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그 사상. 1. 눈 있는 이는 보라
"위대하셔라 대덕(大德 ; 지혜와 덕망이 높은 중. 본래 봇다를 일
컫던 말이나, 후세에서는 일반 승려의 존칭으로 쓰였다.)이시여, 위
대하셔라 대덕이시여. 이를테면 넘어진 것을 일으키심과 같이, 덮인
것을 나타내심과 같이, 헤매는 이에게 길을 가르치심과 같이, 또는
어둠 속에 등불을 가지고 와서 눈 있는이는 보라고 말씀하심과 같이,
이처럼 세존께서는 온갖 방편을 세우시어 법을 설하여 밝히셨나이다.
저는 이제 세존에 대해 귀의 하옵나이다. 또 그 법(가르침)과 승
가(僧伽 ; 불교의 교단. 의역하면 '중(衆))에 대해 귀의 하옵나이다.
원컨대 오늘날로부터 시작하여 목숨을 마칠 때까지, 세존께 귀의 하
옵는 신자로서 저를 받아들여 주시옵기 바라나이다."
([相鷹部經典] 42:6 西地人. 漢譯同本, [中阿含經] 17 伽彌尼經)
상응부경전 사지인 한역동본 중아함경 가미니경
이런 대문이 아함부 경전의 도처에서 보인다. 그것은 대개 붓다의
가르침을 듣고 귀의하게 된 사람들이 이른바 우파사카(優婆塞, upa-
saka ; 재가 신자인 남자.)로서 그 신앙을 고백하는 말이다. 그것은 언
제나 거의 같은 형식이므로, 어느 시기부터인가 귀의하는 신앙 고백 형
태가 유형화되었던 것 같다. 그것을 여기에 인용한 것은 그것을 통해
붓다의 사상,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 설법의 성격을 잘 이해할 수 있
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미 말한 바와 같이 최초의 설법만 제외하고는 45년에 걸친 붓다의
설법은 모두가 대기 설법이었다고 한다. 문제와 사람과 장소와 때에따
라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가르쳤던 까닭이다.
어떤 때는 제자들과 함께 갠지스 강의 기슭에 서서 소떼를 이끌고 물
을 건너가는 목동을 가리키면서, 현실의 이쪽 언덕(此岸)으로부터 이상
의 저쪽 언덕(彼岸)에 이르기 위한 방법에 대해 말씀한 적도 있다. '차
안, 피안'의 개념은 이렇게 하여 성립하였던 것이다.
또 하루는 물건을 훔쳐 도망친 여자를 찾고 있는 젊은이들을 만나,
"도망친 여인을 찾는 것과 잃어버린 자기를 찾는 일은 어느 쪽이
더 소중하냐?"
고 말을 건 적도 있다. 그 말을 들은 젊은이들은 그만 그 자리에 주저
앉고 말아, 붓다의 가르침을 받드는 비구가 되었다.
또 이런 일도 있었다. 어느 날 새로 입문한 제자들을 이끌고 가야시
사(象頭山)에 올라간 붓다는 일망 무제하게 펼쳐진 세상의 풍경을 가리
키면서,
"보라, 모든 것은 타고 있다."
고 설했다. 그들은 불을 예배하는 이른바 사화 외도(事火外道)에서 불
교로 개종한 사람들이었으므로 "모든 것은 타고 있다."고 말씀했던 것
이다. "그러므로 그것을 꺼야 한다."는 말이 그들에게 깊은 감동을 줄
수가 있었다. '불이 꺼진 상태' 즉 열반이 영원한 평화의 경지를 가리
키는 불교 용어가 된 것은 이 때문이다.
하루는 브라만(婆蘿門) 한 명이 나타나서 갖은 욕설을 퍼부은 적이
있다. 그러나 붓다는 침착하게 말했다.
"브라만이여, 그대가 내주는 음식을 손님이 안 먹는다면 그 음식은
누구의 것이 되겠는가?"
