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무주선원/무주선원

미타행자의 염불수행이야기 출판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종교 > 불교 > 불교수행

올곧고 청빈한 스님의 진심(眞心)이 담긴 글은 읽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따뜻해지고 힘이 솟는다. 책 곳곳에 당신의 은사스님이신 청화 큰스님과의 일화와 월인 노스님 등 여러 스님들의 수행담을 전하며 뒤로 물러서지 말고 열심히 수행할 것을 권하고 있다. 조바심 내지 않고 포기하지 않으며 염불 한 번이라도 정성스럽게 지어가는 것, 그리고 보리심을 키우고 늘 보시를 실천하며 삼독심을 버리는 것. 스님이 전하는 바른 수행의 길()이다.

 

저자 소개

저자 : 본연

저자 본연本然은 전남 곡성 태안사로 출가했을 때 평생을 하루같이 용맹정진하다 열반하신 청화淸華 큰스님(1923-2003)께서 스승과 제자 간의 인연을 맺으면서 내려주신 법명法名이고, 미타행자彌陀行者는 염불 수행하는 사제를 격려하기 위해 사형스님이 지어준 별호別號이다.

승보종찰僧寶宗刹 송광사松廣寺 강원에서 4년간 경전 공부하고 비구계比丘戒를 받은 뒤 기도처와 선원을 오가며 정진하던 중, 큰스님의 은혜를 갚는 마음으로 2003년 서귀포 성산 자성원自性苑 주지를 자청하여 4년간 기도하며 차 밭과 텃밭을 가꾸고 살면서 제주도와 인연이 시작되었다.

자성원 주지 소임을 놓은 뒤 다시 선원과 기도처를 찾아다니며 수행하였으며, 2012년부터는 제주시 항파두리 근처 자그마한 수행도량 무주선원無住禪苑을 열어 수행과 울력으로 극락도량極樂道場을 일구고 있다.

 


 

책 속으로

 


망상 속에서 하는 나무아미타불이나 정성을 다해서 하는 나무아미타불이나 공덕은 같습니다. 망상이 일어난다고 자신을 학대할 필요는 없습니다. 수없는 망상 속에서 진실한 염불이 나오는 것입니다. 중생이 염하는 나무아미타불한 번은 우주를 정화시키는 진언이자 부처님의 마음입니다. 우리가 염려해야 하는 것은 도중에 포기하거나 나태해지는 일입니다. 포기나 나태는 앞서 쌓아 올린 무량공덕이 다 빗물에 떠내려가듯이 그렇게 떠내려가게 합니다. - 57~58쪽 중에서


  극락세계는 업장을 짊어지고 가는 세계가 아닙니다. 업장이 다하여야 갈 수 있는 세계입니다. 업장이 두터운 중생이라도 목숨이 다할 때까지 아미타 부처님의 무량공덕을 찬탄하리라.” 원력을 세우고 마음을 다하여 나무아미타불을 염하고 관한다면 목숨이 다할 적에 업장은 소멸되고 극락세계 왕생하는 것입니다. - 102쪽 중에서 이기심과 소아小我를 내려놓고 보리심을 지녀야 하며, 수행은 인연에 따라 염불을 해도 좋고 진언을 해도 좋고 화두를 해도 좋고 간경이나 절 수행 모두 다 좋습니다. 번뇌 망상이 가득한 중생이라도 보리심을 지니고 수행을 하면 번뇌 망상은 털어지고 그 자리에 보리심이 채워지며, 번뇌 망상이 털어진 만큼 몸과 마음은 가볍고 적은 것에 만족하며 자유롭고 행복한 것입니다. - 126~127쪽 중에서


  수행의 근본은 탐??삼독심三毒心을 소멸시키는 데 있습니다. 삼독심이 소멸되면 소멸된 만큼 순수한 마음, 즉 보리심과 자비심이 드러나게 되고, 수행이 깊어질수록 자비심은 더욱 커집니다. 다겁생의 뿌리 깊은 삼독심을 소멸하는 수행법은 각자의 기질과 인연에 따라 다른 것이 당연한 일입니다. 티베트 경전에 이르기를, “사람들의 수행법이 거푸집에서 찍어내듯이 똑같을 수는 없다.”고 합니다. - 150쪽 중에서 


 수행의 첫 걸음은 반조反照입니다. ()으로 입()으로 생각()으로 짓는 업을 반조하고 살펴 돌이키는 것이 수행입니다. 몸과 입과 생각으로 짓는 세 가지 업(三業)이 모두 청정해야 극락에 가는 것이고, 삼업의 청정을 도와주는 것이 염불수행입니다. - 166쪽 중에서


  부처님 공부하여 박사가 되려면 팔만대장경을 열람하고 분석해야 하지만 마음 닦아 공부한다면 정성精誠! 두 글자면 평생 공부해도 부족함이 없습니다. 염불을 하든 주력을 하든 간경을 하든 좌선을 하든 정성스럽게 이어나가는 것입니다. 정성精誠 속에는 보리심, 진실, 정직, 하심, 겸손 검소, 자비심, 배려하는 마음이 모두 들어 있으며 복혜쌍수福慧雙修, 복과 지혜를 함께 닦을 수 있습니다 - 230쪽 중에서 닫기

 

출판사 서평

 

