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강심론/본연스님의 금강심론 읽기

[스크랩] 제2장 보리방편문

    제2장 第二章 보리방편문 菩提1)方便門2)


 이의 보리菩提란 깨달음의 뜻으로서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은 본성을 보아 도見性悟道를 깨닫는 방편方便(수단)이라. 정과 혜3)를 가지런히 지니며 마음을 한 경계一境에 머물게 하는 불가사의한 비결妙訣이니 익숙하도록 읽어서熟讀 뜻을 이해了義한 후 고요한寂靜 곳에 자리 잡고 한 마디第一節만 써서 단정히 앉아 바로 보이는 벽면에 붙여서 관찰하고 생각하되 한결같이 관찰4)하여 일상삼매一相三昧5)로 본성을 보고見性 한결같이 생각6)하여  일행삼매一行三昧7)로 도를 깨달悟道지이다.

                                                         


1) 보리(菩提) : 覺∙智∙知∙道라고 번역한다. 불∙연각∙성문이 각각 그 果에 따라 얻는 깨달음의 지혜를 말한다. 이 세 가지 보리 가운데 불타의 보리가 더할 나위 없는 최상 최고의 궁극적인 것이므로 이것을 阿耨多羅三藐三菩提라고 부르며, 번역하여 無上正等正覺∙無上菩提라고 한다. 지도론 53에는 불타의 보리에 대해서 (1)보살이 깨달음을 구하기 위해 발심하는 것을 그 마음은 보리의 果에 이르는 因이라는 뜻으로 發心菩提, (2)번뇌를 누르고 모든 바라밀을 행하는 것을 伏心菩提, (3)제법실상을 깨달은 반야바라밀의 相을 明心菩提, (4)반야바라밀에 의한 方便力을 얻었지만 반야바라밀에 잡히지 않고 번뇌를 끊어서 一切智(薩婆若)에 이르는 것을 出到菩提, (5)佛果의 覺智를 無上菩提라고 한다. 이를 합해 5종 보리라 한다. 또 법화경론 하에서는 불의 法∙報∙應의 삼신에 대해 法佛菩提(法身菩提)∙報佛菩提(報身菩提)∙應佛菩提(應身菩提)의 3종 보리를 주장하고 있다. 대승의장 18에서는 無上菩提에는 方便菩提와 性淨菩提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고 했다. 천태종에서는 십종보리의 三法 가운데 하나로 三菩提를 들어 (1)實相의 理를 깨달은 것을 眞性菩提(實相菩提∙無上菩提). (2)그 理에 계합한 지혜를 깨닫는 것을 實相菩提(淸淨菩提). (3)자유자재로 중생을 교화하는 기능을 깨닫는 것을 方便菩提(究竟菩提)라 하고, 이것은 법신∙반야∙해탈의 三德과 별개가 아니며, 三菩提가 곧 三軌라 했다. 정토론에서는 (1)自我에 집착하여 (2)온갖 중생을 안온하게 해 주려고 하지 않으며, (3)자기에게만 봉사한다고 하는, 보리에 위배되는 三種菩提門相違法을 멀리 여의는 것을 三遠離心∙三種離菩提障, 또 (1)자기만을 위한 樂을 구하지 않으며(無染淸淨心) (2)중생의 苦를 없애 안온하게 해 주고(安淸淨心), (3)중생을 깨달음으로 나아가도록 해서 영원한 樂을 준다(樂淸淨心)고 하는, 菩提를 따르는 三種隨順菩提門法의 心을 三淸淨心이라 한다고 했다. 이것은 지혜∙자비∙방편의 三門에 의해 여의기도 하고 일어나기도 한다고 한다. 無上菩提를 구하는 중생을 보리살타, 약해서 보살, 無上菩提를 구하는 마음을 無上菩提心∙無上道意 혹은 菩提心이라고 한다. 후세에는 祖上의 보리를 증진하는, 곧 성불되기를 빌고 명복을 비는 의식을 행하는 것을 增上菩提 또는 菩提를 애도(哀悼)한다고 하기도 했다. 菩提를 애도한다는 뜻에서 신도가 소속하는 절을 菩提寺 ∙菩提所라고 하는 수도 있다.