그것은 물론 주인의 것이 될 수밖에 없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욕설
또한 자기에게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임기 웅변! 자유 자재! 붓다의 대기 설법이란 바로 이런 것이었다.
하지만 그런 중에서도 붓다의 이야기에는 언제나 그것들을 일관하는 뚜
렷한 성격이 있었다. 입신자들의 고백문이 그것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
처럼 생각된다.
"넘어진 것을 일으키심과 같이"라는 말은 전도(顚倒)한 것을 바로잡
는다는 뜻이다. '전도'란 어떤 판단을 할 때 순서가 엇바뀌고 진상을
오해하는 일이다. 작은 것을 크다고 하는 것도 그것이다. 추한 것을 아
름답다고 여기는 것도 그것이다. 변화하는 것을 불변, 영원한 듯이 아
는 태도도 그것이다.
후세의 불교인들은 '사전도'라는 말을 썼는데 이는 상(常), 낙(樂),
정(淨), 아(我)의 전도를 말한다. 첫째 상(常)전도는 이 무상한 세상이
나 사람을 영원한 듯이 생각하는 일이며, 둘째 낙(樂)전도는 이 괴로운
인생을 즐겁다고 여기는 일이다. 셋째 정(淨)전도는 이부정한 것을 깨
끗하다고 잘못 아는 일이며, 넷째 아(我)전도는 이 무아인 존재를 내
것이라고 착각하는 일이다.
이런 착각을 없애고 그릇된 생각을 바로잡는 것이 붓다의 가르침의
중요한 일면이었다. "넘어진 것을 일으키심과 같이"라는 말에는 이런뜻
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안다.
"덮인 것을 나타내심과 같이"는 앞에서도 언급한 불교의 진리관을 표
현한 말이다. 어떤 경에서 붓다는 이런 비유를 설한 적이 있다.
"여기 통 안에 물이 있다 하자. 그 물이 불에 데워져 부글부글 끓
고 있다든지, 또는 이끼나 풀로 덮여 있다든지, 바람이 쳐서 물결이
일고 있다든지 한다면, 그 통 안의 물은 사물의 모습을 여실히 비칠
수 있겠는가?"
물론 비칠 수 없다고 대답하여야 한다. 여기서 붓다는 만약 우리의
마음이 탐욕이나 노여움으로 뒤덮여 있을 경우에는 여실히 대상을 지견
(知見)할 수 없지 않느냐고 대답을 유도해 갔다.
이렇게 '여실 지견'을 방해하는 것을 불교에서는 복(覆)이라고 한다.
그런 것이 제거되고 맑은 마음으로 객관을 대할 때, 일체의 존재는 그
진상을 드러낸다. 이것이 불교의 진리관이다. 그렇다면 "덮인 것을 나
타내심과 같이"라는 말은 이런 여실 지견으로 이끌고 가려는 의도임을
알 수 있다.
"헤매는 이에게 길을 가르쳐 주심과 같이"라는 말은 현대식으로 표현
한다면 합리주의를 주장한 것이라고나 해야 할까? 그러나 합리주의라는
말 자체가 매우 애매한 점이 있다. 논리에 맞으면 그것으로 끝난다는
것인가, 결과가 그렇게 되는 것을 가지고 합리라고 보는 것인가? 붓다
가 취한 태도는 아무래도 후자에 속하는 것 같다. 최초의 설법에서도
이런 붓다의 태도는 이미 나타나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 하나는
두 가지 극단, 즉 쾌락주의와 고행주의를 비판한 말 속에 나온 "무익하
다"라는 말씀이 그것이다. 또 하나는 그것들을 비판한 다음 중도(中道)
를 주장하면서 "적정, 증지, 등각, 열반에 이바지한다"고 말한것이 그
것이다. 나는 여기에서 붓다의 실용주의(Pragmatism)를 발견하는 것이
다.