미타행자의 염불수행 이야기 - 본연 스님이 들려주는 수행과 인연법 이야기 바른 수행에 대한 글도 많고 수행자도 많지만, 생계를 꾸려가며 가족을 돌봐야 하는 평범한 재가불자들이 따르기 쉬운 길은 찾기 쉽지 않다. 수행법 가운데 가장 쉽다고 불리는 것이 염불수행이지만 자신이 바르게 하고 있는지 확신을 갖기 어렵다. 마음을 다잡고 다시 정진하려고 해도 쉬이 길이 보이지 않을 때가 많다. “이 길이 맞는 것인지?, 무엇이 잘못 되지는 않았는지?” 의심스럽고 걱정될 때도 있다. “재미있고 즐거운 일도 많은데 이 따분한 수행을 왜 해야 하는지?” 보다 근원적인 회의가 들 때도 있다.


부처님 가르침의 진실함을 믿고 따르며 수행하는 이들도 가끔 흔들릴 때가 있다.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흔들릴 때 옆에서 손을 잡아주며 힘을 돋워줄 도반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도 ?아함경?에서 이르시기를, “좋은 도반은 수행의 절반이 아니고 수행의 전부라고 하셨다. 올곧고 청빈한 미타행자가 정성을 다해 전하는 바른 염불수행과 삶의 길() 염불선으로 근현대에 그 이름이 가장 드높은 청화 큰스님(1924~2003)의 상좌이자 출가할 때부터 염불을 손에서 놓은 적이 없는 본연 스님이 친근하고 따뜻한 음성으로 우리 곁에서 그 길을 일러준다.


스님은 제주시 항파두리 근처에 자그마한 수행도량을 세우고 수행하고 울력하며 나날의 소회를 진솔하게 적어 우리에게 전하고 있다. 멀리서 소식을 전하지만 누구보다 솔직하고 따뜻한 마음이 담긴 글은 앞서 길을 걸어간 도반이 내밀어주는 따뜻한 손길과 같다.


홀로 법당에서 기도하고, 홀로 텃밭에서 울력하고, 손수 공양 지어 홀로 수저를 들지만 이른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염불 올릴 수 있음에 환희하고 믹스커피 한 잔에, 라면 한 그릇에 행복을 느끼는 청빈한 스님이 틈틈이 떠오르는 생각과 일상을 기록하였다. 무엇이 진리이며, 무엇이 바른 염불수행인지?, 수행이 익었음은 무엇을 보면 알 수 있는지? 참 행복은 무엇이며 우리가 진정 추구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왜 지금 당장 수행해야 하고 나중으로 미뤄서는 안 되는지? 업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업장이 소멸되는지?


 천도재는 왜 올려야 하는지? 일상에 바쁜 재가자는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 등등 재가불자라면 누구나 궁금해 할 것들을 누구보다 진솔하게 그리고 차근차근 이야기한다. 진리는 단순하면서 평범한 것 오직 정성(精誠)’만이 필요하다 지금 일구고 있는 무주선원에서 올린 천일기도만 헤아려 보아도 이미 4차례이다. 염불수행 이력이라면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스님은 말한다. 진리는 단순하면서 평범하다고, 염불수행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또한 불교학 박사가 되려면 팔만대장경을 모두 읽고 분석해야 하지만, 마음을 닦으며 수행하고자 한다면 정성(精誠)”만 있으면 된다고 한다. 자신의 근기에 맞는 수행을 선택했으면 그 수행을 정성스럽게이어나가라고 한다. 우리가 염려해야 할 것은 도중에 포기하거나 나태해지는 일뿐이니 조바심 내지 말고 그저 정성스럽게수행을 이어나가면 된다며 우리를 토닥여주신다.


화려한 논리나 복잡한 이론보다 빛나며 강한 것은 바로 자신의 삶을 통해 증명해온 실천이리라. 스님은 진실하면서 우직한 수행과 청빈을 실천해온 당신 삶에서 깨우친 것을 전하며 말한다. “열심히 기도하고 수행해온 것은 지난 과거에 쌓은 업장을 녹이고, 다음 생에도 수행할 수 있는 터전이 된다.” “인과가 없다고 생각하지 마라, 인과보다 더 정확한 것은 없다.” “이름 없는 고혼에게 올리는 작은 천도재조차 공덕이 되니 작은 일에서도 보리심을 잃지 말라.” “하루 일과 속 앉고 서고 행하는 모든 일에 정성이 깃들게 하면 미물조차 감동시킬 수 있으며 깨달음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것이다.” “진리는 생각이나 말 속에 있지 않고 몸에 있다. 실천하지 않는 것은 참 진리가 아니다.”

올곧고 청빈한 스님의 진심(眞心)이 담긴 글은 읽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따뜻해지고 힘이 솟는다. 책 곳곳에 당신의 은사스님이신 청화 큰스님과의 일화와 월인 노스님 등 여러 스님들의 수행담을 전하며 뒤로 물러서지 말고 열심히 수행할 것을 권하고 있다. 조바심 내지 않고 포기하지 않으며 염불 한 번이라도 정성스럽게 지어가는 것, 그리고 보리심을 키우고 늘 보시를 실천하며 삼독심을 버리는 것. 스님이 전하는 바른 수행의 길()이다. 닫기