2) 방편문(方便門) : 참되고 성실한 道를 인도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권도로 시설한 敎門을 말함.


3) 정혜(定慧) : 禪定과 智慧. 三學中의 二法임. 어지러운 뜻을 거두는 것이 定이 되고, 事․理를 觀照하는 것이 慧가 됨. 또는 止觀이라 함. 法華經序品에 「佛子는 定․慧를 具足하다」하였고, 無量壽經上에 「如來의 정혜는 구창(究暢)하면 끝이 없다」하였으며, 六波羅蜜多經八에 「佛果大菩薩은 定慧로 根本을 밝힌다」하였으며, 육조단경에 「師가 대중에게 보여 말하기를 선지식인 나의 이 법문은 定․慧가 근본이 된다」하였음.


4) 관(觀) : 비발사나(毘鉢舍那). 비파사나(毘波奢那)라 음역. 지(止) 선정에 들어서 지혜로써 상대되는 경계를 자세히 식별하는 것.


5) 일상삼매(一相三昧) : 禪定의 이름. 또는 眞如三昧. 一行三昧라고도 한다. 眞如의 세계는 평등하여 한결같고 차별이 없는 한 相이라고 觀하는 三昧. 六祖壇經에 「진실로 一切處에 住着하지 않는 相을 가져야 한다. 그 相 속에는 미워하거나 사랑하는 마음을 내어서는 안되고 또한 取하거나 버리는 것도 없으며 利益되는 거나 成․壞 등의 일도 생각지 말고 안한(安閒)하고 활정(活靜)해서 텅비고 잡된 것이 없는 상태를 일상삼매라고 한다」라고 하였음.


6) 염(念) :1.주관(主管)인 마음이 객관인 대경(對境)을 마음에 분명히 기억하여 두고 잊지 않는 정신 지나간 일을 기억할뿐 아니라 현재의 순간에도 행하여져서  마음으로 객관대상을 분명히 할 때 반듯이 존재하는 것. 2.관념(觀念) 관찰하는 것. 불체(佛體)와 제법(諸法)의 이치 등을 마음에 생각하여 보는 작용. 3.칭념(稱念) 부처님의 명호 등을 일컫는 것.


7) 일행삼매(一行三昧) : 마음을 一行에 定하여 닦는 三昧를 말함. 또는 진여삼매 혹은 일상삼매라 함. 三藏法數四에 「일행삼매는 오직 일행으로 수습하는 삼매다」하였음. 이것에 事와 理의 이종이 있다. 理의 일행삼매는 마음을 정하여 진여의 一理를 觀하는 것. 文殊般若經下에 「법계의 일상을 법계에 緣으로 묶는 것을 일행삼매라 한다. (중략) 일행삼매에 들어가는 이는 항사(恒沙)의 모든 불법계가 차별상이 없음을 다 안다」하였고, 기신론에 「이 삼매에 의하기 때문에 法界一相을 안다. 일체의 諸佛法身과 衆生身이 平等無二함을 말하며 곧 일행삼매라 하여 진여가 삼매의 근본임을 알게 된다」하였으며, 육조단경에 「만약 一切處의 행․주․좌․와에 순일한 直心으로 도량에서 움직이지 않고 곧 정토를 이루는 것을 일행삼매라 한다」하였음. 2. 事의 일행삼매 곧 염불삼매의 다른 이름으로 一心念佛하는 것. 문수반야경하에 「선남자와 선여인이 일행삼매에 들어가고자 하면 虛空 閑에 응하여 모든 어지러운 마음을 相貌에 취하지 않고 마음을 一佛에 묶어 오로지 이름만 칭하여 佛의 方所를 따라 몸을 단정히 하고 바로 향하여 능히 一佛을 念念相續하면 곧 이 念 가운데 능히 과거․미래․현재의 제불을 본다」하였음.


출처 : 아미타불과 함께하는 마음의 고향 무주선원
글쓴이 : 미타행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