붓다가 고행을 포기한 이유에 대해 한 경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를테면 물 속에 잠겨 있는 젖은 나무를 보고, 좋은 찬목(鑽
木 ; 마찰하여 불을 일으키는 나무.)을 가지고 와서 '내가 불을 일
으키리라, 빛을 내게 하리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中部經典』 36 薩遮迦大經)
중부경전 살차가대경
젖은 나무라면 아무리 마찰시켜도 불이 생겨나지는 않는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아무리 고행을 해 보았자 그것으로는 깨닫지 못한다. 이것
이 고행을 포기하게 된 붓다의 합리주의적인 생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합리주의적인 정신이야말로 붓다의 생애를 일관했던 것임
을 잊어서는 안되겠다.
나는 이 장의 첫머리에 소개한 대문을 [상응부 경전] 42:6 '서지인'
이라는 제목의 경에서 인용했던 것이지만, 그 경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붓다의 교화 태도도 전해 주고 있다.
그것은 붓다가 나란다 마을의 파바리캄바라는 숲 속에 머물렀던 때의
일이다. 이웃 마을의 촌장인 안반다카푸타(刀師子)라는 사람이 찾아왔
다. 아마도 그는 붓다의 명성을 듣고 있었던 모양이어서, 우선 이런 것
을 물었다.
"대덕이시여, 서쪽에서 온 브라만들은 물병을 높이 처들든지, 화환
을 달든지, 물에 들어가 목욕하든지, 화신(火神)에게 공양을 드리든
지 함으로써, 죽은 사람을 천상에 태어나게 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
습니다만, 대덕께서도 역시 그런 일을 하실 수 있습니까?"
지금도 종교에서 신비를 찾으려는 사람들이 있거니와, 그도 그런의식
에 사로잡혀 있었던 것 같다. 붓다는 바로 대답하는 대신 이렇게 반문
했다.
"그러면 촌장에게 내가 한 가지 물을 것이 있다. 생각나는 대로 대
답해 보라. 어떤 사람이 깊은 호수에 바위를 던졌다 하자. 그때 여러
사람들이 몰려와서 '바위야, 떠올라라. 바위야 떠올라라.' 하며 기도
했다고 하면 어찌 되겠는가. 그 바위는 기도의 힘으로 떠오르겠는
가?"
이런 질문을 받는다면 누구나 아니라고 할 수밖에는 없으리라. 여기
서 붓다는 다시 물었다.
"그렇다면 촌장이여, 이것을 그대는 이찌 생각하는가? 여기에 남을
죽이고, 도둑질을 하고, 거짓말을 하는 따위 온갖 나쁜 짓을 한 사람
이 있다 치자. 그 사람이 죽었을 때 여러 사람이 몰려와서 '이 사람
이 천상에 태어나게 해 주십소서.' 하며 합장하고 기도했다면 어떻겠
는가. 그는 그 기도에 의해 천상 세계에 태어나게 되겠는가?"
이 문제에 대해서도 촌장은 아니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렇게 대답하고 있는 동안에 어느 사이엔지 그를 가리고 있던 낡은 의
식이 벗겨져 나가고, 그의 마음에는 한 가닥의 광명이 비쳐 왔던 모양
이다. 그래서 그는 이 장의 첫머리에 인용한 말을 하면서 재가 신자가
될 것을 맹세했다는 것으로 이 경은 끝나고 있다.
"어둠 속에 등불을 가지고 와서 눈 있는 이는 보라고 말씀하심과 같
이"라는 말은 이런 사실을 가리킨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해서는 더 말
해 두어야 할 것이 남아 있다.그것을 다음 장에서 서술 해 보고자한다.
'필독!초기경전 > 1. 아함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그 사상. 3. 내재하는 방해물 (0) | 2009.08.01 |
---|---|
2. 그 사상. 2. 현실적으로 증험(證驗)되는 것 (0) | 2009.07.26 |
1. 그사람. 7. 전도(傳道) (0) | 2009.07.03 |
1. 그사람. 6. 전도(傳道) (0) | 2009.06.27 |
1. 그사람. 5. 네 가지 진리 (0) | 2009.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