지혜)의 燈火(등화)는 間斷(간단) 없이 傳(전)하고 傳(전)하여 더욱 더욱 無數(무수)한 人人心中(인인심중)에 輝曜(휘요)할새 이 光明(광명) 中(중)에서 우리는 釋尊(석존)의 尊且大(존차대)한 慈悲(자비)의 容姿(용자)를 拜察(배찰)하는 同時(동시)에 우리의 生命(생명)을 一切(일체) 有情(유정)의 生命(생명)과 大和(대화)한 中(중)에서 永生(영생)의 恩澤(은택)을 입는 바이다


                     丙戌 僧臘日(병술 승납일)

                       於 雲門庵 碧山閒人 撰譯(어 운문암 벽산한인 찬역)

'2.청화 큰스님 서적 > 4. 금강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장 현기  (0) 2008.12.24
제5장 호법단 4차 성명서  (0) 2008.12.24
제5절 문서왕래  (0) 2008.12.23
제4절 기수묘게  (0) 2008.12.23
제3절 관음자륜  (0) 2008.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